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파는 문과 =대과급제자를 25 명 배출 하였다
선조조에서 이 성중 / 이 유징 부자와 이 경중과 이 양중 / 이 유연 부자가 급제 하고
인조조에서 이 명웅이 급제 하였고
현종조에서는 이 덕령이
숙종조에서 이 귀령 / 이 원령 / 이 구령 / 이 만령 / 이 봉령이
경종조에서 이제담이
영조조에서 이 제화 / 이 헌경 / 이 한경 3 부자와 이 제암 / 이 복경 / 이 제현 / 이 진기
정조조에서 이 기경 / 이제형
순조조에서 이 정두
철종조에서 이 수증
고종조에서 이 수인 ( 고종 황제 비서 )이 급제 하였다
3 대 연속 대과 급제는 이 성중 / 이 유징 / 이 명웅 집안과 이봉령 / 이 제현 / 이 기경 집안이 있고
3 부자 대과 급제는 영조조 이 제화 / 이 헌경 / 이 한경이 있다
3 형제 대과 급제는 선조조 이 성중 / 이 경중 / 이 양중이 있다
형제 급제자는 이 원령 / 이 구령
2 대 연속 급제는 이 양중 / 이 유연등이 있다
사마 합격자는 무려 108 명 무과 8 명 의과 2 명이 있다
현종 어의 지낸 이 명상은 서천공 공호 이 양중의 후손으로 의과에 합격 하였다
(무과는 임진왜란 이후 정원 없이 대폭 늘려 몇 백명을 뽑아 방목조차 없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원래 정원은 문과 33 명 무과 27 명이나 후기로 갈 수록 지켜지지 않았고 권위도 그 만큼 실추 되었다
알성급제도 대과중 당일 임금 앞에서 선출되는 시험으로 가장 영광으로 여겼으나 정원을 늘려 조선 후기에는
권위가 없는 시험이 되고 말았다 )
대과에 장원급제 한 사람이 2 명 있다
1669 년 현종 10 년 기유년 정시 대과에서 이 덕령이 40 세로 장원을 차지 했다
파곡의 4 대손으로 병조 좌랑 의금부 도사 지내고 42 세로 요절 하였다
영조 42 년 1766 년 병술년 증광시에 이 한경이 38 세로 장원을 차지 하였다
그는 형조 참판 이 제화의 차남으로 간옹 이 헌경의 아우 된다 사헌부 지평 사간원의 정언 지내고 43 세로 요절 했다
알성급제자는 2 명이다
1583 년 선조 16 년 계미년 이 유징이 22 세에 알성급제 병과 5 위 하고 주요 3 사를 거쳐 사가독서에 뽑히고
의주목사 재직중 32 세로 요절함
1597 년 선조 30 년 정유재란이 있던 해 이 유연이 27 세에 알성급제 병과 4 위를 차지 했다
벼슬은 종부시정지내고 44 세로 요절함 이 유연은 인조대왕의 맏 동서이기도 하다 인조가 보위에 오르기전 졸하였다
사마 시험 장원자는
1633 년인조 11 년계유년 27 세로 이 명식이 장원을 차지 했다 66 세졸 내섬시 직장 지냈다 1 등 1 위
단애공 이 경중의 손자이다
단애공 장남 이 유혼도 1606 년선조 39 년 병오년 사마에서 생원 1 등 2 위를 차지 했다
40 세 이 제강은1683 년 숙종 9 년 계해년 1 등 4 위 하였다 30 세 파곡의 4 대 손이다
이 태령은 숙종 16 년 1690 년 37 세에 1 등 4 위 하고 장릉 참봉 지내고 39 세로 요절 했다 단애공 후손이다
대과 =문과___급제라하고
소과 = 사마시 = 생진시 = 생원 진사시 ( 생원이 먼저 )___합격 입격이라함
사마__중국 관청의 이름에서 유래 된 명칭으로 생원 진사 시험을 말한다
사마 초시 ( 1차 )만 합격해도 이 초시 윤초시로 우대 받고
중앙에서 실시하는 사마시험에 합격 하면 이 생원이니 윤 진사가 되고
살인죄만 빼고 체포 구금도 되지 않고 그가 사는 부락 앞에 솟대가 높다랗게 세워져 있어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살고 있으니 경의를 표하도록 했다 벼슬에 나가지 않아도 고을일을 처결하고 자문 했다
소과가 이정도였으니 대과급제를 위해 힘쓰는 정도는 지금의 고시생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참고로 전주 이씨 103 파중 20 명 이상 대과 급제자를 배출 한 가문은 다음과 같다
세종 후궁 신빈 김씨 소생 밀성군 영해군 담양군이 포함 되었다
광평대군파 114 명 / 효령대군파 112 명 / 덕천군파 57 명 / 양령대군파 52 명 / 밀성군파 44 명 선성군파 28 명
경녕군파 27 명 / 영해군파 26 명 / 담양군파 25 명 / 안원대군파 25 명 / 임영대군파 18 명
참고로 전주 이씨중 담양군파는 인구면에서도 상위를 차지하고 ( 어떻게 ?__전주 이씨중 족보 4 권 이상인 가문도 드믐 왜 ?
___ 수권을 만들고 싶어도 자료 즉 문집 묘지명등이 없어 못 만드는데 우리 담양군파는 넘쳐서 행장 묘비글등도 각 분파 별로
다투면서 실어 실리지 못한 글이 많다고 들었음 )
현대에 더욱 번창하여 각 파별로 골고루 국회의원 대학교수 박사 의사 법조인 고시출신공무원등을
많이 배출 하고 있다
담양군파중 나라에서 군호를 받은 사람은 모두 9 명이다
담양군 이 거 / 강양군 이 숙 / 희안군 이 집 / 예안군 이 헌 / 금천군 이 감 / 순천군 이 관 / 완창부원군 이 성중
완흥군 이 유징 / 완양군 이 명웅
나라에서 시호를 받은 사람은 5 명이다
담양군 이 거는 < 이애 >라는 시호를
강양군 이 숙이 < 양도 >라는 시호를
순천군 이 관은 < 효문 >이란 시호를
완창부원군 이 성중이 < 충간 >
완흥군 이 유징이 < 정민 >을 시호로 받았다
완흥군 이유징이 임진왜란 호성 2 등 공신이다
추쇄어사 . 순무어사 . 순안어사 역임자
이 경중 / 이 유징 / 이 명웅
담양군파중 사가독서에 뽑힌 자
이 성중 / 이 유징부자
담양군파는 대과급제 후 3 사 ( 홍문관 사간원 사헌부 ) 요직을 두루 역임 했다
증 영의정 1 명 __이 성중
부제학 2 명 ___이 성중 / 이 명웅
증 대제학 2 명 ___이 유징 / 이제화
대사간 2 명___이 성중 / 이 헌경
대사헌 1 명___이 성중
호조판서 1 명___이 성중
호조참판 1 명 ___이 헌경
증 이조판서 3 명 __이 유징 / 이 명웅 /이 제화
이조참판 1 명 이 성중
예조참판 2 명 __이 성중 / 이 헌경
형조 참판 2 명___이 제화 / 이 수증
한성부윤 ( 서울시장 ) 1 명___이 헌경
경상도 관찰사 1 명__이 명웅
충청도 관찰사 1 명___이 성중
목사 6 명___의주목사 이 유징 / 의주목사 이 양중 / 홍주목사 이 명웅 / 능주목사 이 귀령/ 안주목사 이 제화
진주목사 이제담
기로사에 들어 간 분은 3 명이다
기로사는 70 세 되도록 현직에 있는 관리가 임금의 특별한 우대를 받으며 들어가는 관청이다
단 과거에 급제한 사람에 한 해서다
영조조 이진기 / 영조조 이제암 / 정조조 이헌경이 있다
담양군파는 현대에서도 사법 행정 고시 합격자가 다수 배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