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증상(1872~1949) 등의 서발서남사의 《余吟草草》 시고책(詩册册)
출처:서령경매 소스: EK 이페어케이 플러스 https://ownermarket.net/nplanet/profile/57
도록번호:2704
견적 RMB: 30,000-50,000
거래가격RMB: 126,500(수수료포함)
2704
부증상(1872~1949) 등의 서발서남사의 《余吟草草》 시고책(詩册册)
선장본 한 권
일부 식문: 청손형에게 맡겨진 지 수년이 지났다.왕자는 그 선대의 유저속을 제목과 지식으로 맛보았다맑은 덕을 향유하고 맑은 향기를 멀리하며그 때문에 송탄해 마지않았다. 지난 가을 말을 하고 장원을 하였더니, 태부인의 시 원고를 받들어 말하였다.성품이 진지하고, 기품이 충만하며, 자연스러우며, 거짓 없이 꾸민다.세상의 자긍심과 재치가 뛰어난 사람은 판이하다.그렇지 않다. 남은 백 년 안에 고향 사족들은 재원이 많으니, 모두 예의를 지키며, 시대의 이름에 연연하지 않다.문정(門,)에서는 노래할 수 없고, 성(姓)은 뒷골목에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정사를 차리는데, 우규원의 시는 견채(,甄)보다 어려우며, 이는 원래 여덕(女德)의 정숙(貞靜)에 기인한다.그러나 명장준은 무슨 연유인지 매몰되어도 드러나지 않으니, 참으로 아깝다.지금 태부인의 시는 청손이 이미 공교에서 재물을 가르쳤으니, 급히 널리 알려서 타일양헌의 채취를 대비해야 한다.또한 여문으로는 소산전태부인(夫人山方太夫人)이 청대 규수예문지집(淸代志秀藝文志集)이 있어 천백가(千百家)까지 채집하였다청손은 어찌하여 이 편제를 보내어 집안에까지 드리지 않는가.오지옥대시사에는 선문군(宣文君)이 한 석 높이 자리 잡고 있다.갑신삼월 강안부증상은 옹산의 소와지(窝窝甲검인: 부증상(주) 계묘관원(백) 쌍감루(주)
저록: 《수여음초》, 서남평찬, 복청사평, 서식가래주, 민국23.1934) 연판본.
설명: 청나라 말 규원 서남과(南南(, 1865~1894)의 '여음초(诗吟草草)' 시 원고이다.한 권에 푸증상(识湘、), 쉬식가래(、識耜),장조용·진시·복량지 등의 서발, 녹복서씨 자작시 610여 곡의 원고 중 자필이 많이 바뀌었고, 가래의 평주가 서식(注識)되어 있었다.시의 원고는 민국 연간에 곧 있다발표가 있다.
서씨는 리수이 복씨와 시집갔다.복씨는 청대 말기에 일어난 대족으로, 스스로 일공 이하를 자칭한다.승계당. 복현각계간일시아버지의 증손자로 아내 복서씨(徐氏氏)를 맞아 아들 복량지(良良至)를 낳았다.복씨 후손은 복존신이 있다.
부증상은 1944년, 그 발문에서 복서씨(徐氏氏)의 시를 "성품이 진지하고, 기운이 충만하다"고 극찬하였다.겉만 번지르르하고 겉만 번지르르하지 않는다세상의 자긍심과 재치 있는 자와는 판이하다"며 "100년 이내"라고 개탄했다.고가의 사족들은 대부분 재주가 많았으나, 고인은 고루 예의를 지키며, 시대의 이름과 사례에만 급급하지 않았다.성은 문정에서 나오지 않는다.글자가 뒷골목에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자연히 규원의 시를 뽑기가 어려웠는데, 이는 원래 여덕에 기인한 것이다.정정이란 이름은 장준한 것인데, 인몰불창(没不不,)이니, 양족(良足)이 아깝다."
복서씨(良至氏)의 아들 복량지발(跋良跋跋)에 의하면, 《余吟草草》의 시책은 그의 선비 서태부인(先徐 据吟太夫人之유저, 복서씨 본관은 안휘숙이다.현은 광서갑오(1894)에 사망하였다.1934년 여름, 복량은 책상자에 이르러 무심코 시고를 검수하고, 외삼촌씨 서식에게 빌었다.가래 등이 서문을 짓고, "월"5년(1939년), 시극은 자금을 모아 인쇄에 부쳤다"고 했고, 1943년 시책 원고를 다시 추가했다.철하다.
진시의 서문인 《余唫草草》》는 1934년에 지은 것이다.서식가래(단보)의 서문 1935년.
[FU ZENGXIANG, ETC.] XU NANPING POEM MANUSCRIPTS OF XIU YU YIN CAO
One volume
Literature: Xiu Yu Yin Cao, 1934
30×20.5cm
RMB: 30,000-50,000
발자 소개:
1. 부증상(增湘(, 1872~1949), 자는 숙화(和和), 자는 원숙(号,), 호는 강암(庵,)이다.별호 서잠씨, 쌍감루 주인청천일수, 장원노인, 실명 장춘실, 쌍감루, 사천강안인. 유명한 장서가, 판본목록학자.광서 24년 진사.신해혁명 후에는 교육총장 등을 역임했다.1927년 고궁박물관 도서관장을 지냈다.
2. 복량지(良良(, 1878~1960), 자는 청손(靑,), 재명은 고도재(古度齋), 장쑤리(江溧溧)이다.수인. 산동대학교를 다니다당. 동3성 관은호감리, 길림흑룡강국세청 주책을 역임비처장. 1914년 강서재정청장, 1929연임에 봉천의현 현장이 되었다.현지에 리링시사(凌诗詩社)를 설립했다.1930년에 쑤이중 현의 현장이 되었고, 1931년에 전근되었다열하성에서 직무를 맡았으나,918사변 후에 복량은 벼슬을 그만두고 북평으로 이주하였다.1940년 이후 화북정무위원회 재정총서 참사 대행을 지냈다.
3. 가래(((, 1860~?), 자는 단보(丹,), 안후이(安歙) 척현(县人) 사람이다.제생. 선예서, 철필, 간도 매화, 희화등문공하비(灵文公下碑)·위영장비(字靈藏碑)를 모아 시를 지었다.저서로는 《방렴심실거시전(著《心室诗詩》。
4. 장조용(張朝(, 1860~1942), 자는 북벽(北,), 자는 백상(翔,), 호는 반원(半園)노인. 긴 수염을 기른다고 하여, 일명 '老人老人'라고도 불린다.장수염을 위하여 사천에서 절개를 받들다.조부 장제주, 족조 장제관균청나라의 가경을 위해 간거인.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시문과 서예에 능하였다..광서연간중발공기문재자(门門子子)로 불린다.공물을 뽑은 후, 봉계·의빈·청두 등지에 차례로 임관하였다.가르치다.
5. 천시(陳詩, 1864~1943) 자는 자언(子言), 호는 학차이(鶴,), 안후이성 루장현(县江5.)사람. 광서 4년, 같은 리사를 얻었다.장서정의 가르침은 학업에 정진한다.광서 25년(189)9년) 남경·상해에 체류하면서, 문정식·정효서 등의 명가를 받았다.손가락질하다. 일찍이 민국 초에시단점장록(詩壇點將錄)은 108명의 시인에 이름을 올렸다.
傅增湘(1872~1949)等序跋 徐南苹《繍余吟草》诗稿册
图录号: 2704
估价RMB: 30,000-50,000
成交价RMB: 126,500(含佣金)
2704
傅增湘(1872~1949)等序跋 徐南苹《繍余吟草》诗稿册
线装书 一册
部分识文:余得托交于青孙兄已数年矣。往者尝举其先世遗著属为题识,眷怀明德,远挹清芬,为之诵叹无已。昨秋过话藏园,奉太夫人诗稿相示,性情真挚,气韵冲和,纯出自然,不假雕饰,与世之矜炫才智者迥不相侔。余尝观百年以内故家士族多有才媛,皆恪守礼度,不骛时名,酬唱不出于门庭,姓字罕传于里巷,故自来操选政者,于闺媛之诗往往艰于甄采,此固由女德之贞静。然名章隽什缘是湮没不彰,良足惜也。今太夫人之诗,青孙既已恭校授梓,亟宜广事传扬,以备他日輏轩之采。且余闻萧山钱太夫人方有清代闺秀艺文志之辑,搜采至千百家。青孙盍检送兹编,兼呈家传。吾知玉台诗史中当为宣文君高置一席也。甲申三月江安傅增湘识于瓮山之邵窝。钤印:傅增湘(朱) 癸卯馆元(白) 双鉴楼(朱)
著录:《绣余吟草》,徐南苹撰,濮青士评,徐识耜注,民国二十三(1934)年铅印本。
说明:此为清末闺媛徐南苹(1865~1894)《繍余吟草》诗稿一册,傅增湘、徐识耜、张朝墉、陈诗、濮良至等序跋,录濮徐氏自作诗六十余首。稿中有大量亲笔改动,并有徐识耜批注。诗稿于民国年间即有发表。
徐氏嫁入溧水濮氏。濮氏是清代晚期兴起的大族,自干一公以下自称“承启堂”。濮贤恪系干一公曾孙,娶妻濮徐氏,生子濮良至。濮氏后人有濮存昕。
傅增湘题于1944年,其跋中盛赞濮徐氏诗作“性情真挚,气韵冲和,纯出自然,不假雕饰,与世之矜炫才智者迥不相侔”,并感慨“百年以内,故家士族多有才媛顾皆恪守礼度,不骛时名,酬唱不出于门庭,姓字罕传于里巷,故自来操选政者于闺媛之诗往往艰于甄采,此固由女德之贞静,然名章隽什,缘是湮没不彰,良足可惜也。”
据濮徐氏之子濮良至跋中所述,《繍余吟草》诗册为其先妣徐太夫人之遗著,濮徐氏原籍安徽歙县,于光绪甲午(1894年)逝世。1934年夏,濮良至于书簏中无意检得诗稿,并乞舅氏徐识耜等人作序,“越五年(1939年),始克筹资付印”,1943年复将诗册原稿重加装订。
陈诗序文《繍余唫草序》作于1934年。徐识耜(丹甫)序言作于1935年。
[FU ZENGXIANG, ETC.] XU NANPING POEM MANUSCRIPTS OF XIU YU YIN CAO
One volume
Literature: Xiu Yu Yin Cao, 1934
30×20.5cm(册)
RMB: 30,000-50,000
题跋者简介:
1. 傅增湘(1872~1949),字叔和,又字沅叔,号姜庵,别号书潜氏、双鉴楼主人、清泉逸叟、藏园老人,室名长春室、双鉴楼,四川江安人。著名藏书家,版本目录学家。光绪二十四年进士。辛亥革命后,历任教育总长等职。1927年任故宫博物院图书馆馆长。
2. 濮良至(1878~1960),字青荪,斋名古度斋,江苏溧水人。曾就读于山东大学堂。历任东三省官银号监理、吉林黑龙江国税厅筹备处处长。1914年任江西财政厅长,1929年任奉天义县县长,并在当地成立溧凌诗社。1930年任绥中县县长,1931年调至热河省任职。九一八事变后,濮良至辞官迁居北平。1940年后先后任代理华北政务委员会财政总署参事。
3. 徐识耜(1860~?),字丹甫,安徽歙县人。诸生。善隶书,工铁笔,间亦画梅,喜集邓文公下碑、魏灵藏碑字为诗。著有《芳蠲心室居诗钞》。
4. 张朝墉(1860~1942),字北墙,一字伯翔,晚号半园老人。以蓄长须,又被称为张髯。四川奉节人。祖父张济周、族祖张济宽均为清嘉庆间举人。自幼聪慧好学,工诗文,精书法。光绪年间中拔贡,有“夔门才子”之称。考取拔贡后,先后到蓬溪、宜宾、成都等地任教。
5. 陈诗(1864~1943),字子言,号鹤柴,安徽省庐江县人。光绪四年,得同里士张瑞亭的教诲,学业精进。光绪二十五年(1899年)旅居南京、上海,受文廷式、郑孝胥等名家指点。曾被民国初年《诗坛点将录》列为108名诗人之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