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만추문예 시부문 당선작]
탁설
김정랑
솔바람이 머슴처럼 월정사 마당을 쓰는 초하루
일주문 넘은 수천의 발원들이 수광전에 모인다
까치가 댓바람에 물어온 화두는 행자가 깨먹기에 단단하다
요사채 주파수에 번뇌가 끼어들면
여여하라는 부처의 눈빛도 잡음이 된다
잘 때도 눈 못 감는 물고기라서
모르는 게 없는 소식통, 내
필생 울력은 청동죽비 되어
중생 홀리는 탐진치를 흩어버리는 것
옥분엄마 법당에 초 밝히고 귀 늘어뜨린 부처님께 큰절 올린다
오십 년 전 저수지에 잠긴 막내아들, 그날부터
업보 천근 매단 그녀의 어깨는 폐가처럼 기울었다
불목하니 부뚜막에서 조왕경을 지피고
공양간 하얀 입김은 옥분엄마 진한 한숨을 달인 듯
법당 안은 중생들의 초발심이 별식이다
고향이 제각각인 발자국이 무량수전 섬돌에 파도처럼 머물렀다 흘러가면
오대산 전나무 숲이 꽃살문에 잔물결로 일렁인다
엄마 잃어버린 뒤꿈치가 제일 수다스럽다던데
허방 헛디딘 옥분엄마 막내아들은 얼음장 밑에서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꽃살문에서 하산하는 옥분엄마 등은 오래된 무덤
백팔 배에 졸아붙은 그녀의 뒤꿈치가
독경하는 처마 끝 내 뒤꿈치와 부딪친다
설해목 받치던 귀 밝은 눈이 헛기침한다
※탁설(鐸舌): 흔들면 소리가 나도록 방울 속에 넣는 단단한 물건. 처마 끝에 다는 작은 종인 풍경(風磬) 안의 물고기 등을 의미.
☞https://www.mk.co.kr/news/culture/10881348
탁설 김정랑, 제1회 만추문예 시부문 당선작 - 매일경제
솔바람이 머슴처럼 월정사 마당을 쓰는 초하루 일주문 넘은 수천의 발원들이 수광전에 모인다 까치가 댓바람에 물어온 화두는 행자가 깨먹기에 단단하다 요사채 주파수에 번뇌가 끼어들면 여여하라는 부처의 눈빛도 잡음이 된다 잘 때도 눈 못 감는 물고기라서 모르는 게 없는 소식통, 내 필생 울력은 청동죽비 되어 중생 홀리는 탐진치를 흩어버리는 것 옥분엄마 법당에..
www.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