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온(五蘊)
1) 색(色, rupa)은 물질 일반, 혹은 신체, 신체 및 물질, 물질성.
2) 수(受, vedana)는 지각, 느낌, 감수작용으로 감각, 단순 감정을 말함.
3) 상(想, samjna)은 마음에 떠오르는 상(像)으로 표상작용(表象作用).
4) 행(行, samskara)은 욕구 의지, 혹은 충동적 욕구에 해당되는 마음작용.
5) 식(識, vijnana) 은 식별하고 구별하고 판단하는 것.
또 의식 그 자체를 말함. 마음작용 전반을 총괄하는 마음의 활동.
무아상경(無我相經)
붓다께서 5비구에게 <전법륜경>을 처음 설하신 후,
두 번째로 설한 경은 <무아상경(無我相經)>, 또는 <오비구경(五比丘經)>이라 불린다.
이 경은 한 마디로 오온<五蘊,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이 무아(無我)이고 무상(無常)하므로
고(苦)에 이르게 되고, 이 무상, 고, 무아를 확실히 깨달아 고멸<(苦滅), 해탈(解脫), 열반(涅槃)>에
이르게 됨을 설한 것이다. => 삼법인 (무상,고,무아)
설법장소는 <전법륜경>과 같이 바라나시의 이시파타나(예언자의 숲) 녹야원이고, 설법대상 역시 같은
5비구이다. 좀 더 부연하자면, 오온(색수상행식)은 무아(無我)이다.
만약 오온이 나(我)라면, 이 오온은 고통에 이르지 않을 것이고, 이 오온을 주재(主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온은 무아(無我)이므로 고통에 이르고, 누구도 오온을 주재(主宰)할 수 없다. 오온은 무상하여
고통이고, 무상하여 고통인 오온은, '내 것(mine), 나(I), 내 자신(my self)이 아니다'고 확실히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이 알면, 오온에 대해 소원(疏遠)해지고 <염오(厭惡)를 느끼고>, 열정이 시들고 해탈(解脫)하고,
해탈지견(解脫知見)이 생긴다.
따라서 '더 이상 윤회하지 않고, 범행(梵行)을 완성했으며, 대장부의 할 일을 마쳤으니,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 고 밝게 알게 된다.
"비구들아, 몸<色,form>(과 수상행식)은 무아<無我, not-self>이다.
만약 몸(과 수상행식)이 나<我,self)라면, 이 몸(과 수상행식)은 고통에 이르지 않을 것이고,
이 몸(과 수상행식)에게 '내 몸아! 이렇게 되거라, 이렇게 되지 말거라'라고 마음대로 부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몸은 무아(無我)이므로 고통에 이르고 누구도 '내 몸아! 이렇게 되거라, 이렇게 되지 말거라'
라고 마음대로 부릴 수 없다.
(세존) 비구들아, 네 뜻(생각)에 어떠하냐?
몸(色,form)은 영구적이냐 아니면 일시적이냐?
(5비구) 일시적입니다. 세존이시여!
(세존) 자 그렇다면 일시적인 것은 고통이냐 아니면 즐거움이냐?
(5비구) 고통입니다, 세존이시여!
(세존) 자 그렇다면 일시적이고, 변할 수밖에 없어 고통인 것을, '이것은 내 것(mine)이다, 이것은 나(I)이다.
이것은 내 자신(my self)이다' 라고 여기는 것이 타당하겠느냐?
(5비구)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세존) 느낌<感受作用, 受 feeling>, 표상작용<表象作用, 想 perception>, 의지작용(意志作用, 行 determinations>, 인식작용<識, consciousness>은 영구적이냐 아니면 일시적이냐?
(5비구) 일시적입니다, 세존이시여!
(세존) 자 그렇다면 일시적인 것은 고통이냐 아니면 즐거움이냐?
(5비구) 고통입니다, 세존이시여!
(세존) 그렇다면 일시적이고, 변할 수밖에 없어 고통인 것을, '이것은 내 것(mine)이다, 이것은 나(I)이다,
이것은 내 자신(my self)이다' 라고 여기는 것이 타당하겠느냐?
(5비구)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따라서 비구들아!
과거, 미래 또는 현재에 생겨난 어떠한 몸 <色,form> (과 수상행식)이라도 그것이 크든 작든, 안에
있든 밖에 있든 열등하든 우수하든, 멀든 가깝든 올바르게 이해하여 '이것이 내 것(mine)이 아니다,
이것은 나(I)가 아니다, 이것은 내 자산(my self)이 아니다'라고 확실히 알아야 한다.
비구들아, (진리의) 설법을 들은 제자가 이와 같이 알면, 그는 오온에 대해 소원해진다.
소원해지면, 열정이 시들고, 열정이 시들면 자유로워진다. =>집착 안한다.
자유로워지면 자유로워졌다는 앎이 생긴다. => 무아를 알았다.
그는 '더 이상 태어남<生, birth>이 없고, 성스러운 삶을 완성했으며, 대장부의 일을 마쳤고,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고 밝게 안다."
뼛속 깊이 무상,고,무아 를 체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긴 연휴동안 '쉼'을 통해 무상,고,무아를 한번 더 명상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 보고자 정리를 해 봅니다.
일화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