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4.15총선을 되돌아본다. 그이전 2002년 지방선거와 대선, 그리고 더 거슬러 올라가 2000년 4월 총선의 패배뒤에 민주노동당의 창당, 안산지역의 민주노동당도 이러한 숨가쁜 진보정당의 발전에 발맞추어 왔다.
2000년의 패배를 딛고 일어선 민주노동당은 2002년 대선후 상록갑, 을구의 행정구역편재후 2개의 지구당 분화 창당을 준비하게 된다.
2003년 2월 상록지구당의 창당은 어렵사리 만들어낸 소중한 성과이다. 상록갑지역 당원 100여명이 지역진보정치 강화의 기치아래 합심노력한 성과이다.
2003. 2월 1기 위원장 선거는 3명의 후보 각축전이 벌어졌다. 지구당 창당준비기간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던 2명의 후보가 추가적으로 지구당 위원장 출마에 나서 세규합을 하고 나선 것이다.
결국 지구당 위원장은 현재로 경기도 여성비례대표로 도의원직을 가지고 있는 박미진 당원의 당선으로 1기 집행부가 꾸려졌다. 약 4개의 동분회를 중심으로 편재된 지구당에서 안산상록 지구당은 2004년 총선을 준비하게 된다. 2003년 11월 이준모후보의 국회의원 후보선출을 통해 총선 출마를 결정하고 조직, 재정등 당내 선거운동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이런 와중에 선거법의 개정으로 2개의 선거구이던 안산은 그 두배인 4개의 선거구로 확대조정된다. 단원지구당은 노세극 위원장(당시)이 출마하고 일부 안산지역내에서는 1개지역구에 집중하여 선거에 대응하자는 분위기가 있기도 하였으며, 노세극 후보의 경우 시민단체활동과 연관성이 많은 후보의 출마로 지역구이전을 검토하는등 안산지역의 민주노동당은 여러 가지 정치변수를 받게 된다.
상록지구당 역시 상록 갑, 을이라는 상황에서 녹색사민당 후보의 본오, 사동 지역구 출마는 진보정당의 후보로서 노동출신 후보와 경합해야 하는 상황에서 지역구이전논의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논의의 바탕에는 민주노동당을 통한 노동자 민중의 진보정당 강화라는 원칙의 문제가 여전히 당내, 지역, 당원들간에도 시각의 차이가 존재함을 들어내고 있다.
순탄치 않은 총선과정을 거치면서 6%대의 후보지지율과 13%대의 정당지지율을 이끌어내며 힘겨웠던 지역총선은 끝이 났다. 많지 않은 재원과 당원들속에서 그래도 마지막까지 선전할 수 있었던 것은 다른 아닌 민주노동당이 노동자 민중의 희망을 노래하는 진보정당이기에 어려움을 극복하겠다는 당원들의 땀의 결실이지 않을 수 없다.
2. 당의 쇠퇴, 지구당의 위기
노무현의 열린우리당은 노사모의 깃발과 함께 전국을 휩쓸었다. 개혁과 참여라는 기치아래 우리는 패배하였지만 약진하였다. 역사상 첫 진보정당의 원내진출을 이루었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앞에 놓인 현실은 녹록하지 않았다. 지역에서 돈먹는 하마로 보수정치의 부정부패로 지목되는 지구당은 폐지로 법률과 제도가 바뀌었다. 진보정당의 지역정치를 펼치는 무기로 벼뤄져야 할 지구당은 낡은 시대의 청산해야 할 대상으로 전락하였다. 당내 정파간 갈등과 엉뚱한 사고뭉치들의 당 중앙은 노동자 서민의 진보정당이자 일하는 사람들의 희망이어야 할 당의 미래를 하루가 다르게 그냥 그저 그렇게 있는 듯 없는 듯 할 듯 말 듯 이도 저도 아닌 당으로 재탄생 시켜 버렸다.
지켜야 할 원칙이 그냥 옛날에 읊조리던 과거로 치부되고 날마다 벌어지는 민중의 삶, 민생이 당의 고민의 중심화두이자 실천이어야 함에도 부유세나 무상교육, 무상의료는 한번 불렀던 유행가 자락처럼 옛날 선거유세 방송가락에서만 맴돌며 남아 있을 뿐이다.
2005년 당대회는 별다른 의미없이 끝났다. 당내는 말도 많고 탈도 많지만 두껍게 만든 당대회자료집에는 어디에도 민주노동당의 현재와 앞길에 문제가 있다고는 한줄도 적혀있지 않았다. 당원의 인식과 차이가 벌어지는 당, 당원의 감정과 의견을 반영하지 않는 당이라는 그것은 이미 껍데기이며 정치적 미래를 담고 있지 못하다.
3. 지역위원회 통합이 살길인가
2005년 당대회는 지구당 편제에 대하여 지역위원회로 개칭하고 기초지자체 단위에 지역위원회를 구성하고 행정구의 경우 지역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고 결정하였다. 당초 선거구별로 만들어 다수의 지역위원회를 창설하고 이를 통해 지역위원회 위원장, 중앙위원등 당내 정치의 지분내지는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높이려는 시도로 준비되었던 지역위 편제문제는 선거구별 창설이 부결되고 지자체별로 하되 행정구는 열어두는 선으로 정리된 것이다.
한편 이는 안산지역같은 경우 이러한 결정에 대해 직접적 관계를 갖고 있다. 2004년 총선이후 단원지역은 이하연 위원장이 임기 2년의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상록은 2005년 2월 위원회 총회를 통해 임기2년의 김초환 위원장을 선출하였다.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볼때 강원도의 한지역은 현재 지역위원회가 태백, 영월, 평창, 정선 지역이 한개의 지역위로 통합되어 있다. 전체당원수는 200여명에 달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지역은 이번 당대회 결정에 따라 4개의 지자체 단위로 분화해야 한다. 재정상의 어려움으로 상근자 사무실 확보가 당장 해결하기 힘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한다.
이와 달리 상록지역위는 당원 450명, 단원이 이에 조금 못미치는 숫자로 상록 단원 합치면 900여명에 이른다. 400명을 넘는 지역위가 전국에서 몇 개나 될 것인가. 서울과 울산, 창원등을 제외하면 극소수일 것이다.
인구 70만의 안산, 4개의 선거구를 포괄하는 안산지역의 2개의 지역위를 1개로 통합하는 것이 지역에서 민주노동당의 위상을 높이고 재정안정화와 효율적 운영으로 엄청난 위력을 발휘할 것인가
민주노동당의 미래는 재정의 해결이나 효율성의 제고에 있지 않다. 당원의 참여이다. 민주노동당의 원칙은 무엇인가. 왜 민주노동당을 만들었고 왜 당신은 민주노동당의 당원이 되었는가
지역위원회는 지역진보정치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과연 얼마나 지역속에서 노동자 서민이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그것은 1000명의 민주노동당 안산위원회가 해결해 주지 않는다. 강력하고 똑똑한 위원장이 마이크 잡고 폼잡는다고 이루어지지도 않는다.
지역위에서 활동하며 참여하며 실천하는 당원들, 그리고 당이 얼마나 노동자 서민의 곁에서 튼튼한 벗이 될 수 있는가 그것이 문제이다.
그렇다면 과연 지역위 통합이 중요한 과제이고 민주노동당 발전을 위한 방안인가. 답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상록지역위원회의 발전, 그리고 단원지역위원회의 발전 그런 과정속에 민주노동당은 더욱 민주노동당 다워져야 한다. 자꾸만 자신의 색깔을 버리고 어영부영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과거 안산이 한개의 지부, 안산시흥지부였을때 보다 지금의 민주노동당은 훨씬 더 강력하고 다양하며 역동적이다. 이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아마 그때가 훨씬 자기들 입맛에 맞았다고 보는 것에 다름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