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노박덩굴과의 상록관목. | |||||||||||||||
|
겨우살이나무·동청목(冬靑木)이라고도 한다. 바닷가 산기슭의 반 그늘진 곳이나 인가 근처에서 자란다. 높이 약 3m이다. 털이 없고 작은가지는 녹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두꺼우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3∼7cm, 나비 3∼4 cm이다.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털이 없다. 뒷면은 노란빛을 띤 녹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5∼12mm이다.
꽃은 6∼7월에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조금 납작한 꽃자루에 많은 꽃이 빽빽이 핀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둥근 삭과로서 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4개로 갈라져서 붉은 가종피로 싸인 종자가 나온다. 흔히 관상용이나 산울타리용으로 심으며 약재로도 쓴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잎이 타원형이고 길이 5∼7.5cm인 것을 무룬나무(var. macrophylla), 잎길이 6∼9cm, 나비 2∼3.5cm인 것을 긴잎사철(var. longifolia), 잎가장자리에 흰색 반점이 있는 것을 흰점사철, 잎에 흰색 줄이 있는 것을 은테사철, 잎에 노란색 반점이 있는 것을 금사철, 잎가장자리가 노란색인 것을 금테사철, 잎에 노란색과 녹색 반점이 있는 것을 황록사철이라고 한다(출처-네이버)
침엽수가 아닌 활엽수로서 사철 내내 푸르름을 유지하면서 전국적인 분포를 지닌 나무가 바로 이 사철나무입니다.
생명력이 아주 좋아 바닷가의 소금물이 직접 뿌리에 닿아도 끄떡없을 정도라고 합니다. 그래서 생울타리용으로, 황무지 개간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두터운 혁질의 잎은 반짝반짝 윤이 나며 6월에 정확히 4등분되는 둥글둥글한 꽃이 피는데, 우주인의 모습처럼 삐죽 튀어나오는 꽃술이 무척 재미있게 생겼습니다.
줄기 껍질을 이뇨 강장제로 쓴다고 합니다.
어디서나 흔히 보는 사철나무이지만 그 꽃을 본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화려한 색깔도 아니고 또 어디서나 볼 수 있기 때문에 더 무심히 지나쳤던 까닭이겠지요. 소중한 것이 떠날수록 그리움은 짙어지고, 가까이 있을 때 잘해주지 못한 안타까움에 발만 동동 구르는 게 인간의 대표적 실수라더군요.
우리가 먼 데 한눈 팔고 있는 사이, 쓸데없는 지식에 매달려 있는 동안 우리 곁에서 멀어져 가는 소중한 것들!! 무심한 시선 한 번, 지나가는 말 한 마디에도 감동할 줄 아는 그것들, 그분들을 잊지 않는 생활이 되기를 간절히 기원해 봅니다.
유사종
▶무룬나무(var.macrophylla REGEL.): 잎이 타원형이고 길이 5-7.5cm이다.
▶긴잎사철(var.longifolia NAK.): 잎이 길이 6-9cm, 나비 2-3.5cm이다.
▶흰점사철 : 잎가장자리에 백색 반점이 있다.
▶은테사철(for.albomarginata Rehder): 잎 주위에 흰색 테가 있다.
▶금반사철(for.aureo-variegata Regel): 잎에 황색 반점이 있다.
▶금테사철(for.aureo-marginata Rehder): 잎가장자리가 황색이다.
▶황록사철(for.viridi-variegata Rehder): 잎에 황색과 녹색 반점이 있다.
개화기 때 똥파리가 많이 모여들어 위생적인 곳에서는 정원수로 적합하지 않다.
새로 나온 잎은 백분병에 걸리기 쉬우며 잎이 하얗게 된다. 충해는 봄에서 여름에 걸쳐 자벌레가 많이 발생하여 잎을 갉아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