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심야열차 이용 승객에게 있어 주된 관심사 및 우선순위는 '얼마나 빨리 도착하는가' 보다는 '연결편이 보장되는가' 와 '편안한가' 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1) 서울역을 24시에 출발. 갖가지 역에 정차하며 부산역에 익일 05시30분에 도착하는 새마을호와. (2) 서울역을 24시에 출발. 서울-대전-대구-부산만 정차하며 익일 04시10분에 도착하는 새마을호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평상시라면 주저 없이 (2)안을 다들 택하시겠지만 야간열차라면 사정이 다르지요. 역에서 한시간 이상 오도가도 못하고 묶여 있느니 연결편이 바로바로 연결되는 (1)안을 택하시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이런 부분에 있어서, 심야/야간열차는 다소간 속도를 희생하더라도 최대한으로 연결편을 보장할 수 있도록 열차운행을 계획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KTX 열차의 심야 막차 시각대에 한한 영등포, 구포 신규 또는 추가정차는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현재 상황을 보면, 영등포역에는 정차하는 KTX 열차가 애시당초 없고. 구포 역에는 막차시각대에 #181열차 (23:16), #185열차 (00:33) 두 편만 정차할 따름입니다.
지하철구포역의 수영행막차가 23:52, 대저행막차가 00:32 이기 때문에 단순히 이 조건에 맞는 열차만 찾아봐도 #265(23:20), #183(23:30), #267(23:45) 3개열차의 구포 추가정차가 가능해지고. 이로써 부산3호선을 이용하여 귀가하는 승객들에게 최대한 편의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입니다. 부산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연산동에서 환승하도록 한다는 것은... 불편한 것은 둘째치고, 연산동역의 막차시각(양방향 00:12)을 맞춰야 한다는 조건이 있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습니다. (#183, #267 의 경우)
영등포역의 경우, 서울/용산역보다 Downstream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인천이나 수원 방면으로 가는 승객들에게 좀 더 많은 환승연계편의 기회와, 환승시간의 여유를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현재는 이 방면으로 가려면 서울/용산역까지 올라갔다가. 환승한뒤. 다시 내려오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시간적으로 약 30분 손해가 됩니다. 평시라면 '대승적 차원에서 당신들이 30분을 희생하시오' 라는 논리가 통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허나 5~10분 차이로 막차를 놓치게 되는 상황에서는 조금 이야기가 달라진다고 생각되는군요. ^^
이 시각표와 KTX 시각표를 토대로 해서 살펴보면
#318열차의 경우 서울역에 2338 착으로, 병점/인천행 막차를 모두 놓치게끔 되어있으나.
이 열차를 영등포역에 세우게 되면 (2328) 병점/인천행 막차와 연결할 수 있고
#186열차의 경우 서울역에 0020 착으로, 모든 막차가 끊긴 시간대에 도착하게끔 되어있으나.
이 열차를 영등포역에 세우게 되면 (0010) 신도림과 구로 단 2개역이긴 하지만
추가연결편을 만들 수 있게되는 등
이 시각대 열차의 영등포 추가정차로 인하여 확실히 연결편이 늘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318, #272 열차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318의 경우는 위에서 예로 들기도 했지만, 애시당초 연결편이 없던 열차에 연결편을 만들어줄 수 있는 것이고. #272는 서울역에 막차시각 이전에 들어가기는 하는데 여유시간이 10분도 채 되지 않아 '달려야' 하고... 5분 정도만 연착해도 연결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구포/영등포역의 버스에 대해서는 논외로 칩니다만 (철도동호회니 만큼 ^^) 실제로 문제에 대해 깊이 검토하게 된다면, 이 역시 빠져서는 안될 장점 중 하나가 되겠지요 ^^
결론적으로, 영등포, 구포와 같은 제2터미널 역에. 막차시각대에 한해 제한적으로 고속열차 정차를 늘림으로써 최대한 많은 연결 교통편을 확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
하지만 서울역 돌아가서 또 삼화타러 걸어가는 시간 등등 감안하면 영등포 세워서 조금이라도 승객순환을 빨리 하는 것도 괜찮다는 생각입니다. 영등포 정차를 하게 되면 영등포역을 아무래도 공사해야 하는데, 노후한 현 시설을 같이 고칠 수 있는 부수입도 생깁니다. 지금 영등포역 내부시설 인간적으로 말이 아닙니다.
삼화는 지하철에 비해 좀 더 늦게까지 있기땜에 지하철이 끊겨도 유일하게 인천방면으로 이용할수 있는 교통수단이라 고러한겁니다.^^; ktx가 영등포에 도착해도 지하철이 이미 끊겨있으면 방법이 없으니까요. ktx가 전철시간 막차보다 20~30분 이상 연착하여 전철 놓쳤다는 사람들 이야기도 많이 들었거든요.
영등포역은 정말 신축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승객은 많은데 역은 좁아서 맨날 북적거리고, 주변 교통도 복잡하나까요. 개인적으로는 영등포역을 신축하고 거기에 영등포 환승터미널을 만들어서 시외로 나가는 버스들을 열차에 내려서 손쉽게 환승할 수 있게 만들었으면 좋겠지만, 주변이 워낙 많이 발달되어 있고 공사중 교통혼잡 등등을 고려하면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겠네요.
그리고 광명역이 지금 영등포 반정도만이라도 번화가가 되어야 요충지로 발전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인천공항도 사실은 좀 억지스런 성격이 있지요 -_- 공항 중에서 도심지 접근성면이라면 그나마 대구공항 정도(지하철이 대구공항 바로 앞으로 갔더라면 하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버스로 10분이면 아양교역 나옵니다)가 괜찮은 편입니다.
실제로 일반열차가 안양-석수 사이에서 서행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는 신호체계의 위계상 KTX를 우선하기 때문입니다. (안양-석수간의 문제는 KTX의 영등포 통과 여부와는 무관하죠) 그런데 서울-시흥간의 경우 KTX가 영등포를 통과한다는 것 이외에는 각 등급간에 차이가 없는 만큼 위계 관계를 서울-시흥 (상행의 경우 안양 혹은 의왕까지) 간에서 푸는 것도 지연을 줄이는 대안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첫댓글 심야시간대 열차 정차역이 유달리 많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KTX 이전시대에는 대구역에 새마을이 딱 1쌍 섰는데, 심야열차였죠.
#37,#38 서울발 부산행 새마을호가 섰던 기억이 납니다. 동대구,대구 전부 다 정차했죠.
버스까지 고려한다면 사실 삼화고속이 있기땜에 서울역 종착도 사실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 삼화고속 각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인천시내버스로 연결되는게 거의 불가능한게 단점이죠. 이건 지하철도 마찬가지구요.
하지만 서울역 돌아가서 또 삼화타러 걸어가는 시간 등등 감안하면 영등포 세워서 조금이라도 승객순환을 빨리 하는 것도 괜찮다는 생각입니다. 영등포 정차를 하게 되면 영등포역을 아무래도 공사해야 하는데, 노후한 현 시설을 같이 고칠 수 있는 부수입도 생깁니다. 지금 영등포역 내부시설 인간적으로 말이 아닙니다.
삼화는 지하철에 비해 좀 더 늦게까지 있기땜에 지하철이 끊겨도 유일하게 인천방면으로 이용할수 있는 교통수단이라 고러한겁니다.^^; ktx가 영등포에 도착해도 지하철이 이미 끊겨있으면 방법이 없으니까요. ktx가 전철시간 막차보다 20~30분 이상 연착하여 전철 놓쳤다는 사람들 이야기도 많이 들었거든요.
영등포역에 정차하는거랑 내부 공사는 무관하죠. 사실 자동개표기가 꼭 있어야 되는거도 아니고요...물론 깨끗하게 공사하는게 나쁠건 업겠지만...
온수동 이나 오류동 방면은 삼화고속의 혜택을 못받습니다..인천 축이지만요...=_=;
그러나 지하철로만 이야기 할 경우, 막차시간이 딱 걸릴경우 영등포 정차가 꽤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거 같네요. 단 10분 이상의 환승시간이 적용되어야 하는것이 필수라고 봅니다. (계단을 올라갔다 내려가야 하고 전철표 구입을 해야하니까요. 카드찍는것도 포함)
실제로 영등포역은 대중교통 면에서는 "천혜의 환경"이라고 부르고 싶은 최고의 요충지입니다. 주변환경만 정리되면 저렴한 비용으로 최고의 효과를 누릴 수 있죠. 일산 분당 강남(양재) 부천 인천 영종도 김포 안양 등등 별의별 곳에 다 갈 수 있습니다.
지금 제가 말한건 "지하철" 만 고려한겁니다 ^^;
지하철만 고려를 해도, 경인축이 주축 역할을 꾸준히 해 나가는 것을 보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지금 이야기하는건 영등포에서 야간ktx를 정차하여 전철로 환승하는 것을 이야기하는거지 영등포역의 역할을 말하는게 아닙니다 ^^;;;
논점이 벗어났지만, 뭐든 가까이 있으면 좋은 것 아닙니까... 논점 흐리게 돼서 죄송합니다;
영등포역은 정말 신축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승객은 많은데 역은 좁아서 맨날 북적거리고, 주변 교통도 복잡하나까요. 개인적으로는 영등포역을 신축하고 거기에 영등포 환승터미널을 만들어서 시외로 나가는 버스들을 열차에 내려서 손쉽게 환승할 수 있게 만들었으면 좋겠지만, 주변이 워낙 많이 발달되어 있고 공사중 교통혼잡 등등을 고려하면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겠네요.
영등포 주변 재개발한단 말이 있던데 상인들 반발이 만만찮습니다. 그나마 현실적인 대안은 영등포역을 고층건물로 다시 지어서 버스터미널화하는 것이긴 한데 말이죠 -_- OB맥주 거기를 터미널로 지었더라면 노포동역과 비슷한 형태가 되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광명역이 지금 영등포 반정도만이라도 번화가가 되어야 요충지로 발전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인천공항도 사실은 좀 억지스런 성격이 있지요 -_- 공항 중에서 도심지 접근성면이라면 그나마 대구공항 정도(지하철이 대구공항 바로 앞으로 갔더라면 하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버스로 10분이면 아양교역 나옵니다)가 괜찮은 편입니다.
일부 분들은 광명역에 전철 놓으면 된다 그러지만, 그런다고 근본적으로 나아지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CDC 넣거나 하여 기차표로 나오게 하면 됩니다. (단순무식+간단명료)
CDC보단..813계 저상홈버전이 더 나을듯..
차제에 영등포역사 자체 및 그 주변도 한차례 대거 정리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좋은방법 같아요.
영등포역 주변 정리는 주변 반발뿐만 아니라 해당 건물을 사용하고 있는 롯데 측의 반대로 이미 확장불가인 것으로 결론이 났던 것 같은데요.
아무리 반대한다 한들, 건물 사용년수(20년; 재개발하려면 신축 후 20년이 지나야 함)가 지나 노후되면 어차피 재축(再築)해야 합니다. 그러고보니 영등포 롯데백화점 건물도 15년차군요...
부산지하철 1,2,3호선 모든막차는 모든환승역에서 일제히 출발하게 시각표가 짜여져 있으므로, 부산역에서 지하철막차를 타면 2,3호선 막차를 이용할 수 잇습니다.
영등포역 정차는 원론적으로 반대입장이긴 한데 저 정도 수준이면 납득할수도 있겠군요 그런데 영등포의 고속정차가 어떻게 다이아를 해소시킬수 있는지 그게 궁금해지는군요 신호체계를 바꾸지 않는한 더 과밀해졌음 과밀해졌지-_-...
전역정차를 하는 도시철도는 즉 열차 등급의 간격이 적어 초고밀도 운행이 가능합니다..=_=; 즉 영등포역에서 KTX 대피로 인한 일반열차의 정차 및 대기로 인하 선로 하나를 통째로 잡아 먹게 됩니다. 그 대피횟수가 줄어들면 과밀 문제가 역으로 해결 되는겁니다..=_=;
실제로 일반열차가 안양-석수 사이에서 서행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는 신호체계의 위계상 KTX를 우선하기 때문입니다. (안양-석수간의 문제는 KTX의 영등포 통과 여부와는 무관하죠) 그런데 서울-시흥간의 경우 KTX가 영등포를 통과한다는 것 이외에는 각 등급간에 차이가 없는 만큼 위계 관계를 서울-시흥 (상행의 경우 안양 혹은 의왕까지) 간에서 푸는 것도 지연을 줄이는 대안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좋은 생각같네요 저는 지금 대구에 살고있는데 가끔씩 일마치고 밤차로 #100 열차로 서울을 가는데... 신림동에 친구들 만나러 가거든요 저번에 서울역 도착해보니 신림동까지 가기가 불편하더라구요 다이아가 허용하는한 23시 이후 도착하는 야간 열차만이라도 영등포역에 정차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인천부천이나 강서양천영등포구로금천관악동작구 혹은 강남일부로 가는 승객들에겐 좋을듯하네요
저정도면 납득이 가는수준이고 병점/인천으로 가시는 승객들 께서 환영할만일입니다.
서울-구포를 자주이용하는 사람으로서 환영하는 바입니다....^^ 현재 구포정차하는 막차를 탈 경우 불과 몇분차이로 지하철3호선 막차를 놓칩니다..ㅡ.ㅡ...
그나저나 그 옛날 0시대 출발 새마을호나 부활했으면...
부산역,서울역에 5시 조금 넘어서 떨궜죠. 마산행 임시새마을도 있었으면...
통근열차도 줄이고, 새마을도 늘리는걸 보면서 혹시 야간 새마을호를 부활시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아니군요. 생각보다 수입이 안되는걸까요?
주말의 야간새마을은 매진이 잦았습니다. 특히 침대차의 강력한 천적이었죠. 야간새마을 덕분에 침대차가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고 봐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