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전자호구의 현주소
태권도경기에서 호구가 무엇인지 전자호구가 도입된 경위나 사유가 무엇인지는 부언 할 필요가 없겠다. 전자호구의 현주소 어디에 와 있는가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12월 2일부터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팔레드 스포츠(Palais des Sports) 경기장에서 ‘2017 아비장 월드태권도 그랑프리 파이널(G8)’이 개최되었다. 대회명칭은 그랑프리 파이널인데, 대회의 운영모습은 대회명칭이 부끄러운 모습이었다. 전자호구 때문이다.여자-67kg결승전 경기가 이루워지지 못하고 다음경기로 미루워지는 상황이 초래되었다. 이뿐만이 아니고 경기시작마다 테스트깈을 하면서 확인하여야 했으며, 호구나 수신기를 확인하는 모습도 보였다. 이 경기가 올림픽이나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생중계방송이였다면 어떻겠나 생각을 하니 답답하기 그지 없었다. 이러한 일은 이 번만이 아니다.
현재 대다수 대회의 경기는 A사와 B사의 전자호구 제품으로 운영하고 있고, 별도의 운영체계 프로그램이 가동 되어야 하며, 선수입장에서는 손발등보호대라는 장갑형태와 양말형태의 보호구를 준비 하여야 한다. 경기운영주체는 전자호구와 전자헤드기어 운영체계프로그램을 업체로부터 임대하여 선수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며, 지도자들중에는 전자호구를 믿지 못하겠다며 복불복 전자호구의 선택운에의하여 승패가 좌우된다고 말하기도 하는 현실이다.
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생각해 보고 해결책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선수들이 구매하여 사용하는 손발등보호대에 대하여 불만의 소지가 적지않다. 저렴한 가격이 아니다는 불만과 소재가 늘어난다거나, 내구성이나 A/S도 미비하다는 등 문제시하는 선수들이 있다. 현재의 전자보호구는 압력과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정확한 접촉과 일정의 강도에 의하여 득점이 표출된다는 것이다. 발등보호대의 감응센서를 전자호구에 통으로 한겹 또는 물고기 비늘 형태로 붙이는 방법등을 생각해 볼만하다.
각급 팀이나 단체에서 전자호구나 프로그램체계를 일괄 구매하여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나, 운영체계 변경, 보관 관리소홀로 인하여 막상 경기장에 사용치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 또한 가격이 부담이되어 구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것은 소량 주문 생산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제작업체가 우리나라에는 없기도 할뿐만 아니라, 소규모로 영세하다는 데 그 이유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 이에, 국가적으로 지원 연구 제작 스시템을 갖춰 대량 생산 보급체계를 갖춤으로 저렴하게 구입하여 선수들이 각자 자신의 개인용품으로 사용 할수 있게하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하겠으며, 태권도를 통한 국부 창출의 기회이기도 할 것이다.
심판판정의 공정성부재에 의한 신뢰성을 전자보호구를 통하여 확보하여 국제경기나 올림픽종목에 유지시키게 한다는 데,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다, 그것은 전자화에 의한 규격화 표준화 일반화 체계화를 통한 세계스포츠 경기화에 일조 하였다고 동의 하기 때문이다. 다만 전자호구에 의한 스포츠화 된 태권도경기는 득점의 방법을 개선하여 역동적이고 전체적인 태권도 기술이 경기장에서 표출되기를 생각해 본다.
지난 W대학 총장기 5인조 단체대항 대회의 첫경기에서 전자호구의 문제로 인하여 일반호구방식의 심판채점으로 경기를 치룬적이 있다. 준비된 전자호구가 정상이 아니었기에 일반호구방식으로 경기를 변경하여 치룰 수밖에 없었으며 지도자들이나 진행 관리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물론 심판판정의 공정성 신뢰성을 담보하였으며, 지도자들도 이에 흔쾌히 동의하였다. 경기장에는 이외의 상황이 펼쳐지고 있었다. 팀과 무관한 입장에서도 매 경기마다에 흥미를 더하여 흥분하여 열광하는 모습에 카타르시스를 태권도경기를 통하여 갖을 수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결승전까지 이어진 경기에서 선수 관중뿐만이아니라 승자와 패자가 열광과 함성으로 하나된 시간이었다.
결론적으로 전자호구는 국가적차원에서 연구지원 책을 강구하여야 할것이며, 현재 국제스포츠경기화된 태권도 경기의 득점방식의 과감한 변화를 강구하여야 한다. 전자호구에 의한 경기와는 별도로 경기 진행 운영 판정의 신뢰성이 확보된 가운데 일반호구방식의 경기룰을 제정하여 하루 속히 재개함 속에 태권도의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조명해 나가자.
대한태권도협회 경기위원회 위원장 김경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