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이온효과로 약산과 짝염기의 비율에 상관없이 초기농도가 변하지않는 이유가 잘이해가되지 않습니다르샤틀리에의 원리의일종이라고하는데 원리에따르면 짝염기보다 약산이 훨씬 많으면 정반응이 일어나는것아닌가요?
그리고 pH=pKa가 아닌 이유도 공통이온효과때문인가요?
첫댓글 순수한 물에 약산 HA만 넣어도 1%정도 밖에 해리되지 않습니다.그런데, 거기에 짝염기 A-를 넣으면 르샤틀리에원리로 예상할 수 있듯이 해리되기가 더 힘들어집니다.짝염기 A-도 마찬가지입니다. 순수한 물에 A- 만 넣어도 가수분해되기 힘든데, 짝산인 HA를 넣어주면 가수분해되기 더 힘들어집니다.즉, 약산과 그 짝염기가 함께 존재하면 서로의 해리를 막아서 결국 초기농도가 그대로 유지됩니다.아주 간단한 결과지만, 중요합니다.
첫댓글 순수한 물에 약산 HA만 넣어도 1%정도 밖에 해리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짝염기 A-를 넣으면 르샤틀리에원리로 예상할 수 있듯이 해리되기가 더 힘들어집니다.
짝염기 A-도 마찬가지입니다. 순수한 물에 A- 만 넣어도 가수분해되기 힘든데, 짝산인 HA를 넣어주면 가수분해되기 더 힘들어집니다.
즉, 약산과 그 짝염기가 함께 존재하면 서로의 해리를 막아서 결국 초기농도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아주 간단한 결과지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