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비 및 시스템 낙후에도 불구, 성장 가능성은 높아 -
□ 러시아 콜드체인 개요
ㅇ 러시아 냉동·냉장 보관 및 유통설비는 낙후된 상황
- 식료품의 저장과 유통·판매에 이르는 현존 콜드체인 시스템은 기술과 현대적 설비의 부족으로 불완전함. 이는 소비자 시장의 식료품 품질저하와 높은 손실률, 만족감 하락으로 나타남.
- 주요 해산물 생산지역(극동)과 주요 소비지역(서부) 간 장거리 유통경로 및 부족한 유통경로 내 냉동설비 역시 큰 문제점
- 유통과정의 식료품 손실률은 20%에 달하며, 콜드체인이 발달한 선진국 9%의 2배가 넘는 상황
- 한편, 러시아 농수산부는 2017년 5월까지 총 2500톤의 해산물을 현장품질관리 미약으로 적발함.
ㅇ 러시아의 냉동·냉장설비 산업은 수입 의존도가 가장 높은 산업 중 하나임.
- 신선식품의 운송을 위한 냉동 컨테이너는 대부분 수입품이며, 관련 분야 러시아 기업은 대부분 유통업체임.
- 이미 1980년대 콜드체인 시스템이 갖춰진 선진국을 본 따, 설비와 시스템을 현대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음.
ㅇ 수입대체 및 러시아 콜드체인 발전을 위한 정부기관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 러시아 냉장산업연합과 냉장산업과학연구소가 공동으로 생산, 가공, 저장, 운송, 판매에 이르는 통합 콜드체인의 형성과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수립
- 러시아 산업통상부는 극저온저장기술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위원회 전문가 그룹 조성, 냉동산업의 수입대체프로그램 실행 준비에 착수함.
- OK사의 기술 디렉터 Kirill Tushev에 따르면 콜드체인산업의 발전은 러시아 전체 경제상황 안정과 법제도 구축, 관련 설비 제작 자금조달의 가능성, 서방의 식품 수입에 관한 제재 등의 요소에 종합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
□ 러시아 콜드체인 현황
ㅇ 현재 콜드체인 냉장설비의 74%는 어선에, 26%는 연안과 대륙에 분포돼 있음.
- 냉장설비의 74%가 선박냉장설비, 17%가 항구냉장설비, 9%가 육지의 유통냉장설비
- 선박냉장설비는 급속냉동, 냉기발생, 냉동저장, 환기시스템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러시아 냉장설비 및 유통구조

자료원: http://holod-delo.ru
ㅇ 러시아 최대 수산도시가 위치한 극동지역에서 냉장설비 용적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극동유역의 항구에서 냉장보관설비 총 수용용적은 15만 톤, 냉장가공설비 용적은 30만 톤임.
- Vladmorrybport, Dlcomkholod, DV Port 등 러시아 제조회사들은 총 6만 톤의 항구냉장설비 공급
지역별 냉장보관 및 가공설비 현황
북서지역 | 극동지역 | 남부지역 |
무르만스크, 칼리닌그라드, 상트페테르부르크, 아르한겔스크 | 블라디보스토크, 나홋카, 캄차카, 사할린 | 아스트라한, 마하치칼라, 노보로시스크 |
- 냉장보관설비 용적: 8만 톤 - 냉장가공설비 용적: 3만 톤 | - 냉장보관설비 용적: 14만 톤 - 냉장가공설비 용적: 30만5000톤 | - 냉장보관설비 용적: 3만 톤 - 냉장가공설비 용적: 7만5000톤 |
자료원: http://sztufar.ru
ㅇ 식료품 유통을 위한 냉동창고의 경우 약 70%가 모스크바를 비롯한 유럽인접 서부지역에 분포
- 주요 해산물 생산 및 가공지역인 극동에는 6%의 냉동창고만이 설비돼 있음.
- 서부 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 페름, 알타이, 이르쿠츠크, 케메로보, 우랄 등 주요 해산물 유통경로에는 해산물 유통을 위한 특수냉동창고설비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자료원: http://sztufar.ru
지역별 냉동창고 추가 수요 용적(예상치)
항만지역 |
건설지역 | 냉동창고용적(톤) |
블라디보스토크 | 10,000 |
페트로파블롭스크 | 5,000 |
나홋카 | 10,000 |
사할린 | 10,000 |
아크타르스크 | 10,000 |
육지운송로 지역 |
노보시비리스크 | 5,000 |
예카테린부르크 | 10,000 |
자료원: http://sztufar.ru
ㅇ 현재 러시아 냉동·냉장설비의 대부분이 수입품이며, 현재 가용설비의 낙후도는 굉장히 높은 상태
- 대부분의 항구 냉장설비의 40%가 현대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며, 대부분은 이미 30년 넘게 가동 중임.
- 낙후된 설비와 유통냉동설비 절대적 수량의 부족으로 현재 서부 대도시를 중심으로 증가하는 해산물 수요 충족이 불가능한 상황
- 현재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현대적 기준의 냉장보관 및 가공설비용적 부족량은 60만~70만 톤으로 나타남
- 수입설비가 90%(70% 부품조달 현지조립, 20% 완제품 수입)를 차지하며 Transcontainer, Refservice사 등의 러시아산 컨테이너도 사용됨.
ㅇ 러시아 콜드체인산업의 문제점 보완 및 발전을 위한 정부지원 프로그램이 진행 중임.
- 러시아 어업부는 2030년까지 해산물 품질보존을 위한 현대적 통합 냉장보관, 유통시스템 발전을 위한 전략프로그램을 계획
- 2030년까지 최소 5%의 연평균성장률, GDP비중 두배 상승이 주요 목표
- 2018~2025년 6000억 루블 규모의 사적 투자 유치, 50% 이상의 어선 현대화와 현재 가동 중인 냉장설비 평균 사용기간을 30년에서 20년으로 단축하는 것이 주요 골자
□ 냉동·냉장설비 수입현황
ㅇ 러시아 콜드체인 냉동, 냉장설비 수입규모는 2015년 큰 감소 이후 안정화 추세
- 2015년에 냉장설비 수입은 루블화 가치절하로 인해 38% 감소했으며, Top100 관련 회사들의 판매량은 달러기준 22% 감소
- 최근 2년간, 냉장설비 분야 관련 회사들의 7%가량이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한 상태
- 2016년에 전년대비 냉장설비 수입이 2.8% 증가함.
- 식료품 운송을 위한 냉동밴의 경우 Thermo King, Carrier 등의 외국제품이 가동됨.
ㅇ 2016년 말 기준, 러시아의 냉장설비 수입은 9억4360만 달러 규모임.
- 전년대비 2.8%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2011~2014년 평균 수입량에 비하면 2/3수준
- 냉장설비 대량생산의 부재와 루블화 하락으로 인한 수입력 악화로 중국 제품의 비중이 큰 상황
- 57%의 수입이 중국·벨라루스·독일·이탈리아 4개 국가에서 이루어지며, 40%의 수입이 유럽국가에서 이루어짐.
2011~2016년 냉장설비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러시아 연방관세청
2016년 국가별 냉장설비 수입현황

자료원: 러시아 연방관세청
ㅇ 냉장설비 컴프레서(HS Code 841430)의 수입 역시 2016년 증가
- 2016년 컴프레서 수입은 전년대비 5% 증가해 2억8100만 달러규모
- 컴프레서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 독일, 슬로바키아, 한국으로 총 러시아 수입량의 62%를 차지함.
- 독일과 슬로바키아로부터의 수입은 전년대비 16% 증가, 미국과 벨라루스 수입량은 각각 50%, 40%로 급격히 증가함.
2011~2016년 냉장설비 컴프레서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러시아 연방관세청
국가별 2016년 냉장설비 컴프레서 수입현황

자료원: 러시아 연방관세청
ㅇ 아래와 같은 외국 냉장설비 제조회사들이 주요 공급사임.
- Bitzer Kühlmaschinenbau GmbH, Danfoss A/S, Dover Corp., Emerson Electric Co., GEA Group Aktiengesellschaft, Hussmann Corp., Industrial Frigo S.R.L., Johnson Controls Inc., Star Refrigeration Ltd. and United Technologies Corp.
ㅇ 수입 냉장설비는 아래와 같은 러시아 현지 회사로부터 유통됨.
- SPS-COLD, POLAIR, TRADE GROUP, COLD, RUSSIAN COLD, MARCON-COLD, RUSSIAN COPPER TUBES, ROSHOLOD
□ 시사점
ㅇ 러시아 콜드체인 냉장설비 시장성장 잠재력이 클 것으로 전망됨.
- 손상률이 높은 현재 가동 냉장설비를 대체하려는 러시아 어업부의 계획으로, 경제안정과 더불어 냉장설비 수입량은 증가할 것
- P&S Market Research에 의하면, 전체 냉장설비 시장규모는 연평균 7.1%의 성장률로 2014년 226억 달러에서 2020년 339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러시아 냉장설비에서 R22와 R134A 냉매 사용허가 기간은 2020년까지로, 이후 러시아 수출용 선박 냉장설비를 설계하는데 있어 참고 요망
ㅇ 냉장설비, 특히 냉동컨테이너 자체생산 수입대체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진출 가능성이 높은 상황
- 언론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정부는 외국 회사들의 러시아 냉장설비 수입대체 프로그램 투자 참가를 허가 및 독려하고 있음.
- 컴프레서 주요 유럽 수출국과 미국의 제조사들은 러시아산 컴프레서 생산라인 완성으로 인한 관련 시장의 미래 경쟁 심화를 이유로 러시아 현지화 제조를 위한 합작투자 프로젝트 참가에 소극적임.
- 냉장설비 및 컴프레서 주요 수출국 Top 5의 한국이 러시아 수입대체 프로그램 투자에 참여한다면 관련 분야 영향력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음.
러시아 콜드체인 진출 문의처
기업명 | 상세 내용 |

Rossiuzkholodpro | - 2003년 설립된 비영리 러시아 냉장설비 제조사 연합단체 - 연합 회원 제조사들이 당면한 공공의 산업과제 해결을 기본으로, 러시아 연방에서 추진하는 관련 산업 다양한 발전프로그램의 발전과 실행에 참여하는 것이 주요 목적 - 주소 : Russia, 101000, Moscow, ul Myasnitskaya, 8/2, building 1 - 전화번호: 7-495-6210227 - E-mail: holod@rshp.ru - 웹사이트: http://rshp.ru/ |
자료원: http://holod-delo.ru/dubrovin2.pdf, http://www.rshp.ru/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523:2017-10-05-12-12-32&catid=62:2009-08-28-05-54-21&Itemid=2,http://www.holodteh.ru/UserFiles/File/Xt-4-12/38-39.pdf/post314-2014.pdf,http://expert.ru/northwest/2017/14/ryibnoe-mesto/, http://sudact.ru/law/prikaz-minselkhoza-rossii-ot-20042017-n-189/strategiia-razvitiia-morskikh-terminalov-dlia/3/peregruzochnye-kompleksy/krupneishie-morskie-porty-rossii-po/,http://www.holodteh.ru/UserFiles/File/Xt-4-12/38-39.pdf, http://soyuzmash.ru/docs/prot-kxkp-230816.pdf,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