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카드는 10M 저가형을 구입하면 무난합니다. 시중에서 1만원 정도면 구하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UTP 케이블은 반드시 Cross 케이블 이여야 합니다. UTP 케이블의 경우 Direct(1:1) 케이블과 Cross 케이블이 있는데 Direct 케이블의 경우 허브와 컴퓨터를 연결할 경우 사용하고 Cross케이블은 컴퓨터와 컴퓨터 , 허브의 Uplink 포트와 Uplink 포트, 또는 허브의 일반포트 끼리 연결할 경우 사용합니다.
그냥 쉽게 같은 장비 연결은 Cross 케이블을, 다른 장비 연결은 Direct 케이블을 사용한다고 알고 계시면 됩니다.
2. 설치
1) 먼저 네트워크 어댑터(랜카드)를 컴퓨터에 장착 합니다. (2대의 컴퓨터 모두)
2) 케이블은 2대의 컴퓨터의 랜카드와 연결 합니다. (반드시 Cross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3) 이제 물리적인 장치의 연결을 끝났습니다. 이제 윈도우 98/95로 시스템을 부팅한 다음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와 프로토콜을 설치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어댑터가 PnP 기능을 지원하는 ISA 방식이거나 PCI 방식이라면 윈도우 98/95이 부팅됨과 동시에 새로운 하드웨어가 발견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드라이버를 설치하도록 요구합니다. 혹 윈도우 95/98에서 자동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네트워크 어댑터는 제어판의 새하드웨어 추가 도구를 이용하면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아래 4) ~7)번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설치 하지 못한 경우에 어댑터의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과정부터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 하겠습니다.
4) [시작-설정-제어판-네트워크]를 실행합니다. 그러면 네트워크 등록 정보 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 이 대화 상자는 바탕화면에 있는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을 오른 쪽 마우스 버튼으로 클릭하여 나타나는 팝업메뉴중 등록정보를 선택할 경우에도 나타납니다.
5) 네트워크 어댑터를 추가하기 위해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네트워크의 어떤 구성 요소를 추가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
6) 어뎁터를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네트워크 어댑터를 선택할 수 있는 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디스크 있음을 선택 합니다. (물론 디스크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말입니다.)
7) A:드라이브에 제조회사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를 넣으신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후 A 드라이브에서 해당 파일을 복사한후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이때 확인 버튼을 클릭하시면 컴퓨터를 다시시작 합니다. 자 이제 드라이버는 잘 설치가 된 것 같습니다.
이래도 안돼면 어떻게 하냐고요? 다음과 같이 해보십시요.
하나, 슬롯을 바꿔 설치를 해봅니다.
둘, IRQ, IO 주소를 변경해 본다. (이건 조금 아는사람과 같이 작업을 해야 할겁니다.)
셋, 다른 컴에 설치를 해본다.
(위의 3가지 모두 해보았는데 안돼는 경우 다른 카드로 바구시던지 고수(?)의 도움을 받는게 좋습니다.)
8) 이제 프로토콜을 추가 해 보겠습니다. LAN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할 프로토콜을 설치합니다. TCP/IP, IPX/SPX 호환 프로토콜, NetBEUI 같은 프로토콜이 있는데 이중 어떤걸 설치 해야 할까요?
되도록 이면 TCP/IP 하나만 사용을 하십시요..
스타크래프트 같은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IPX/SPX 호환 프로토콜이 필요하지만. 나머지 작업에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TCP/IP 하나만으로도 충분 합니다.
처음 한 대로 [시작-설정-제어판-네트워크]를 더블 클릭~. 여기서 추가버튼을 클릭합니다.
9) 프로토콜을 선택한후 추가버튼을 클릭합니다.
10) 제조업체는 Microsoft를 선택하시고 필요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선택후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TCP/IP, IPX/SPX 호환 프로토콜, NetBEUI 중 선택)
위의 프로토콜 설치 과정을 반복해서 필요한 프로토콜을 추가 해주시면 됩니다.
11) 이제 네트워크 구성에 서비스를 추가 해 보겠습니다. 처음 했던 것 처럼 [시작-설정-제어판-네트워크]를 실행 후 추가 버튼을 클릭 합니다.
12) 서비스를 선택한후 추가버튼을 클릭합니다.
13) 여기서 Microsoft 네트워크 파일/프린터 공유 프로그램을 선택후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공유에 꼭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14) 다시 네트워크 구성으로 돌아와서 아래쪽에 있는 파일 및 프린터 공유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파일 및 프린터 공유 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
15) 여기서 파일을 공유할 것인지 프린터를 공유할 것인지 아니면 둘 다 공유할 것인지를 선택합니다. 보통 두 개다 체크를 하시고 확인버튼을 클릭 하시면 됩니다.
16) 네트워크 등록정보 대화 상자에서 엑세스 제어 탭을 클릭하고, 공유 자원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위와 같은 Pear to Pear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공유엑세스 제어'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시스템 자원 단위로 공유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비교적 보안성이 낮습니다. 단지 접근 가능/불가능 정도 이지요..
'사용자 엑세스 제어'는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수 있는 방법으로 네트워크 서버에 있는 사용자 목록중에서 자원을 공유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와 그룹 목록 저장위치'에는 윈도우 NT 서버 도메인 이름이나 넷웨어 서버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이것은 NT, 넷웨어 서버가 설치 되었을때 사용이 가능한 겁니다.
17) 컴퓨터 확인 탭을 선택한 후 컴퓨터 이름과 작업그룹 이름을 입력합니다.
컴퓨터 이름은 LAN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중에서는 같은 것이 없는 유일한 것이어야 합니다. 작업그룹 이름은 같은 작업그룹에서 사용할 컴퓨터들은 똑같은 이름으로 줍니다.
이제 확인 버튼을 클릭 하면 윈도우 98/95 설치 CD-ROM을 삽입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CD를 삽입한후 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파일을 복사한후 다시 시작 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하시면 컴퓨터를 재부팅한후 설정이 끝납니다.
18) 공유설정
먼저 탐색기를 여시고 공유를 원하는 드라이브나 폴더상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고 팝업메뉴중에서 공유를 클릭합니다.
19) 여기서 공유를 선택하신후 공유이름과 사용권한을 설정해 주신후 확인 버튼을 눌러 주시면 파일 공유는 된겁니다.
20) 프린터 공유는 [시작-설정-프린터] 를 실행하여 프린터 창을 연다음 공유시킬 프린터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시고 공유를 선택 합니다.
여기서 공유를 선택하시고 공유이름등을 써주시면 모든 것이 끝이죠
21) 자원 연결 및 사용
(1) 공유폴더 연결은 간단히 바탕화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더블클릭 하시면 공유가능한 자원들이 뜹니다.. 여기서 공유된 자원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2) 공유 프린터 이용은 마찬가지로 바탕화면상의 네트워크 연결을 더블클릭하시면 공유된 프린터를 찾으실 수 있을겁니다. 이프린터를 더블클릭합니다. 그러면 네트워크 프린터를 사용하려면 먼저 프린터를 설치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프린터 설치(프린터 드라이브 설치) 여부를 확입합니다.. 그 이후의 과정은 win98 프린터 추가 마법사가 시키는데로 하면 됩니다
어떤분이 질문과 답변에 올리셔서...
제가 예전에 봤던 자료 올립니다...
출처는... 제가 들어있는 블루유니콘 카페...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