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중국산 Mini LED(QLED/QNED) TV보다 경쟁력이 떨어진다. Mini LED TV는 2019년 중국 TCL이 상용화 한 것을, 2021년에 삼성-LG가 중국을 따라서 상용화를 시작한 것이다. 문제는 삼성D와 LGD가 LCD생산을 종료함으로서, 삼성전자·LG전자의 대표 LCD(Mini LED) TV들이 중국산 LCD패널을 사용하는데도, 가격은 고가라는 것이다. 또한 고가임에도 중국산 Mini LED TV랑 차별성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100인치 미만에선 LCD TV든 OLED TV든, 4K TV든 8K TV든, 화질차이가 크지 않고, 또한 UHD콘텐츠 비중이 10%정도밖에 안되고, 그 10%의 UHD콘텐츠 질이 무늬만 UHD화질(16Mbbps) 화질이여서, 고가의 QLED 8K TV나 OLED TV들이 굳이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즉, 작금의 HD/UHD콘텐츠 화질은 4K LCD(LED) TV만으로도 HD/UHD화질을 느끼기엔 충분하기 때문에, 굳이 비싼 프리미엄TV가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아울러 중국산 저가 4K LCD(LED) TV들이 스마트TV의 핵심이 되는 구굴TV(안드로이드TV) OS를 사용하고, 세계최고수준의 미디어텍 칩을 사용하여, 상성-LG TV의 성능을 넘어서고 있다. 또한 TV를 개임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고주사율 경쟁에서도 중국산이 앞서있고, HDR방식 지원도 중국산이 앞서있어, 이젠 더 이상 비싸게 삼성-LG TV를 구입할 이유와 명분이 없다. 5)OLED TV가 역성장을 하고 있다. 10년이나 되었다는 OLED TV는, 아직도 전 세계 TV판매량의 3%를 넘지 못하고 있고, 2021년 650만대로 정점을 찍고, 2022년엔 삼성D의 TV용 OLED 참여에도 불구하고 역성장을 하였고, 2023년 1~2분기에도 역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전체 OLED TV 판매량의 60%를 LG전자가 판매하고 있고, 전체 OLED TV의 90%이상을 1~3위 회사들이 판매하고 있다. LG전자 OLED TV 판매량이 높은 것은(60%), LCD TV 구입자를 OLED TV로 구입을 유도한 효과라는 점에서, 10년이나 된 OLED TV는 대중적 TV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현실이 이러함에도 삼성-LG가 OLED TV를 대표(차별화) TV로 내세우는 이유는, 삼성D와 LGD가 LCD를 종료하면서, 중국산 LCD TV와의 차별화를 위해 어쩔 수 없이 OLED TV를 대표(차별화) TV로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OLED TV가 삼성-LG의 대표(차별화) TV로 성장할 수 없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바로 OLED소자 자체가 갖는 한계성이다. 즉, OLED소자는 유기물이라 3~4년 정도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라면 몰라도 10년이상 사용하는 TV용으로는 내구성(번인현상/밝기저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없기 때문에 TV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해서 삼성전자가 OLED TV를 출시하지 않겠다고 하였다가, 삼성D가 LCD생산을 종료하면서, 그 어떤 해명도 없이 다시 OLED TV를 출시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LG TV의 차별화(혁신) 전략(삼성-LG TV가 지금의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①TV의 중심을 8K로 하고, 8K TV 가격을 절반이하로 내려야→년내 추진 ②12bit LCD패널 개발→온전한 8K화질 구현 ③OLED의 화질을 넘어서는 향상된 8K Dual LCD패널 개발 ④패널을 접합할 수 있는 LCD패널 개발→가성비를 갖춘 110"~ TV에 대응 ⑤8K/120fps, 12bit/RGB로 압축/복원할 수 있는 압축 디코더(H.266/VVC) 개발→온전한 8K화질 구현(110"~ TV엔 필수) ⑥TV에 USB-C(USB4 v2.0) 채용→8K/120Hz, 12bit/RGB전송 ⑦HDR방식을 통합내지는 모두 지원 ⑧TV를 용도별로 출시→사용하지도 않는 방송 수신 기능은 옵션 |
첫댓글 요즈음 벌어지고 있는 현상을 때
맞추어 정확하게 지적 해 주셨슴니다.제 개인적으로 화면 싸이즈
기준 75인치만 사용하다 이번에
85인치로 기변 하고자 작년과
같이 TCL 금년 신 모델 주문 기다리고 있슴니다.받아 보는데로 운영자님의 세심한 진단이 엄연한
현실이다라는 걸 사용자 입장에서 체험 후기를 올리겠습니다
매우 공감이 가는 내용들이 많네요.
특히 마지막 문단에 LG전자와 삼성 양사가
HDR 방식을 모두 지원해야 한다는게 와닿네요.
삼성은 돌비 비전의 HDR을 거부하고 있고
LG는 HDR 플러스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중국 TV 제조사들은 둘 다 지원하고 있는데
삼성, LG는 뭐하는 짓들인지 모르겠습니다.
TCL꺼 쓰고 있는데.화질도 좋고
가격도 저렴한데 거기다 돌비애트모스까지 진짜 삼성 엘지 살필요가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