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26. 네이버 카페 오두막 지기.
2023년~2024년, 우주 및 생사, 시공의 이치 등 보다 가치있는 삶부터 맑고 밝은 세상, 더불어 고르게 잘 사는 사회까지 271개의 과제 수행 흔적.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지나치게 늦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 및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과 관련하여 무기력, 무능력한 정부, 기업 등 경제 주체에 경각심과 분발을 촉구 함.
게으른 네이버 단칸 모옥 청소부 A-2.
2023. 10. 4.
미래 계속될 우리 장부, 기업 등이 반드시 완수해야 할 필수 과제에 관한 플랜 B, 혹은 C 목표 중 작은 하나인 국민의 실물 자산 매 십 년마다 배 이상 증가 목표 4.
서울 지방 부동산 및 지역, 자산 양극화 완화, 국토, 지역 균형 발전과 관련한 낙후된 지방 부동산 8.
그럼 시범 케이스 부산 등 낙후된 지방의 집값이 얼마 동안, 얼마만큼 오를 수 있을까? 투자, 투기 수요는 물론 유효 수요조차 서울보다 상대적으로 미약한 광주 등 다른 낙후된 시장도 시범 케이스 지방인 부산 사례를 참고하여 가격, 수요, 공급 측 요소를 잘 분석하여, 특히 낙후된 지방에서 보다 시장원리에 잘 순응하는 공급 측 요소를 더욱 세심히 살펴 실물 자산 투자 실패 가능성을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지방, 지역 소멸 위험 증가는커녕 보다 많은 낙후된 지방, 지역 주민들이 넉넉한 노후 자금 등 보다 많은 순자산을 축적하길 기대한다. 낙후된 지방민들 중 한 사람이라라도 사회보장, 사회복지 수급 대상자에서 푼돈이나마 세금으로 미래 세대의 국가 재정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앞으로, 수십 년 후 재수 없으면 100세, 120세까지 살 수도 있으니, 수십 년 후 우리 국민의 평균 순자산은 4억 원대의 지금보다 최소 3~5배는 늘어나야 하겠지? 5배 이상 늘어나면 더 좋다. 하여, 비록 총인구 감소 시대라도 우리나라 거시 경제가 보다 안정적으로 발전, 성장해야만 하는 것이다.
수십 년 후 코스피 2만, 3만 포인트로 올라 실물 작금의 실물 자산 편중 현상을 크게 완화할 정도로 우리 국민의 금융 자산도 크게 늘어나야 할 것이다. 실물 자산도 낙후된 지방의 도시 및 주거환경도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이에 부합, 비례하는 실물 자산 증가도 마찬가지다.
부산 해운대, 수영구, 남구, 대구 수성구, 대전 서구, 유성구, 울산 남구, 광주 남구 등 낙후된 지방, 지역 부동산을 선도하는 소지역의 극소수 중 극소수 아파트 가격은 5년, 10년 후 각각 서울의 반값인 평당 1억 원, 1.5억 원도 가능하다. 부산 시범 케이스 소지역은 평당 2억 원, 그 이상도 가능할 수 있겠지. 다음에 그 구체적 사례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그 근거, 이유를 제시한다.
2023년 10월 4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10월 4일 부동산 단신 4.
서울에서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서초구로 8억622만원이었다. 올해 3월 입주한 개포동 개포자이프레지던스 3375가구, 6월 집들이를 한 대치동 대치푸르지오써밋 489가구와 오는 11월 입주 예정인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6702가구 등 신축 물량이 쏟아져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 전셋값 하락세가 두드러진 양상이다.
국평 7억'이던 강북 뉴타운 신고가 ...서울 성북구 길음동 길음뉴타운 9단지는 지난달 전용 84㎡가 10억9000만원에, 길음뉴타운 7단지 전용 114㎡는 최근 14억원에 거래됐다. 길음뉴타운 4단지 역시 한때 11억5000만원으로 신고가를 경신했던 전용 102㎡가 9억4000만원까지 하락했었는데 지난달 10억4300만원에 다시 거래되며 전고점을 거의 회복했다. 인근 마포구 염리동 마포프레스티지자이 전용 84㎡도 이달 초 19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꿈쩍도 않는 우리 집값…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동 송산주공1단지 전용 59㎡(이하 전용)는 이달 2억2500만 원에 손바뀜됐다.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동 후곡11·12단지 주공아파트 59㎡는 이달 3억3900만원에, 양주시 덕정동 봉우마을주공5단지 59㎡는 이달 1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경매...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120동 302호는 감정가 28억7000만원에서 한 차례 떨어져 22억9600만원에, 마포구 중동 월드컵참누리 105동 501호도 감정가 10억6000만원에서 한 차례 떨어져 8억4800만원에,노원구 하계동 학여울청구 109동 1004호는 감정가 11억2000만원에서 두 차례 떨어져 7억1680만원에 매각이 진행된다.
서울 강동구 고덕주9단지는 지난 6월 중순 정밀안전진단 용역에 착수했다. 고덕택지 내 고덕주공 1~8단지는 이미 준공되거나 공사가 진행 중이다. 고덕현대는 지난 7월말 서울시 신속통합기획이 확정됐다. 현대·한양 등과 명일동 4인방이라고 불리는 신동아·우성은 재건축 안전진단 문턱을 넘었다.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이 기존 '2030서울플랜(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2040도시계획으로 전환하는 정비계획안 변경을 확정하지 못했다. 앞서 잠실주공1단지는 잠실엘스(2008년 입주), 2단지 리센츠(2008), 3단지 트리지움(2007), 4단지 레이크팰리스(2006)로 재건축됐다.
경기 시흥 정왕동 '힐스테이트 더웨이브시티', 경기 오산세교 2지구 '호반써밋 라프리미어', 경기 수원 권선 113-6구역 재개발 '매교역 팰루시드'를 분양할 예정이다. 경기도 화성 동탄2신도시 금강펜테리움 6차 센트럴파크와 인천시 서구 검단신도시 금강펜테리움 3차 센트럴파크 아파트는 100% 계약을 마쳤다.
2023년 7월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7월 4일 부동산 단신 4.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4차의 ‘49층 재건축’ 추진이 사실상 확정됐다. 성북구청은 장위뉴타운 장위 8·9구역 정비구역 재지정 정비계획 입안 신청을 앞두고 있다. 장위 6구역과 10구역돟 조합설립인가를 마치고 장위 3구역, 14구역, 15구역에 이어 사업에 속도를 내게 됐다. 이 일대는 2024년 관리처분, 2028년 입주가 목표다.
집값 떨어지는데…부산 아파트 분양가 고공행진...올 초 부산에서는 처음으로 GS건설의 '남천 자이'가 3.3㎡당 분양가 3천만원 시대를 열면서 고분양가 논란이 벌어졌다. 부산 남구 대연3구역 재개발 '대연 디아이엘'(대연3구역 재개발)의 일반분양가는 3.3㎡당 2천300만원이고 '해운대 경동리인뷰 2차' 분양가도 3.3㎡당 2천800만원이다. 수영구 남천동 삼익비치 재건축조합은 조합원들에게 조합원분양가를 3.3㎡당 4500만원으로 통보했다.
경매...서울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302동(전용 135㎡)이 감정가 43억 4000만원, 낙찰가 36억 5499만 9000만원(낙찰가율 84.2%), 서초구 방배동 윈저빌 5,6층(전용 235㎡)이 감정가 24억 4000만원, 낙찰가 23억 2200만원(낙찰가율 95.2%)를 기록했다. 가장 많은 응찰자는 대전 서구 둔산동 수정타운 아파트로 88명이 몰렸다.
성동구 금호동 대우 114동(전용 115㎡)이 15억 5000만원, 서초구 반포동 현대동궁 101동(전용 82㎡)이 14억 6909만원, 송파구 신천동 웰리스타워,삼성웰리스 (전용 155㎡)이 13억 5127만 5500원, 동대문구 전농동 삼성 101동(전용 115㎡)이 8억 7770만원, 강남구 자곡동 LH강남힐스테이트 503동(전용 52㎡)이 8억 1000만원 등에 낙찰됐다.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현대 101동 1102호는 감정가 8억9800만원에서 두 차례 떨어져 5억7472만원에, 도봉구 창동 동아그린 102동 307호도 감정가 7억6600만원에서 두 차례 떨어져 4억9024만원에, 강남구 자곡동 엘에이치강남아이파크 707동 106호 역시 감정가 15억4600만원에서 두 차례 떨어져 9억8944만원에 매각이 진행된다.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2가 ‘호반써밋 에이디션’, 성동구 '청계 SK VIEW'를 분양할 예정이다. 동대문구 '청량리롯데캐슬하이루체', 인천 서구 불로동 '호반써밋인천검단', 대전 서구 탄방동 숭어리샘주택재건축 '둔산자이아이파크', 충남 아산시 모종동 '힐스테이트모종블랑루체' 등도 분양한다. 경기 화성 동탄2신도시 A56블록에 'e편한세상동탄파크아너스' 2회차도 분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