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러시아, 2017년 상반기 교역량 50% 증가 -
- 중국, 러-중 외환동시결제 시스템 도입으로 양국 간 무역관계 한층 강화 -
□ 한국-러시아 교역량 증가 추세
ㅇ 우리나라가 전체 러시아 교역 총량의 3.6%를 점유하며 교역국 중 5위를 기록했음.
- 2017년 상반기 양국 간 총 교역량은 50%가량 증가했고, 러시아의 대한국 수출량은 39.4% 증가한 6299만 달러, 수입량은72.5% 증가한 3499만 달러를 기록했음.
ㅇ 이러한 성장세는 광물유 및 석탄 등 탄화수소를 원료로 한 제품의 가격 회복, 루블화의 회복세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됨.
2010~2017 상반기 한국-러시아 교역량 변화 추세
(단위: 십억 달러)

자료원: http://провэд.рф/economics/fea
ㅇ 한-러 교역량은 2015년 루블화 평가절하에 따라 약 30%, 2016년 약 17% 하락했음.
- 2017년 교역량의 경우 상반기 성장에 힘입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2015년의 수준이 될 전망
ㅇ 2016년 한-러 교역 동향
구분 | 금액(백만 달러) | 증감률(%) |
한-러 교역 총액 | 15,140 | 16.16 ↑ |
러시아 대한국 수출총액 | 10,027 | 25.71 ↓ |
러시아 대한국 수입총액 | 5,113 | 12.31 ↑ |
- 러시아 기준으로 한국은 교역대상국으로 9위(시장점유율 3.2%), 수출시장으로 7위(3.5%), 수입국으로는 8위(2.8%)를 기록했음.
□ 러시아의 대한국 수출
ㅇ 러시아의 대한국 수출 품목은 주로 광물유 및 석유제품 등임.
- 해당 품목의 수출액은 28 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세부 품목으로는 석탄 10억5000만 달러, 증류물이 691만 달러, 천연가스 및 가스 혼합물이 278만 달러임.
- 현재 러시아의 가스프롬이 동남아 지역에서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한국 회사들과 가스공급 확대를 협상 중에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러시아의 수출은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임.
ㅇ 식품 및 농수산품도 러시아의 주요 수출품목임.
- 2017년 상반기 해당 품목의 수출액은 676만4000달러로, 이는 전년도 상반기 대비 약 13.3% 증가한 수치임. 주 수출상품은 극동지역의 냉동생선 및 어패류임.
ㅇ 금속 및 금속제품군도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 2017년 상반기 동 품목의 수출액은 343만 달러로, 전년도 상반기 대비 10% 증가했으며, 주요 수출상품은 알루미늄, 철, 철합금임.
□ 러시아의 대한국 수입
2016 러시아의 대한국 상위 수입품목

자료원: http://russian-trade.com/
ㅇ 러시아의 한국으로부터의 수입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기계류와 설비류, 차량품목임.
- 2016년 상반기 대한국 수입에서 해당 품목의 비중이 63%를 차지했으며 2017년 상반기에는 전년대비 7% 증가하며 전체 수입의70%를 점유함.
러시아의 대한국 수입품목 중 한국의 13대 주력 수출품*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HS Code | 제품군
| 2015년 | 2016년 | 점유율 | 증감률 | 2017년 상반기 | 증감률 |
27 | 광물성 연료, 광물유와 이들의 증류물, 역청물질, 광물성 왁스
| 89,750
| 67,730
| 1.32
| -24.54
| 24,490
| 19.91
|
29 | 유기화학품
| 74,370 | 85,000
| 1.66
| 14.30
| 34,380
| -13.97
|
38 | 각종 화학공업 생산품
| 17,540
| 22,750
| 0.44
| +29.71
| 12,170
| 14.53 |
39 | 플라스틱과 그 제품
| 388,530
| 380,420
| 7.44
| -2.09
| 212,270
| 26.22
|
40 | 고무와 그 제품
| 152,670
| 171,570 | 3.36
| +12.38
| 128,530
| 74.39
|
51 | 양모·동물의 부드러운 털이나 거친털·말의 털로 만든 실과 직물
| 30
| 40
| 0.00
| +23.10
| 30
| -8.53
|
52 | 면
| 3,770 | 1,880
| 0.04
| -50.21
| 1,030
| 21.98
|
53 | 그 밖의 식물성 방직용 섬유, 종이실과 종이실로 만든 제품
| 130
| 230
| 0.00
| +83.19
| 100
| -53.53
|
54 | 인조필라멘트, 인조방직용 섬유재료의스트립과 이와 유사한 것
| 14,600
| 14,660
| 0.29
| +0.43
| 7,290
| -0.46
|
55 | 인조스테이플섬유
| 29,630
| 26,430
| 0.52
| -10.79
| 14,530
| 37.14
|
56 | 워딩, 펠트, 부직포, 특수사, 끈, 배의 밧줄, 로프, 케이블과 이들 제품
| 10,930
| 11,660
| 0.23
| +6.71 | 9,940
| 80.25
|
58 | 특수직물, 터프트한 직물, 레이스, 태피스트리, 트리밍, 자수천 | 970
| 1,100
| 0.02
| +14.56
| 700
| 36.75 |
59 | 침투·도포·피복하거나 적층한 방직용 섬유의 직물, 공업용인 방직용 섬유제품
| 13,460
| 16,390
| 0.32
| +21.73
| 10,730
| 32
|
60 | 메리야스 편물과 뜨개질 편물
| 10,100
| 8,820
| 0.17
| -12.60
| 4,120
| -3.76
|
61 | 의류와 그 부속품(메리야스 편물과 뜨개질 편물에만 적용)
| 2,010
| 3,010
| 0.06
| +49.40
| 2,930
| 212.7
|
62 | 의류와 그 부속품(메리야스 편물과 뜨개질 편물 제외)
| 2,430
| 1,250
| 0.02
| -48.63
| 1,020
| 122.89
|
63 | 제품으로 된 방직용 섬유의 그 밖의 물품, 세트, 사용하던 의류
| 8,140
| 9,400
| 0.18 | +15.43
| 5,570
| 10.43
|
70 | 유리와 유리제품
| 28,690
| 24,090
| 0.47
| -16.03
| 17,200
| 41.75
|
72 | 철강
| 181,360
| 163,170
| 3.19
| -10.03
| 104,000
| 53.13
|
73 | 철강의 제품
| 119,510
| 102,850
| 2.01 | -13.94
| 81,290
| 58.54
|
82 | 비금속으로 만든 공구·도구·칼붙이·스푼·포크, 이들의 부분품 | 119,710
| 104,200
| 2.04
| -12.96
| 47,460
| -5.57
|
84 | 원자로, 보일러, 기계류와 이들의 부분품 | 786,550
| 966,860
| 18.91
| +22.92 | 824,420
| +71.50
|
85 | 전기기기와 그 부분품, 녹음기, 음성 재생기, 텔레비전의 영상과 음성의 기록기, 재생기와 이들의 부분품·부속품
| 725,910
| 792,780
| 15.50
| +9.21
| 443,250
| +39.69
|
87 | 철도용이나 궤도용 외의 차량과 그 부분품·부속품
| 1,144,250
| 977,040
| 19.11
| -14.61
| 811,850
| +85.61
|
89 | 선박과 수상 구조물
| 4,730
| 523,160
| 10.23
| 10,966.38
| 299,660
| ∞
|
90 | 광학기기·사진용 기기·영화용 기기·측정기기·검사기기· 정밀기기·의료용 기기, 이들의 부분품과 부속품 | 149,680
| 140,790
| 2.75
| -5.94
| 85,590
| 34.58
|
94 | 가구, 침구·매트리스·매트리스 서포트·쿠션과 이와 유사한 물품, 다른 류로 분류하지 않은 램프·조명기구, 조명용 사인·조명용 네임플레이트와 이와 유사한 물품, 조립식 건축물
| 86,600
| 96,130
| 1.88
| +11.01
| 72,740
| 64.91
|
95 | 완구·게임용구·운동용구와 이들의 부분품과 부속품
| 2,580
| 2,330
| 0.05
| -9.67
| 1,200
| 3.17
|
96 | 잡품
| 16,650
| 19,420
| 0.38
| +16.62
| 7,540
| -10.99 |
주*: 선박류, 평판디스플레이, 반도체, 석유화학, 무선통신기기, 자동차부품, 철강제품, 석유제품, 자동차, 일반기계, 가전, 컴퓨터, 섬유류
자료원: http://russian-trade.com/reports-and-reviews/
□ 러시아 현지 기업이 말하는 한국 제품의 장점
ㅇ 다음은 러시아 현지 기업 관계자가 전한 한국 제품의 장점임.
- ITATSU사(이르쿠츠크 소재, 화장품 수입): 오랫동안 아시아 화장품을 판매해왔음. 한국 제품의 장점은 높은 품질과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점임. 더불어 중국 제품과 비교했을 때 가격 면에서 한국 제품이 불리하지만, 원재료의 품질 등에서 앞서고 있다고 생각함. 한국산 화장품이 러시아 시장 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제품의 디자인 또한 인기요인 중 하나임.
- Dentalcom사(시베리아 지역 소재, 의료기기 수입): 스웨덴 U-impl사의 공식 유통을 담당하고 있음. 한국산 임플란트 제품은 시베리아 및 러시아 시장에서 인기 상승 중임. 러시아의 치과치료 비용은 매우 비싼 편으로, 대부분의 제품이 수입산임. 루블화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최고품질의 임플란트 치료를 선호함. 현재 독일의 Dentmol 제품이 가장 인기 제품이지만, 12만 루블로 매우 비싼편임. 따라서 점점 더 많은 치과의사들이 합리적인 가격과 고품질의 한국 제품을 찾고 있으며, 임플란트 스크류, 지대치 등의 다양한 품목을 보유하고 있는 점 또한 장점이라고 생각함.
□ 러시아 수출 시장에서 경쟁중인 한국과 중국
러시아 수입 통계
(단위: 백만 달러, %)
대상국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률 ('17/'16)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세계 | 118,296.3 | 112,656.9 | 142,728.2 | 100.0 | 100.0 | 100.0 | + 26.69 |
중국 | 22,341.1 | 23,005.1 | 30,435.3 | 18.89 | 20.42 | 21.32 | + 32.30 |
한국 | 3,007.5 | 3,176.5 | 4,889.1 | 2.54 | 2.82 | 3.43 | + 53.91 |
주: 1) 1~8월 기간 비교, 2) 자료원: https://www.gtis.com/gta
ㅇ 한국의 대러시아 수출이 성장했지만 러시아의 제1교역국은 중국임.
- 중국 세관은 지난 10월, 올 1월에서 9월까지의 기간동안 러시아와 중국의 교역량이 2016년 대비 22.4%가량 성장해 61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힘.
- 해당 기간동안 중국의 대러시아 수출은 17% 증가한 31억4000만 달러였고 러시아로부터의 수입은 28.5% 증가한 30억 달러였음.
ㅇ 러시아와 중국의 연간 교역량은 1990년 대 5억~8억 달러 수준에 머물렀지만 그 이후로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함.
- 러시아의 경제부 장관 맥심 아레쉬킨은 2017년 러시아-중국 간 총 교역액이 80억 달러로 예상되며, 2020년까지 200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음.
□ 러-중, PvP 시스템* 도입으로 더욱 공고한 무역관계 확립
(* PvP 시스템: 외환동시결제 시스템으로, 시차에 따른 외환거래 리스크 등을 방지)
ㅇ 중국은 지난 10월 초 외환거래의 위험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양국 간 무역거래에서 위안화와 루블화의 외환동시결제시스템(PvP 시스템)을 도입했음.
- 러시아는 중국이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한 첫 번째 국가로, 양국 간의 교역관계는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임.
- 이는 중국이 아시아-유럽 간 교역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일대일로' 정책의 재정 인프라 구축 일환으로 보여짐.
ㅇ 2016년 중-러 교역 동향
구분 | 금액(백만 달러) | 증감률(%) |
러-중 교역 총액 | 66,108 | 4.02 ↑ |
러시아 대중국 수출총액 | 28,021 | 2.04 ↓ |
러시아 대중국 수입총액 | 38,086 | 8.97 ↑ |
- 러시아 기준으로 중국은 교역대상국 1위(시장점유율 14.1%), 수출시장으로 2위(9.8%), 수입국으로는 1위(20%)을 기록했음.
2016년 러시아의 대중국 상위 수입품목

자료원: http://en.russian-trade.com/reports-and-reviews/
2017년 상반기 러시아의 대한국과 중국 수입액 비교 (한국의 주요 수출품 기준)
러시아 수출시장에서의 한국과 중국-전체-kotra 해외시장뉴스.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