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맘때쯤 되면, 노무사가 좋네 별로네 하는 이야기가 들려오는 것 같습니다.
포장없이 최대한 현실을 얘기해볼게요.
제 경험은 33기 + 32기 + 30기 친구들의 경험이나 제가 본 이야기들이고,
25, 26기 친구들의 이야기가 약간 들어가있습니다.
1. 노무사 되면 떼돈 버는가?
(1) 아닌 것 같습니다. 근데 적어도 굶어 죽지는 않아요. 수습 기준으로 210~230정도 받고, 수습 뗀 1년차 기준으로 300전후(인센포함)로 받는 것 같습니다.
(2)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이 금액이 적다고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시험 합격하면 노무사 업무 중의 15% 정도를 아는 수준이고, 나머지 85%를 배우면서 일하는거니까요.. 의사들도 레지, 인턴 때는 다 그렇잖아요
(3) 3년차쯤 되면 대기업 혹은 이에 약간 못미치는 연봉쯤 되는 것 같습니다.
3년차때부터 경력으로 이직이 가능한데 (대기업, 공공기관, 전문계약직 공무원 등), 여기서 받는 금액 언저리는 줘야 노무법인에서도 인력을 유지할 수 있으니까요
2. 일이 힘든가?
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 힘듭니다. 노무사 업무가 정말 다양하고, 짜치는 것도 많습니다.
우리가 아는 법리 사용은 결국 전체 일의 15%도 안되는 것 같아요.
결국 야근이 일상화 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15%는 노동위사건, 직괴 정도겠네요.. 노동청이나 컨설팅, 자문은 하면서 배우는게 더 많은 것 같아서요)
3. 딸만한 자격증인가?
(1) 저는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어디가서 그렇게 짜치지 않아요. 아쉬운 소리 할 일도(예컨대 영업) 일반 직장인에 비해 적구요.
이거 딴다고 뭐 인생 프리패스는 아니지만, 해고 당하고 그런거보면, 고용안정성은 더 높아지는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삶이 빡세서 힘든일 하시면서 박봉받는 분이 많다는걸 이 업을 하면서 알게됐습니다.
그런 상황에 비하면 이렇게 공부할 기회를 얻고, 합격에 이르렀다는 것 자체가 감사할 일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2) 그러나 투자 비용이 생각보다 굉장히 많이 듭니다. 저는 그래서 이 길이 완전 답이라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냥 취업이 지금 가능한 나이고, 특별히 노무사에 욕심이 없다거나 개업할 생각이 없으면 기업 가는 것도 괜찮은 것 같아요.
중요한건 행복하게 사는 것이고, 그건 반드시 노무사에 합격해야만 얻을 수 있는건 아니니까요.
정보공유차원에서 쓴 글이니, 혹시 궁금한 점이나 질문이 있으시다면 전체공개로 해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맛밥들 하세요!
# 이곳은 자유게시판입니다.
* 스터디 모집 관련 글은 "스터디 모집(참여)"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수험관련 매매 교환 관련 글은 해당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Iiiilliliiiililli 시비 거시는건가요?
말이 짧아서 뭔 의도인지 모르겠는데 시비 거는거 같아서 댓글 달아요. 평소에 무슨 공무원을 보고 사시는지 모르겠는데.. 세상엔 다양한 공무원이 있답니다. 많은 공무원이 나인투식스 못해요. 세종청사는 보신적 있나요? 공무원이 하하호호하며 시간만 떼우는줄 아시는가본데 근무하면서 같은 부처에서 과로사 하시는분만 네 분 봤어요. 자살도 있었구요. 같은 소속은 아니지만 세종시청 공무원도 같은 해에 2명이 자살한것도 봤어요. 그만큼 정신적 스트레스가 큰 직업입니다. 공부만 하지 마시고 식견과 인맥도 넓히셔서 세상의 다양한 면을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노무사 워라밸이 괜찮은줄 안다 했지 무조건 정시출퇴 하는 줄 안다고 했나요? 여기서 "괜찮다 = 매일 야근이 있지 않고 불시호출이 없다" 의 의미입니다. 매일 야근에 밤새기도 하고 주말 불시호출 수시로 당하면서 회사생활 했거든요. 그것보단 워라밸이 낫겠다 생각했던건데 잘못됐나요..?
생판 얼굴도 모르는 남한테 시비걸기 전에 본인 상태 어떤지부터 생각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6.25 14:0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6.25 14:0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6.25 14:19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6.25 14:23
귀한 답변 감사해요! 진로 관련하여 고민중인데 산재법인이 급여수준이 더 좋다고 들었는데 그만큼 워라밸이 안좋겠죠..? 그리고 산재분야로 시작할 경우 타분야로 이동이 자유로운지 궁금합니다!
(1) 산재법인은 효율성(?)이 좋습니다. 공수(일하는 양) 대비 돈을 많이 번다는 얘기에요.
근데 문제는 산재는 스피드가 생명이라, 사건 터지면 주말 상관없이 바로 가야한다는게 단점입니다.
(2) 산재로 시작할 경우 다른 분야로 이동 가능합니다. 근데 대개 못간다고 하더라구요.
공수가 완전 달라서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6.25 14:47
쉽게 알기 어려운 솔직한 현업이야기네요 감사해요!
저는 인사팀 몇년 근무하다가 이 경력을 살려 전문직이 되고 싶은 맘에 노무사 준비 중인데요
1) 자율성이라곤 없고, 회사에 휘둘려야하는게 싫어서 전문직이 되고 싶었는데,
노무사는 일반 회사직원보다 훨씬 자율적으로 업무를 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내 선택과 책임 하에 이뤄지고 그에 따른 보상이 있는..)
실제로 노무법인에서 업무를 하면서 자율적인 업무가 많은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데일리하게 가장 많이 접하는 업무가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2) 기업 사내 노무사로도 많이 가는 추세라고 들었는데 사실인지요?
사내 노무사가 되면 일반 기업 인사팀과 사실상 동일한 업무를 하게 되는 걸까요?
주변에 노무사 분들이 없어 궁금한게 많네요 ㅜ 일단 붙어야 되겠지만, 붙고나서 기대와 너무 많이 차이가 나진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해서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6.25 16:09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6.25 16:4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6.25 18:07
글 감사합니다. 글 지우지 말아주세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7.27 11:3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7.21 1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