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23. 네이버 카페 오두막 지기.
2023년~2024년, 우주 및 생사, 시공의 이치 등 보다 가치있는 삶부터 맑고 밝은 세상, 더불어 고르게 잘 사는 사회까지 271개의 과제 수행 흔적.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지나치게 늦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 및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과 관련하여 무기력, 무능력한 정부, 기업 등 경제 주체에 경각심과 분발을 촉구 함.
게으른 네이버 단칸 모옥 청소부 A-2.
2023. 10. 1.
미래 계속될 우리 장부, 기업 등이 반드시 완수해야 할 필수 과제에 관한 플랜 B, 혹은 C 목표 중 작은 하나인 국민의 실물 자산 매 십 년마다 배 이상 증가 목표 4.
서울 지방 부동산 및 지역, 자산 양극화 완화, 국토, 지역 균형 발전과 관련한 낙후된 지방 부동산 2.
앞서 기술한 가격, 수급 등 시장원리와 각종 개발 호재 등은 다음에 제시하기로 하고 오늘은 외부 변수에 대해서만 간단히 언급한다. 개인적으로, 글로벌, 국내 경제는 내년에 회복되고 2025년 이후 호황기를 예상한다. 이제는 글로벌 초저금리 시대는 종언을 고하겠지만, 내년 중반기 이후 글로벌 기준금리는 1~2% 내릴 것으로 예측한다.
그리고, 내년 총선 이후 부동산 정책에 관한한 가진자, 서울 편만드는 듯한 윤가 정권의 각종 부동산 규제는 강화보다는 다소라도 완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재강조 하지만, 정부, 기업이 2025년 코스피 일만은커녕 오천 포인트로 상승시킬 만큼 국내 경제를 활성화 시켜 지난 국민의 금융 자산 늘리기 과제 수행에서 기본 밥값을 하게 된다면 중장기 서울 집값은?
서울 부동산 시장 중장기 전망에 추가하여, 서울 부동산 시장이 8년간 대세 상승을 시작한 2013, 2014년 이후 최근까지 우리 국민, 특히 서울 시민과, 경기 일부 도민의 실물 자산은 물론 금웅 자산까지 실로 많이 늘어났다. 실물 자산 실수요자가 많이 늘어났단 말이다. 안타깝게도, 순자산이 없거나 마이너스인 국민, 집값이 지금보다 1/2 심지어 1/5 가격으로 내려도 실물 자산 투자 여력이 없는 국민들도 많다.
반면, 한국 1% 부자 순자산은 30억, 평균 55억 원이다. 순자산 상위 0.1% 기준은 76억8000만원이었다. 상위 5%에 들려면 최소 13억3500만원, 10%는 9억원 이상을 보유해야 했다.
2023년 7월 20일에 모니터링된 네이버 뉴스...우리나라 비금융자산의 약 75%를 차지하는 부동산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지난해 국부가 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은 2경380조원으로 전년 대비 441조5000억원(2.2%) 증가에 그쳤다. 2021년 1998조8000억원(11.1%)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큰 폭으로 둔화했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2·4분기중 24억달러 감소해 3538억달러다.
기획재정부가 제출한 국가결산보고서 등을 검사한 결과 2022 회계연도 국가채무(중앙정부 기준)는 총 1033조4000억원으로 전년도 939조1000억원 대비 94조3000억원 증가했다. GDP 대비 국가채무(중앙정부 기준) 비율은 48.1%로 전년도(45.3%)에 비해 2.8%포인트(p) 증가했다.
23.9. 30.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의 자산 격차는 점점 커지는 추세다. 2018년에는 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5억465만원)이 비수도권(3억4천220만원)보다 47.5% 많았다. 이후 2019년 53.6%, 2020년 59.6%, 2021년 65.6%, 지난해 69.2%로 점차 격차가 벌어졌다. 전국 가구 총자산 중 수도권 가구 총자산의 비율인 수도권 집중도는 2018년 57.8%에서 2019년 58.7%, 2020년 60.2%, 2021년 61.2%, 지난해 61.8%로 높아졌다.
2023년 10월 1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10월 1일 부동산 단신 2.
아리팍 국민평형 43.9억 회복...서울 서초구 반포동은 대표 부촌으로, 반포주공1단지는 1970년대부터 압구정 현대와 서초동 삼풍과 함께 강남권을 대표하는 아파트로 자리매김했다. 2000년대 이후부터는 한강변을 중심으로 2008년 반포 자이, 2009년에는 래미안 퍼스티지 등 재건축단지가 들어서며 인기를 얻었다. 반포 아크로리버파크는3.3㎡당 1억622만원으로 전체 2등이다. 압구정 현대(1,2차) 재건축에 1위를 내주었다.
그러나 최근 반포 래미안원베일리 전용84㎡ 입주권은 7월 아리팍(45억6000만원)의 턱밑까지 쫓아온 45억9000만원으로 분양가의 3배를 넘은 3.3㎡당 1억8000만원이다. 반포자이도 2000년대 후반 분양 당시 완판까지 상당 기간 소요됐으나, 지금은 분양가 대비 3배가량이 올랐다. 2025년 잠원역 인근 3307가구 신반포메이플자이의 입주가 예정돼있다. 내년 반포주공 1단지 1·2·4주구 재건축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가 착공 예정이다.
서초동의 래미안서초에스티지S 전용 134㎡는 최근 39억5000만원에, 롯데캐슬메디치 전용 124㎡도 직전 거래가 대비 4억원 오른 18억3000만원에 신고가로 거래됐다. 한편, 동작구 흑석동 명수대현대 전용면적 124㎡는 매맷값 22억5000만원으로 신고가를 기록했고 한강현대는 올해 11건에 거래가 이뤄졌다.
시공사 선정을 마친 사업지는 ▷용두1-6지구(HDC현대산업개발·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 ▷흑석2구역(삼성물산) ▷강북5구역(DL이앤씨) ▷신설1구역(두산건설) 등이다. 성북구 성북1구역이 정비구역 지정에 돌입했다. 금호건설은 양천구 신정동 신정수정아파트 재건축 사업을 수주했다. 서울에서 재건축 안전진단 전액 무이자 융자 첫 지원 대상은 노원구 상계임광아파트다.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센트럴풍경채 84㎡는 올해 1월 8억3천만원에서 지난 6월에는 10억2천800만원으로 다시 10억원대에 들어섰다. 고양시 덕양구 지축역센트럴푸르지오 84㎡도 작년 1월 12억3천만원에 최고가를 찍고 올해 3월 9억원으로 하락했다가 지난달 10억1천만원으로 상승했다. 인천 연수구의 송도센트럴파크푸르지오 84㎡ 역시 작년 2월 13억6천500만원에서 올해 2월 8억원으로 떨어진 뒤 지난달 10억1천만원에 팔렸다.
고분양가로 외면당했던 서울 동작구 '흑석리버파크자이' 2가구 모집에 93만명이, 경기 광명시 광명4구역 재개발 '광명센트럴아이파크' 무순위 청약 27가구 모집에 3450명이 몰렸다. 경기 하남시 덕풍동 '더샵 하남에디피스' 2가구 무순위 청약에 3만7495명이 접수했다. 경기 화성 동탄2지구 '어울림파밀리에' 무순위 청약 1가구 모집에 3057명이 몰렸고 '숨마데시앙' 2가구 모집에는 4847명이 신청, 2423대1의 경쟁률을 썼다. 인천 부평구 십정동 '힐스테이트 부평' 무순위 1가구 물량이 나온다.
2023년 7월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7월 1일 부동산 단신 2.
비강남권 대표 단지 '들썩'...작년 5월 38억9000만원까지 올랐던 서울 성동구 성수동 트리마제 전용 84㎡는 지난달 30억9500만원에 거래됐다. 동작구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 전용 84㎡는 지난달 22억7000만원에 매매됐다. 지난달 22억7000만원에 거래된 강남구 개포동 개포래미안포레스트 전용 84㎡와 같은 몸값이다.
작년 5월 22억2500만원까지 올랐던 종로구 홍파동 경희궁자이 전용 84㎡의 지난달 매매가는 18억3000만원이다. 마포구 용강동 래미안마포리버웰 전용 84㎡도 2021년 9월 22억4000만원에서 4월 19억원에 손바뀜했다. 마포구 염리동 마포프레스티지자이 전용 84㎡도 지난달 전고점에 근접한 17억9800만원에 거래됐다.
경매...서울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302동 504호는 감정가 43억4000만원에서 한 차례 떨어져 34억7200만원에, 성동구 금호동4가 금호동대우 114동 1203호도 감정가 18억4000만원에서 한 차례 떨어져 14억7200만원에,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 1301동 905호는 감정가 5억6800만원에서 두 차례 떨어져 3억6352만원에 매각이 진행된다.
노원구 상계주공3단지가(2213가구) 지난달 정밀안전진단에서 E 등급을 받아 재건축을 확정 지었고, 공릉동 태릉우성(432가구), 하계동 현대우성(1320가구)이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최근에는 노원구청이 중계그린아파트의 재건축 판정을 위해 정밀안전진단 입찰 공고를 냈다. 마포구 성산시영(3710가구)과 함께 강북권에서 가장 규모가 큰, 미성·미륭·삼호3차로 이뤄진 월계시영은 정밀안전진단 결과 E 등급을 받았다.
"이주도 안 했는데, '미분양 무덤' 대구시 수성구 만촌32구역서 관리처분인가를 앞두고 재개발 빌라 프리미엄이 3억으로 올랐다. 한편, 부산 해운대구 '푸르지오더원'은 전용면적 84㎡ 기준 최고 분양가가 9억원을 넘겼고, 남구 '롯데캐슬 인피티엘' 전용면적 84㎡의 최고 분양가도 7억9620만원이었다. 남구 대연디아이엘의 분양가는 84㎡ 기준 7억5000만원 선으로 우암2구역 재개발 두산위브더제니스디오션시티 84㎡ 분양가는 5억원대다.
부산 수영구 남천동 남천자이가 부산에서 처음 3.3㎡당 평균 분양가 3000만 원 시대를 열었지만 해운대구 해운대경동리인뷰 2차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3000만 원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남천 자이 이전 부산 최고 분양가 는 ‘해운대엘시티더샵’으로 2015년 10월 평균 분양가가 2730만 원이었다. 지난해 말만 해도 중동 해운대힐스테이트위브, 해운대엘시티더샵, 수영구 민락동 e편한세상오션테라스 시세는 3.3㎡당 3000만 원을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