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 간 사단칠정 논쟁]
퇴계의 "이기호발설"이나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의 본질을 들여다 보면 차이도 있고 유사성도 있다. 퇴계는 도덕적 선명성과 분별성에 방점을 둔 데 비해 율곡 이이는 계층 간의 차별을 완화하고 조화를 추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두 인물의 공통점은, 주자의 이와 기의 "불상리 불상잡"을 기본으로 이(理)의 우월성을 강하게든 약하게든 지지한다는 점에 있다. 이황이 지배적 지식인의 인도에 따라 하층민들이 순응할 것을 은연중에 요구하고 있다면 이이는 엘리트 지식인이 설계한 구조에 따라 엘리트와 하층민이 힘을 합쳐 나라를 이끌어 가자는 요구를 품고 있다. 결국 둘다 엘리트 중심의 기득권적인 선비사회를 유지하는 것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는 언급이 가능하다.
13년 간 26세 연하의 젊은 학자 고봉 기대승은 당대 대학자 퇴계의 "이" 우위의 지배적 패러다임에 도전장을 내었다. 고봉 기대승은 "기와 이는 나눌 수도 없고 섞을 수도 없다"는 성리학의 태두 주희의 "불상리 불상잡" 전통을 과감히 논박하였다. 퇴계 이황은 7차례에 걸친 이와 기, 사단과 칠정의 논변 과정에서 젊은 기대승에게 깍듯이 존대하며 자기 이론의 부족함을 정직하게 드러내고 수정한다. 이이가 이와 기의 "불상리"에 방점을 찍었다면 이황은 이와 기의 "불상잡"에 포인트를 두고 있는 만큼 그의 태도 또한 도덕적 선명함과 정직성을 이 논변 과정에서 실천적으로 드러낸다. 기대승은 불상리도 불상잡도 아닌 "기와 이는 하나"라는 과감한 선언을 내 놓았다. 이 이론은, 그 이면에 만민평등사상과 민주주의적 원리까지 함의된 가히 개혁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고봉의 사상은 많은 논거들을 갖춘 논리적으로 틀림이 없는 주장을 담고 있지만 사대부에게 위험하기 짝이 없는 것이었다. 아차하면 사문난적으로 몰려 죽음을 각오해야 할 만큼 위험천만한 그를 이황은 끝까지 너그러운 마음으로 포용하고 감싼다. 퇴직 후에 오랜만에 다시 읽게 된 사단칠정논쟁에서 감동과 희열을 느낀다. 황광우의 "철학 콘서트"에 인용된 이기론쟁의 대목들을 그대로 올려 본다.
******
퇴계 | 선비들 사이에서 그대가 논한 사단칠정의 설을 전해 들었습니다. 저는 이에 대해 스스로 전에 한 말이 온당하지 못함을 근심했습니다만, 그대의 논박을 듣고 나서 더욱 잘못되었음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다음과 같이 고쳐보았습니다. “사단의 발현은 순수한 이인 까닭에 언제나 선하고 칠정의 발현은 기와 겸하기 때문에 선악이 있다.” 이렇게 하면 괜찮을지 모르겠습니다.
고봉 | 이제 만일 “사단은 이에서 발현되므로 언제나 선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현되므로 선악이 있다.” 라고 한다면, 이것은 이와 기를 나누어 둘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칠정은 성(性)에서 나오지 않고 사단은 기를 타지 않는다는 말과 같은 뜻입니다. 이렇게 되면 말뜻에 병집이 있고, 따라서 후학들은 의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황광우의 해설] 인의예지만큼은 이의 발현으로 보았던 선배들의 사상적 묵계를 고봉은 과감하게 파괴하고 나선 것이다. 인의예지라고 별것입니까? 인의예지 역시 인간의 마음 씀씀이일진대, 이게 희로애구애오욕과 본질적으로 다를 게 뭔가요?
논리적으로 보면 고봉이 옳다. 인의예지가 인간의 이라면, 희로애구애오욕도 똑같이 인간의 이이다. 마찬가지로 희로애구애오욕이 인간의 기라면 인의예지도 인간의 기이다. 슬퍼하는 감정이 있기에 어진 마음(仁)이 있는 것이요, 분노하는 감정이 있기에 바른 마음(義)이 있는 것이다. 불쌍한 사람을 보면서 느끼는 슬픔과 불의한 일을 보면서 느끼는 분노가 없는 인간이 인격 수양만으로 인과 의를 따르겠는가?
***
[퇴계의 답신] “무릇 의리의 학문이란 지극히 정밀하고 미묘한 것입니다. 모름지기 마음을 크게 먹고 눈을 높게 둔 다음 절대로 먼저 한 가지 이론에 얽매이지 말고, 마음을 비우고 편안한 기분으로 속 깊은 뜻을 차근차근 살펴야 합니다. (중략) 무릇 학문을 함에 있어서 분석을 싫어하고 합하여 한 이론으로 주장하기에 힘쓰는 것을 옛 사람은 ‘대추를 그냥 삼킨다.’ 했는데 그 병집은 작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이와 같은 태도를 바꾸지 않는다면, 사람의 욕망을 하늘의 이치로 여기는 잘못에 떨어지게 됩니다. 어찌 옳다고 하겠습니까?
***
[고봉의 반론] “사단은 순수한 이이고, 칠정은 밖의 형기에 감응하므로 그 발현은 이의 본체가 아니다. 따라서 사단과 칠정은 그 연원이 같지 않다.”라고 하신 선생의 견해를 저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무릇 사람의 칠정은 하나입니다.
칠정 속에 두 가지 선이 있다고 한다면 하나는 이에서 발현하고 하나는 기에서 발현한다는 이상한 결론이 나옵니다. 참으로 옳고 그름이 제 쪽에 있는지 선생님 쪽에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사단이 인의예지의 성으로부터 발현되지만 칠정 또한 인의예지의 성으로부터 발현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정이 밖에 드러나는 것은 바깥 사물에 닿아서 나오는 것 같지만 사실은 안으로부터 나오는 것입니다. 사단과 칠정이 모두 마음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마음은 이기의 합이니, 정은 진실로 이기를 겸한 것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만약 사물에 감응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말하면 사단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대개 발현하기 전에는 오로지 이일 뿐이지만 이미 발현하면 바로 기를 타고 움직입니다. 사단 역시 기입니다.”
=> 퇴계 이황의 관점에 비해 고봉 기대승의 논변은 가히 혁명적이다. 당돌하고 명철한 젊은이인 고봉은 엘리트의 기득권을 내려 놓아야 할 것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