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① 한국철도 (영업, 정책) 16476번 글보고 생각 난건데 만약에.............
駕洛國(가야) 추천 0 조회 433 06.10.22 16:52 댓글 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6.10.22 17:35

    첫댓글 친러파의 대거 육성으로 러시와와 긴밀하게 철도간의 상호협의 끝에 광궤로 러시아철도와 연결시켰을 듯 합니다^^;; 한마디로 우리나라가 표준궤가 아닌 광궤로 갈수도 있지 않았을까하는 매우 가방끈 짧은 생각!

  • 작성자 06.10.22 17:41

    일리 있는 말씀입니다만, 제생각에는 친러파가 득세했더라도 러시아를 경계하지 않을수 없고 처음 만든 경인선이 이미 표준궤인 바에야 그래도 표준궤로 했지 않을까요? 거기다 광궤가 공사비하고 땅도 더 잡아먹는다고 하니까.............

  • 06.10.22 17:54

    중요한점은... 친러파가 활동했던때가 경인선 부설 전이라는거~ 하지만 경인선 빼고라니.. 뭐 할말 없네요ㅡ.ㅡ;;

  • 작성자 06.10.22 17:56

    물론 그렇죠。

  • 06.10.22 19:14

    중요한것은 표준궤로 부설할것을 결정한것은 대한제국 정부라는 점입니다. 대한제국이 멀쩡했어도 궤간은 변동이 없었을 겁니다. 물론 호남선은 대전이북에서 분기됬겠지만요.

  • 06.10.22 19:18

    혹시 호남선 아닐까요? 다른 노선에 비해 건설하기도 수월하고, 그 당시에는 쌀이나 이런게 호남에서 제일많이 나왔을테니까요. 일본이 경부선을 건설하자, 호남선만큼은 조선 내부에서 지으려고 했으나 실패했다는 말을 어디선가 들은 적이 있습니다.

  • 06.10.22 21:37

    국내 자본에 의해 부설권을 받았으나 자금난으로 인해 일본이 만들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경의선은 원래 프랑스가 부설권을 받았었죠.

  • 06.10.22 22:05

    아무래도 경부본선이 먼저겠죠. 대한제국이 건재하다고 봤을때 당시 최대 교역국은 일본이니 개항장인 부산을 잇는 철도가 우선으로 건설됐을 듯 합니다. 예로 러시아, 독일, 영국, 일본, 청 등의 주요 무역회사는 부산에 주재하고 있었죠. 또 해외 각 항구를 연결하는 연락선도 원산, 제물포, 부산, 진남포(남포) 중 부산이 제일 많았습니다. 그런데 노선은 일제처럼 다급하게 건설할 필요가 없었으니, 지금이 아닌 중부내륙선 쪽으로 돌아서 건설됐을 듯 합니다. 대전은 지금처럼 발전하지 못했겠지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