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제1항 샤마타는 어떻게 닦는가?
제1목 샤마타를 닦는 방법을 설명한다
샤마타(śamatha, 止)를 닦는 사람은 고요한 곳에서 살면서, 가부(跏趺)를 틀고 앉아 마음을 집중하여 정념(正念)에 들게 한다. 그리고 수식관(數息觀)에도 의존하지 않으며, 부정관(不淨觀)이나 백골관(白骨觀)에도 의존하지 않고, 존재하는 모든 것은 실체가 없는 것이라고도 관찰하지 않으며, 지⋅수⋅화⋅풍의 4대에도 의존하지 않으며, 존재하는 모든 것은 식(識)이라고도 관찰하지 않는다. 모든 망상을, 그 망상이 생겨나는 끄샤나(kṣaṇa; 刹那)의 끄샤나에 제거하며, 드디어는 망상을 제거한다고 하는 생각조차도 버려야 한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본디 그 자신의 특질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 모든 것은 끄샤나의 끄샤나에 생겨나는 것도 아니며, 끄샤나의 끄샤나에 소멸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늘 마음 밖에 경계를 만든 다음에, 마음에 의해서 마음을 제거한다고 하는 것과 같은 방법을 쓰지 않는다. 또 만일 마음이 바깥 대상을 집착하여 산란해지면, 그 산란한 마음을 다스려서 정념에 들게 된다. 이 정념이라고 하는 것은, 다만 마음일 뿐이며, 바깥쪽의 대상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더욱 그 마음에도 자신의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진여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념에 들면 마음을 끄샤나의 끄샤나에 얻을 수 없는 것이다.
다음에 좌선을 마치고, 사람들과 교류를 하거나, 식사를 하거나, 수면을 취하는 등의 움직일 때⋅멈출 때⋅앉을 때⋅누울 때, 어느 때든지 항상 마음을 집중하는 방편을 잃지 않게 하여 법성은 부동이라는 도리를 관찰해야만 한다. 좌선을 하여 마음에 고요함을 얻으면, 마음은 정념에 들어가므로, 샤마타의 힘이 맹렬하고 예리하게 된다.
그래서 진여싸마디(tathatā-samādhi; 眞如三昧)에 수순할 수 있게 되며, 더욱 진보해서 이 싸마디에 들어가 버린다. 이것이 샤마타의 완성이다. 진여싸마디를 얻음에 따라 번뇌를 완전히 굴복시키고, 믿는 마음이 증장하여 10신(十信)의 계위를 완성하고 초주(初住)의 계위에 들어가면, 퇴보하는 일이 없는 단계를 재빨리 이룩하는 것이다. 다만 진여를 의혹하는 사람, 믿음이 없는 사람, 정법을 비방하는 사람, 중죄를 범하여 까르마의 장애가 두터운 사람, 아만이 강하고 게으른 사람은 제외된다. 이런 사람들은 진여싸마디에 들어갈 수 없다.
첫댓글 마음은 항상 대상에 의지하여 일어나는데
그 모든 대상에 의존하지 말고 집중하여 정념에 든다하니 그 무엇에 집중한다는 뜻인지 모르겠어요.
이평래교수님은 이렇게 설명하고 계시네요
[본론은 유심관을 채택하기 때문에, 이들의 사상관(事相觀)을 취하지 않는 것이다]
유심관에 따른 집중에 의해 정념에 든다는건데
제가 유심관을 모르니 이해불가입니다.
누차 말하지만, 언어는 상징이기 때문에 다의적입니다. 그러니까 이해를 해야 합니다. 역시 적은 바 있는데, 우리가 어떤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숙지하는 것은 최외곽 전승, 가장 범용적인 전승에서의 개념입니다. 세부 전승으로 들어가면 (이해의 부족으로) 흡사 전혀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 전승마다 고유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니까 섣불리 자신의 단어가 가지는 의미에 매몰되지 마세요.
우리가 단어의 뜻을 전혀 모르면 접근조차 못하니까, 기본적인 뜻을 숙지한 상태에서, 그 단어가 이 텍스트에서는 어떤 의미로 쓰여지고 있는지를 찾아가야 합니다. 언어는 상징 체계니까... 비판을 하더라도, 먼저 해당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한 다음의 문제니까...
마음은 대상에 의지하여 일어난다. 위의 텍스트가 그 사실을 부정하는 거 같습니까? 전혀 아닙니다. '진여 싸마디'라는 이름의 방법을 제시함에, 이 방법은 "각종 대상을 열거하며 그 대상에 의지하여 일어난 마음을 전제하지 않는다"는 대의를 밝히고 있을 뿐이니까요. 대상에 의지해 일어난 마음은 진여가 아닌 까닭입니다. 그러니 [ '진여' 싸마디 ]라고 이름 붙일 수 없다는 주장입니다.
.
위와 같이 지나치게 작은 텍스트 조각으로 해당 텍스트 내 의미 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일단 해당 챕터라고 모두 읽어야, 텍스트에서 쓰인 의미를 텍스트 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당연하지 않아요? 재료가 필요하잖아.
생각해 봅시다. 만약 가장 기초적 개념으로 접근하더라두요. 위의 텍스트가 대상이 없이 발생한 마음을 논하자고 한다면, 왜 구구절절 설명하고 있죠? 정념은 왜 나오죠?
어떻게 보면, 위 텍스트가 나열한 설명은 "진여싸마디(tathatā-samādhi;眞如三昧)"라는 이름으로 발생시키려는 마음의 대상을 구체화시키는 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닌 거 같아요? 하하하
집중 수행에서 대상이 무엇인가는 아주 중요합니다. 위 텍스트에서 거론되는 것 중 대표적으로 예를 들자면요. "지⋅수⋅화⋅풍의 4대에도 의존하지 않으며"라는 구절요. 4대는요. 전통적으로, 사마타 즉 삼매의 대표적 대상입니다. 이게 불교에만 한정된 것도 아니예요. 어쨌든 이 4대 삼매는, 불교 아닌 쪽이든 불교든, 4대의 통제력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삼매입니다. 비불교 포함 전통적 의미에서 삼매의 본질은 통제력 확보입니다.
그 시대를 몰라서 말만 가지고 착각을 해요.
그러한 착각을 지양하려면, 텍스트 의미 파악을 위해 해당 텍스트 내에서 퍼즐찾기라도 해야 하는데, 아는 게 너무 많아? 혹은 퍼즐을 찾기 귀찮거나... 그럼 그 텍스트를 안보면 그만인 겁니다. 사람이 모두 다 알 수는 없어요. 알 필요도 없고... 알 수도 없고... 물론 빡쎄게 한 사람들은 나름 그건데, 그거는 그 사람의 개인 성향인 것이고...
좌우당간 삼매의 대상을 선정했다, 그리고 고도의 집중으로 그 대상을 성취했다... 성취했다? 그 대상으로 삼매에 들었다는 뜻이야. 기본적으로 그런 뜻을 가져요. '기본적 의미'말입니다. 그러면 이게 엄청난? 사람에 따라 좀 다른데, 보통을 기준으로 엄청난 편이라고 해야죠. 여하간 엄청난 집중인데, 스스로의 행위가 스스로를 규정하는데, 집중은 행위입니다. 엄청난 집중이라는 것은 고도의 농축된 액기스 행위라는 거예요. 어설픈 수천번 수만번의 행위와는 비교가 안되요. 제가 "존재 표상의 획득"이라는 표현까지도 종종 썼잖아요? 삼매는 존재 표상 획득이라고... 존재 표상이라고...
존재 표상은 스스로를 구속하게 되어 있어요. 그보다 더 강한 것이 없을 정도로...그래서 제가 삼매수행은 집착을 강하게 한다고 강조했어요.
네. "삼매수행은 존재표상의 획득으로, 집착을 강하게 한다"는 취지의 말씀 여러번 들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