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판(理判), 사판(事判), 공사판(供辭判)
야단법석(野壇法席)의 유래(由來)
이판 사판 공사판 은
마지막 궁지(窮地)에 몰린
상태(狀態)를 말합니다.
끝장을 뜻하는 말로
뽀족한 묘안(妙案)이 없음을
비유(比喩)하는 말입니다.
불교(佛敎) 용어(用語)로써
불교(佛敎)에서 유래(由來)를 찾아볼수 있습니다.
조선(朝鮮)이 건국(建國)되면서
유교(儒敎)를 숭상(崇尙)하고
불교(佛敎)를 억제(抑制)하는
정책(政策)을 폈습니다.
존경(尊敬)받던
고려(高麗)의 스님들은
최하위 계층(最下位 階層)으로 밀려나게 되고
스님은 성안에 드나드는 것조차
금지(禁止)되었습니다.
이 때 승려(僧侶)들은
두 가지 방향(方向)에서
활로(活路)를 모색(摸索)하게 되었답니다.
사찰(寺刹)을
존속(存續)시키는 것과 함께,
불법(佛法)의 맥(脈)을 잇는 것이
중요(重要)한 과제(課題)였습니다.
그래서 일부 승려(僧侶)들은 절을 살리기 위하여
온갖 고난(苦難)을 이겨내고 생산(生産)에 종사(從事)하며
절의 살림을 꾸려나가고
사무행정(事務行政)을 담당(擔當)하며
모든 노력을 바쳤습니다
그런 이들이 바로 사판승(事判僧)이고,
별칭(別稱)으로는 살림승 이랍니다.
또 어떤 승려(僧侶)들은
이와는 달리 속세(俗世)를 피해 은둔(隱遁)하면서
참선(參禪)과 경전을 강론하고
독경(讀經)으로 수도(修道)하면서
설법(說法)과 포교(布敎)를 하며
불법(佛法)을 이어온 승려(僧侶)들이 이판승(理判僧)이고,
이판승(理判僧)이 없다면
부처님의 지혜(智慧)와
광명(光明)을 찾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공부만 하던 스님은
불교(佛敎)의 외형적(外形的)
발전(發展)에 기여(寄與)를 못했고,
살림만 하던 스님은
공부를 못했으니 교리(敎理)에 어두웠습니다.
그런데 해방 후(解放後)
비구승(比丘僧)과 대처승(帶妻僧)의 다툼이 있었을 때
각기(各其) 서로를
이판승(理判僧),사판승(事判僧)에 비유(比喩)해
상대(相對)를 비판(批判)했던 적도 있었답니다.
사실(事實)조선(朝鮮) 5백년 동안
불교(佛敎)가 살아남은 것은
두 승려집단(僧侶集團)의 공(功) 이었지만
이들이
추구(追究)하는 것이 달라
다툼은 쉽게 해결(解決)되지 않았습니다.
이판(理判)&사판(事判)을 다 시도(試圖)했지만,
묘안(妙案)이 없어
자포자기(自暴自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야말로 '이판사판(理判事判)',
'자포자기(自暴自棄)'가 될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좀 더 들어가면
절에서 중요(重要)한 일을 결정(決定)하기 위해
여럿이서 모여
중요(重要)한 결정(決定)을 할때는 반드시
여러 대중(大衆)의 논의(論議)를 거치는 것이
오랜 전통(傳統)입니다.
이것을
'대중공사(大衆供辭)'라 하는데
이를 줄여 '공사(供辭)'라 합니다.
이판(理判)'과 '사판(事判)'
스님들이 모여 '대중공사(大衆供辭)'를 하면
'이판사판공사판. (吏判事判 供辭判)'이되니
이를 줄여
'이판사판(理判事判)'이라 하고,
이는 절체절명(絶體絶命)의
선택(選擇)의 기로(岐路)에 서 있는,
즉 막다른 골목에 몰린 상황(狀況)을
표현(表現)하는 말입니다.
그래서 궁지(窮地)에 몰린 자는
'에라!
이제 죽으나 사나
"이판사판(理判事判)
공사판 (供辭判)이여"!'라고
일갈(一喝)하는 것입니다.
야단법석(野壇法席)의 유래(由來)
절에 법당(法堂)이 좁아
많은 사람들이모일 수 없으므로
들판에 단(壇)을 만들고
설법(說法)을 준비(準備)하는
과정(過程)이
혼잡(混雜)하고 정신(精神)없이
바쁘고 질서(秩序)없이
시끌벅적 경황(景況)이 없고
어수선함에서 유래 (由來)되었습니다
빌려온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