24년생 미운 사람에게 떡 하나 더 줄 것. 36년생 무리한 결정은 내리지 말 것. 48년생 인정보다는 냉정하게 처리할 것. 60년생 불화의 불씨를 만들지 말아야한다. 72년생 방해자가 있어도 신경 쓰지 말 것. 84년생 힘이 들어도 용기를 내야한다. 25년생 어려움도 나누면 가벼워진다. 37년생 생각의 차이를 인정하면 편해진다. 49년생 돌아오는 상황을 잘 파악할 것. 61년생 자기 꾀에 너무 빠지면 손해본다. 73년생 이별의 싸움에는 승자가 없는 법. 85년생 잘한 일도 말썽이 생기니 주의하라. 26년생 즐거운 인생을 스스로 만들 것. 38년생 후세에 남길 것을 생각하면 좋다. 50년생 구상을 좀 더 발전시켜나갈 것. 62년생 해답을 멀리서 찾도록 노력할 것. 74년생 이사 이동 여행 바쁜 날이 된다. 86년생 활동력이 늘고 실속이 많은 날이다. 27년생 마음의 병을 줄이는 것이 좋다. 39년생 감정을 내색하지 않는 것이 좋다. 51년생 어려우면 차라리 도움을 청할 것. 63년생 불확실한 일에 미련을 버릴 것. 75년생 잡은 것도 놓치는 것은 실수 때문이다. 87년생 금전 명예에 괴로움이 생긴다. 28년생 작은 욕심도 버리면 순조롭다. 40년생 쓸데없는 일을 하면 손해를 본다. 52년생 새로운 문서의 변동을 확인할 것. 64년생 아무리 급해도 차분하게 처리할 것. 76년생 행동보다 말이 앞서면 어렵다. 88년생 기분을 잘 유지하는 것이 이롭다. 29년생 갈 길은 멀고 마음은 답답하다. 41년생 나보다 상대를 존중하면 득이 있다. 53년생 바로 행동으로 옮기면 성사된다. 65년생 미워하는 마음을 버리면 편하다. 77년생 믿는 사람도 조심해야한다. 89년생 기회를 잃고 후회한들 벌써 늦는 법. 30년생 공상 망상으로 세월을 보낸다. 42년생 큰 소리쳐서 되는 일이 없는 법이다. 54년생 잃어버리기 전에 미리 대비할 것. 66년생 늦는 것이 덕이 되니 기다릴 것. 78년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날이다. 90년생 바쁠수록 살펴 가는 것이 이롭다. 31년생 자존심을 잃지 않도록 노력할 것. 43년생 상대방을 알고 대처하면 무사하다. 55년생 결제나 지출은 오후로 미룰 것. 67년생 자기 책임을 외면하지 말 것. 79년생 어떤 유혹에도 자존심을 지킬 것. 91년생 처음대로 진행하면 무리가 없다. 20년생 가슴이 답답하니 유의할 것. 32년생 주위를 되도록 단순하게 정리할 것. 44년생 남의 말에 이끌리면 손해를 본다. 56년생 몸은 힘들어도 마음은 편안해진다. 68년생 다 된 일도 마지막까지 주의할 것. 80년생 젊다고 건강을 과신하지 말 것. 21년생 정신적으로 귀찮아지니 조심할 것. 33년생 고단한 마음과 몸을 편하게 할 것. 45년생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할 때다. 57년생 인생을 잘 꾸려가도록 노력할 것. 69년생 우여곡절 끝에 일이 풀린다. 81년생 자기 생각만 옳다고 주장하지 말라. 22년생 낙상 부상 한순간을 조심할 것. 34년생 많은 변화를 추구하면 어렵게된다. 46년생 인내심으로 상황을 유지할 것. 58년생 새것보다는 옛 것을 지켜야한다. 70년생 급한 마음을 버리려고 노력할 것. 82년생 욕심부리지 말고 하나씩 진행하라. 23년생 눈치보지 말고 진행하면 좋다. 35년생 자연을 따르면 순리대로 흐른다. 47년생 자기를 알리는데 힘을 쏟을 것. 59년생 무슨 일이든 적당한 곳에서 할 것. 71년생 스스로 노력하면 하늘도 도와준다. 83년생 너무 귀가 얇으면 손해가 따른다.
▲ 1899 최초의 철도 경인선(제물포-노량진간 33.2㎞)개통 국내 최초로 경인선 철도가 개통된 이 날은 '철도의 날'이 되었다.
1947 서울, 특별시로 승격
1950 인천에 전범자 처리 법정 설치
1953 빨치산 이현상 사살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고독한 사람', '남한 빨치산의 전설적 총수'…. 《남부군》이란 수기를 펴낸 이태는 조선인민유격대 남부군 사령관이었던 이현상을 이렇게 표현했다. 그는 1953. 9.18, 지리산 빗점골에서 토벌대에게 사살되었다고 전해지는데, 그의 유품은 창경원에 전시되었다. '축지법을 쓴다, 몇 길 담장을 훌쩍 뛰어넘는다'는 등의 소문이 퍼질 만큼 이현상은 신출귀몰했다고 한다. 절대 포로를 죽이지 않았다는 그는 작고 통통한 몸집에 팔자 콧수염을 기른 냉혹한 성격의 소유자였으나 힘든 짐을 대신 지어줄 만큼 깊은 정이 있었다고 한다. 1906년 충남에서 태어나 중앙고보 재학 중 조선 공산당 창설에 참여했고, 해방 후에는 남로당 연락부장을 맡았으며, 5년 동안 지리산에서 투쟁했다.
1953 신형법 공포 1955 호헌동지회의 자유민주파, 민주당 창당 1957 고 딘 디엠 월남 대통령 방한
1972 남북적십자 제2차 본회담 서울서 개최 1973 인도네시아와 정식수교 기독교 오순절 세계대회 동양에서 최초로 서울 효창운동장서 개막 1979 첫 국산디젤기관차 운행
1982 노산 이은상 세상 떠남 1974년 노산시조 문학상 제정. 저서: 노산시조집, 나의 인생관, 민족의 향기, 이충무공 일대기 1985 제4차 남부경제회답 판문점서 개최 1988 전 내각수반 허정 세상 떠남
1990 유엔 가입문제 관련 남북고위급회담 제1차 실무대표 접촉 남측; 공동가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동시 가입 주장 북측; 대표권 순번제 또는 공동행사방식 포함한 단일의석 공동가입안 강조 1991 제46차 유엔총회, 남북한의 유엔가입을 승인 남북한은 분단 46년만에 별개의 의석을 가진 채 유엔회원국이 됨. 가입순서는 북한이 160번째, 남한이 161번째
1991 한국화학연구소 궁구환박사팀, 무공해 섬유유연제 국내 첫 개발 서울대 김수진교수 경북 봉화군서 새 광물인 다카넬라이트 발견 1992 노태우 대통령, 민자당 명예총재직 사퇴 1996 북한 잠수정 강릉해안 침투
1810 칠레,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1851 뉴욕 타임즈 창간
1931 만주 사변 일어남 일본군, 유조구의 만철폭파사건을 구실로 군사행동 개시 1934 소련, 국제연맹에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