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3.5킬로미터 밖에 걷지 않았는데 꽤 지쳤습니다. 날씨가 덥고 길은 아스팔트 바닥이어서 그렇습니다.
오늘 중에 17킬로미터를 걸어야 하는데... 걱정이군요.
이제 잠깐의 쉼을 끝내고 일어섭니다.
빨간 저 쇠다리를 건너 지금부터는 강의 왼쪽 둑을 걸어갈 겁니다.







(위 사진 : 어느 목마른 농민이 뚫은 전용 취수구(?). 옛날 방식으로 퍼올릴 생각이었던 듯.)
강폭은 훨씬 넓어져 있고 강바닥에는 돌이 많은지 하얀 거품을 일으키며 여울져 흐릅니다.
강변의 경치도 좋아지기 시작합니다. 절벽이 자주 눈에 띄면서 역시 그래도 산골짜기를 흐르는 강의 상류라는 것이 확실히 증명되고 있네요.
아무리 인공의 강줄기라고는 해도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히 시멘트 옹벽으로만 가두지는 못 했을테니까요.








왼쪽 둑길은 겨우 4백미터 쯤만 걷고 다시 다리를 건너 오른쪽 둑으로 바꿔 탑니다. 절벽을 만나게 되기 때문이지요.
물흐름은 여전히 빠릅니다.
조금 더 걷고 송운동이라는 마을 입구를 지납니다. 멀리서 보이는 한 집이 매우 멋집니다. 혼자라면 놀러 겸 구경 겸 잠깐 들러보고 싶은 집이네요.


역시 강은 양쪽에 절벽을 끼고 흘러야 경치가 좋아요. 동진강도 기대를 저버리지 않습니다.





매우 특이한 집이군요. 아직 짓고 있는 도중인지 완성한 집인지를 놓고 박경숙씨와 입씨름을 벌입니다. 심심하니까 이런 이야기라도 해야지요. 내 주장은 ‘완성된 집’이라는 것이었습니다. 벽도 없이 골조만 덩그러니 있는, 여름철에만 그것도 이벤트용으로만 쓸 생각으로 지은 것이라는 것.


얼마 가지 않아 또 특이한 사이트를 만납니다. 「인문학 뇌 만들기 문화공간 창」이라는 이름마저 특이한 공간입니다. 경치 좋은 곳이니 이런 수련원도 생기는 것이겠지요. ‘인문학 뇌’도 참 재미있는 발상입니다. 사람들의 뇌가 갈수록 ‘경제 뇌’, ‘정치 뇌’, ‘경박한 놀이 뇌’… 쪽으로만 발달하고 있으니 보다 인간적인 쪽으로 돌려놓으려면 ‘인문학 뇌’를 배양해야 옳지요.



한 가지 궁금한 점은, 물을 어떻게 조달하여 쓰느냐 하는 것입니다.
상류에서는 물살이 워낙 강하고 빠르니까 강의 본류에서 직접 받아들이는 것은 오히려 위험할 거라고 생각했었죠.
하지만 어쨌든 넓은 터에 농사짓는 사람들이나 이를테면 아까 지나온 종산처럼 큰 마을에는 물을 공급하기는 해야 할 텐데? 아직까지는 수문을 달아 물을 빼내는 곳을 보지 못한 채 여기까지 내려오고 있는데... 어떻게 하고 있는 걸까? 강물은 마을보다 수위가 낮으므로 상류의 보에서 빼낸 물을 도수로를 태워서 하류 쪽 마을로 보내는 것이 일반적인데 아직 한 군데도 그런 도수로를 본 적이 없는 것입니다. 혹시 내가 잘 보지 못한 사이에 그냥 지나가버린 걸까요?
「문화공간 창」에는 커다란 수영장도 있습니다. 이젠 정말 걱정됩니다(^^). 저 물을 어떻게 공급받을까. 먹는 물은 상수도를 받는다 치더라도.
마침 「문화공간 창」 건너편의 논에 물이 그득히 대어져 있습니다. 큰길에서 내려서서 논에 어떻게 물을 댔는지 보았습니다. 이런! 작은 수로가 나 있었습니다!
아차. 역시 내가 놓친 것입니다. 이미 위쪽에서 물을 끌어들이고 있었던 거지요. 다만 평야지대의 수로처럼 손으로 돌리는 원시적 수문이 아니어서 내 눈에 띄지 않았을 뿐. 전기를 쓰는 양수펌프장을 설치했겠지요.





(아래 사진들 : 민하마을 직전.)




민하마을로 진입하기 직전, 다리를 건너면서 드디어 봇도랑 하나를 발견합니다. 꽤 괜찮은 절벽을 치며 돌아 흐르는 물길인데 절벽이 끝나는 곳 어름에 수구가 보였습니다. 워낙 흔하고 강한 물길인지라 봇도랑을 철철 넘치며 흘러들어가고, 그러고도 남는 물은 강에 되쏟아부으면서 마을 안으로 흐릅니다.
봇도랑 끝에는 강한 물길이 마을을 때리지 못하도록 높이 시멘트벽을 쌓아 올렸습니다. 그 때문에 절벽과 강물의 절경은 많이 훼손되었군요(이 사진은 찍지 않았습니다).
지금 건너고 있는 이 다리도 지은 지 얼마 되지 않아 하얗게 햇볕을 반사하고 있습니다.




민하마을 입구의 정자에 앉아 잠시 쉬기로 했습니다.
정자 바로 옆에는 「미나농장」이 있군요. 작년 한 해 동안 열정적으로 우리와 함께 진안고원길 전체코스를 완주한 여성의 이름과 같아서 일행이 잠시 미나씨 이야기로 꽃을 피웁니다.
정자 옆을 흐르는 수로를 드디어 발견합니다. 아까 다리를 건너면서 본 그 수로를 타고 들어온 물입니다.
폭이 조붓한 수로는 그러나 깊고 풍부한 수량을 자랑하면서 마을 안쪽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네요. 잠시 따라가 봅니다. 감나무밭 앞을 통과하고, 그러고도 물은 여전히 맑고 깊습니다. 신기합니다.






나는 이런 수로를 좋아하고 눈에 익숙하기도 합니다.
시골에 살던 어린 시절. 산에서 흘러내리는 차가운 개울물을 동네 모든 집의 마당으로 순환시켜 채소도 씻고 설거지도 하고 마당에도 뿌리는 등 온갖 용도로 충분히 쓰고 담 아래로 흘러 이웃집으로 가던 산골 동네였지요. 나는 어려서 잘 몰랐지만 틀림없이 내가 태어나기 전 옛 어른들이 동네 뒤 높은 곳에서 물을 막아 봇도랑을 파서 마을 안으로 끌어들였을 것입니다.
그런가 하면, 장성하여 일본에 잠깐 살 때도 더욱 잘 조직된 수로가 온 시가지를 누비며 흐르는 모습에서 고향마을을 발견했기 때문인지 모르겠습니다.
민하마을의 수로는 끝 간 데를 모르게 이어집니다. 어디까지 가는지 따라가 보기를 포기하고 다시 큰길로 나섭니다.
다리를 건너면 외능마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