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전자파나 전자기장을 좋은 쪽으로 변화시키는 법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을 위해서 보충 설명합니다.
콘센트에서 나오는 전기의 자기장을 상쇄시켜 좋은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법입니다.
주류과학으로는 상쇄효과만 있는데,
비주류과학에서는 상쇄효과에 덧붙여 치유효과가 있는 에너지가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기본지식 :
우리 가정에서 쓰는 전류는 60헤르츠의 교류입니다.
1초에 60번 전류의 방향이 바뀌는 것이지요.
교류란 ?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로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류로서 교번전류라고도 한다. 파형이 주기적이서 평균값이 0이 되므로 실효값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교류는 사인파형이며 직사각형파, 삼각파, 사다리꼴파, 계단파, 펄스파 등의 변형파가 있다.
윌리엄 스텐리(William Stanley, Jr.)가 유도코일을 사용하여 교류전력 전환장치를 처음 고안한데 이어 19세기 후반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가 현재 사용되는 장치의 기반을 다졌다. 1880년대 미국에서 안전성을 고려해 직류를 사용하자는 토머스 에디슨(Thomas Edison)의 주장에 맞서 조지 웨스팅하우스(George Westinghouse)가 승·감압이 용이한 교류 사용을 주장하였다. 조지 웨스팅하우스의 주장이 승리를 거둔 후 오늘날까지 가정이나 공장 등 대부분의 전력에 교류가 이용되고 있다.
방법: 콘센트에 꽂아 쓰는 멀티탭을 하나 만들어봅니다.
멀티탭의 전선을 카두세우스(커듀시어스) 코일 형태로 감습니다.
그것이 전부입니다. ^^
두 선 다감으셔도 되고, 그 중 한선만 감으셔도 됩니다.
철물점에 가서 전선과 부품을 구입해 제작하시면 됩니다.
부품: 플러그, 콘센트, 전선
제가 만들어 쓰고있는 것을 사진을 찍었는데
이사하면서 짐이 섞여서 스마트폰 연결코드를 못 찾았습니다. 찾으면 사진 추가로 올리겠습니다.
이론적인 부분은 맞습니다만. 콘센트 끝 부분에 이 방식을 한다면 콘센트 이후에 효과가 날지는 모르겠지만...실제 집을 건축할때 벽안에 전기 라인을 깔기 때문에 이미 전자파 나올것들은 벽을 통해서 모두 나오고 있습니다. 주류과학에서 접근하면 이렇다는 거고..실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글쎄요??? 이군요.
첫댓글 정말 이론적으로도 완벽한 상쇄법이네요. 웨스팅하우스의 기술은 실제로 천재 니콜라 테슬라 교류 전류에 관한 것이죠. 멀티탭을 아주 긴걸 사야겠네요.
정말 되는 거란 말씀이시죠!!! 꼭 사진 올려주세요!!! ㅋㅋㅋ
근데 멀티텝만 감으면 뭘 꼽던지 다 전자파가 없는 건가요 ^^?
이론적인 부분은 맞습니다만. 콘센트 끝 부분에 이 방식을 한다면 콘센트 이후에 효과가 날지는 모르겠지만...실제 집을 건축할때 벽안에 전기 라인을 깔기 때문에 이미 전자파 나올것들은 벽을 통해서 모두 나오고 있습니다. 주류과학에서 접근하면 이렇다는 거고..실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글쎄요??? 이군요.
그렇네요;;; 검색해봐도 나오는 게 없고 퍼온곳 드나들면서 더 알아볼게요. ^^
현장에서 일하다 전기 몇번 먹었더니 이젠 전선만봐도 무섭다는 ㅎㅎ
아 그렇군요 코난님 전 전기나 공과 쪽으로는 문외한이라 기초가 없으니까 책봐도 넘 어려워요 학교다닐때 좀 열심히 공부해둘걸 후회되네요ㅋ
잘봤습니다 저도 양자역학 생활에 도움되는 것들 관심은 있는데 실행을 못하고 있어요 재료만 사놓고선ㅋ 다음카페 짐험블 mms요법 ~제가 링크를 못걸어서 스맛폰이라ㅡ.ㅡ 담에 걸어드릴게요~ 암튼 검색하시면 많은정보 얻을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