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TV 특강 [행복을 위한 철학 콘서트]
강사 : 김광식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
1강 : 아리스토텔레스, 행복의 비밀(1월3일 밤12시40분)
2강 : 칸트, 행복을 위한 이별의 비밀(1월4일 밤 12시 40분)
3강 : 하이데거, 행복을 위한 죽음의 비밀(1월5일 밤 12시 40분)
4강 : 존 롤즈, 행복을 위한 정의의 비밀(1월6일 밤 12시 40분)
김광석의 노래 와 함께 성취감을 행복으로 착각하는 우리의 행복관 으로부터 비롯되는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행복을 위한 철학 콘서트
[아래 내용은 마지막 4강 강연중에서 김광식 교수가 총정리 형식에
마지막 부분 동영상을 보고 그대로 받아 적었습니다.
좋은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이재락-]
1강 : 아리스토텔레스, 행복의 비밀
자! 여러분 아리스토텔레스가 도대체 행복하게 살려면 어떻게 살라고 했죠.
행복을 얻거나 잃을수 있는 사물과같은 실체로 생각하지 말라고 했죠.
행복은 뭐라고요. 중용을 지키면서 이성을 발휘하며 잘살아가는 것 제대로 사는
그런삶의 방식이라고 했습니다.
이게 바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우리에게 준 행복에 노하우입니다.
2강 : 칸트, 행복을 위한 이별의 비밀
그렇다면 간트는 어떤 행복의 노하우를 우리에게 줬을까요.
간트는 외부 세계의 조건 자체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그 조건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나 생각이 어떤 생각을 갖는냐에 따라서,
우리는 행복해질수도 있고 불행해 질수도 있다.
3강 : 하이데거, 행복을 위한 죽음의 비밀
자! 하이데거는 어떤 행복의 노하우를 우리한테 줬을까요.
하이데거는 바로 죽음을 미리 체험 함으로써 무한한 시간속에서
나의 세계를 창조적으로 의미있게 만들어가는 그런 삶을 살면
실존적인 삶이죠. 그러면 행복은 저절로 우리에게 찾아온다.
우리가 행복하게 살수있다. 라는 삶의 노하우를 우리에게 전해줬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가장 견디기 힘든 고통은 뭔지 아세요.
가장 견디기 힘든 고통은 절대적인 결핍이 아닙니다.
상대적인 결핍니다. 더불어 사는 사회 속에서 공정한 대우를 받지 못하면
행복할수가없죠.
4강 : 존 롤즈, 행복을 위한 정의의 비밀
지금 아리스토텔레스나 칸트나 하이데거가 말한 그런 행복의 노하우는 개인적
차원에서 충분히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그런 노하우 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혼자 사는게 아니고 더불어 살고있죠.
이렇게 더불어 사는 사회 속에서 우리가 행복하게 살수있는 삶의 노하우
이것은 바로 롤즈 가 우리에게 전해준 정의론 입니다.
자! 어떻게 살라고요.
가장 불리한 입장에 있는사람 가난하고 소외되고
차별받고 약하고 그렇죠. 그사람이 가장 유리하게 될수록
그사람 입장에서 생각한 그러면서 살면 바로 우리 모두가 나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행복하게 살수있다. 라는 것이 롤즈가 우리에게 전하는 행복의 노하우입니다.
여러분은 김광석이 노래한 “그녀처럼” 온 세상이 한꺼번에 무너진듯한
그런 고통을 느껴본적이 있습니까.
자! 어떤 이유로 혹시 부당한 대우를 받아서 자! 이제 뒤집어서 여러분 혹시
부당한 대우로 어떤 사람을 울면서 떠나 보낸적은 없습니까?
여러분은 가난하고 약한 이웃들을 나몰라라 한적은 없습니까.
가난하고 약한 이웃들을 소외 시키면 그들을 불행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나 스스로도 정의에 의긋난다는 양심의 가책 때문에 행복할 수가 없죠.
새해를 맞아 가난하고 약한 이웃들을 돌아보고 그들을 행복하게 만들고
여러분 스스로도 행복해 지기 위해서 스스로 무지 베일을 쓰는 자기
최면을 걸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여러분 행복하십시요.
아래 링크로 가시면 다시보기를 할수있습니다.
http://www.kbs.co.kr/2tv/sisa/tvlecture/view/vod/index.html
정말 좋은 강의였고 몇번을 다시 보다
여기에 글로 올리기 까지 제자신을 다시 돌아 보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듣고 받아 적느라 고생은 했지만 마음은 행복했습니다.

성남지구협의회 홍보부장[이재락]
첫댓글 좋은글 잘 보고 갑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이재락부장님..
안녕 하세요? 홍보부장님 2사랑 총무에요 언제나 밝은모습으로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