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재 윤두서의 <일본여도>와 그 원본
숙종대 활약했던 근기남인계 문인화가인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 1668-1715)가
그린 <일본여도(日本輿圖)>(보물 제481-4호)는
해남윤씨의 종가인 전라남도 해남 녹우당에 소장되어 있다(도 1).
<일본여도>는 커다란 크기의 종이 한 장을 이용하여
일본 국토 전체를 대상으로 그린 전도로서
책자 크기만 하게 접은 절본(折本)형식으로 되어 있다.
표지의 앞면에 “日本輿圖”라는 표제가 적혀있고,
표지의 바탕에 담채로 그려진 꽃그림도 에도시대(江戶時代) 전형적인 화훼화풍이
엿보여 원본의 표지까지 그대로 모사한 것으로 짐작된다.
|
도 1) 윤두서, <일본여도>, 18세기 초, 69.4cm×161.0cm, 해남 녹우당 소장 |
이 지도의 오른쪽 상단에 윤두서의 장손인 윤종(尹悰)의 수장인이 찍혀있을 뿐
윤두서가 그렸다는 확실한 단서는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윤두서의 장남 윤덕희(尹德熙, 1685-1766)가 쓴「공재공행장(恭齋公行狀)」에
윤두서의 지도제작에 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중국의 지도와 우리나라의 지리서는 모두 그 내용을 간파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지리에 대해서는 산천이 흐르는 추세와 도리(道里)의 멀고 가까움,
성곽의 요충지를 빠짐없이 자세히 파악했다.
공은 그때 벌써 지도를 만들고 또 기록했으며,
지도상의 지점을 실제 다녀본 사람과 함께 책을 펴놓고 증험하면서
손바닥을 가리키듯 낱낱이 열거했다. 또 <일본여지>를 그렸는데,
역시 빠진 것 없이 아주 상세하다. 대개 공이 군사 분야에 뜻을 두었기 때문에,
도리와 산천의 기록에 실제로 각장의 (주 1) 문자를 쓴 것이다. (주 2)
이 기록은 윤두서가 우리나라의 지리를 자세히 파악하여 지도를 제작하였으며
군사 분야에 대한 관심이 일본지도의 제작으로 이어졌음을 알려준다.
여기서 윤두서가 제작한 우리나라 지도란
녹우당에 소장된 <동국여지지도(東國輿地之圖)>(보물 제481-3호)를 말한다.
조선시대에 문인화가와 화원화가들이 왕명을 받아 지도를 그린 사례는
조선초기부터 있었지만 문인화가가 개인적인 관심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지도를 모사한 사례는 윤두서가 가장 선구적이다.
윤두서의 증손자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강진 유배시절인 50세(1811)에 쓴 편지에서 윤두서가 그린 일본지도를 언급하였다.
공재께서 손수 베꼈던 일본지도 1부를 보면
그 나라는 동서로 5천리이고 남북으로는 통산 1천 리에 지나지 않습니다.
지도의 너비는 거의 1장에 이르는데 군현(郡縣)의 제도와
역참(驛站)의 도리(道里), 부속 도서들, 해안과 육지가 서로 떨어진 원근,
해로(海路)를 곧장 따라가는 첩경(捷徑) 등이 모두 정밀하고 상세하였습니다.
이는 반드시 임진년 · 정유년의 왜란 때에 왜인(倭人)들의 패전한 진터 사이에서
얻었을 것일 텐데, 비록 만금(萬金)을 주고 사고자 한들 얻을 수 있겠습니까?
삼가 1통을 옮겨 베껴놓았는데 일본의 형세가 손바닥을 보듯 환합니다. (주 3)
조선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도 1811년에야 일본지도를 처음으로 접했는데,
윤두서는 이 보다 100여 년 앞서 일본지도를 구해서 모사했다는 사실에
놀라움과 함께 숙연해진다.
윤두서처럼 일본에 관심을 가졌던 지식인들이 일찍부터 많이 나왔더라면
오늘날 독도영유권 분쟁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윤두서가 모사한 <일본여도>의 원본
윤두서가 그린 <일본여도>는
이시카와 류센(石川流宣)이 1687년에 제작한 <본조도감강목(本朝圖鑑綱目)>과
1691년에 개정판인 <일본해산조륙도(日本海山潮陸圖)>와 같은
이른바 ‘류센일본도’를 모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도 2, 도 3). (주 4)
이 연구를 통해서
이 지도가 임진왜란 때 왜인들의 패전 터에서 얻은 것이라는 정약용의 추정이나
숙종이 임진왜란의 치욕을 설욕하고자 윤두서에게 명하여
사재(社財)로 48명의 첩자를 일본에 보내 3년간 지리를 조사케 하여 그린 것이라는
가전된 일화가 근거 없는 설이었음이 밝혀졌다.(주 5)
|
도 2) 石川流宣, <본조도감강목(本朝圖鑑綱目)>, 1687년
木版手彩, 60.0×130.5cm, 大英圖書館 소장 |
|
도 3) 石川流宣, <일본해산조륙도(日本海山潮陸圖)>, 1691년
木版手彩, 82.0×170.0cm, 明治大學圖書館 소장 |
해남윤씨의 종손이신 윤형식 선생님의 배려로 이 지도의 실물을 자세히 관찰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을 논문으로 다루기에 앞서 일부 소개하고자 한다.
윤두서의 지도는 류센일본도의 상하 여백에 기입한 일람표가 누락된 것을 제외하면
윤곽과 내용이 거의 일치한다는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류센일본도와 윤두서의 지도는 담겨진 내용들이 상당 부분 다르다.(주 6)
류센일본도 중에서도 <일본해산조륙도>보다 더 이른 시기에 제작된
<본조도감강목>이 외형 면에서 윤두서의 지도와 더 유사한 편이다.
그러나 <본조도감강목>에는 기재된 출판처(相模屋太兵衛)와 제작자의 이름,
동서남북의 방위표시, 그리고 상단과 하단에 빼곡히 나열된 오기(五畿)와
7도(道)에 속한 각 국(國)의 석고(石高)와 이정(里程)의 일람표 등이
윤두서의 지도에는 보이지 않는다.
류센도에 보이는 오키(隱岐)섬의 오른쪽에 위치한 '한당(韓唐)'으로 표기된 섬,
주요 성곽의 표현 등도 발견할 수 없다.
동산도(東山道) 8국 중 하나인 시모쓰케(下野) 주변지역을 하나의 예로 살펴보면
직사각형 속에 기입된 각 번(藩)의 다이묘(大名) 이름과 석고(石高) 등이
다르게 표기된 부분이 발견된다(도 4).
또한 윤두서의 지도에는 붉은색 선으로 그린 도로에 거리가 추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산들의 표현이 많이 늘어난 점도 확인된다.
|
도 4) 윤두서의 <일본여도>와 <본조도감강목>(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소장본)
시모쓰케(下野) 주변지역 비교 |
이에 반해 대영도서관 소장 <신판일본도대회도(新版日本圖大繪圖)>(1686년)는 전
체적인 외형과 가로와 세로의 크기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내용까지
윤두서의 지도와 대부분 일치해 원본으로 여겨진다(도 5).
|
도 5) <신판일본도대회도(新版日本圖大繪圖)>, 1686년
木版手彩, 69.0×160.0cm, 大英圖書館 소장 |
<신판일본도대회도>는 목판으로 찍어낸 다음 그 위에 채색을 가미한 지도로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마쓰마에(松前)”라는 섬의 경계 구역 안에
엥겔베르트 캠퍼(Engelbert Kampfer 1651-1716)가 쓴 글씨가 적혀있다.(주 7)
그는 네덜란드 상관소속의 독일인 의사이자 박물학자로 1690부터 1692년까지 일본에 체류한 바 있다.
세부도를 보면 윤두서의 지도는 각 지역의 경계, 국과 군의 위치, 도로망, 해안선의 요철,
바다의 표현 등이 <신판일본도대회도>와 흡사하다(도 6, 도 7).
류센일본도에 그려진 선박과 물결묘사가 보이지 않고 푸른색의 선염으로 처리한 점도 동일하다.
|
도 6) 윤두서, <일본여도>(좌), <신판일본도대회도>(중), <본조도감강목>(우)
조선과 대마도 부분 |
|
도 7) 윤두서, <일본여도>(좌), <신판일본도대회도>(우) 부분 |
조선식 지도기법의 응용
윤두서는 일본지도를 그대로 모사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생략 또는 변형을 가하였다.
<신판일본도대회도>는 판본이기 때문에 모든 선들이 검정색인데 반해
윤두서의 것은 도로는 붉은색으로, 국의 경계는 노랑색으로, 해안선의 경계는 푸른색으로
각각 색깔을 구분하여 선을 활용한 점이 돋보인다.
각 도에 소속된 제국(諸國)은 타원형으로 테두리 짓고
그 배경색을 우리나라 전통적인 풍수사상에 입각한 오방색으로 칠해
오기(五畿)와 7도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하였다.
시모쓰케(下野)라는 지명을 ‘下墅’로 잘못 표기한 오류도 발견된다.
윤두서는 <신판대일본도>의 하단에 위치한 오기와
7도에 속한 각 국의 석고내력이 적힌 일람표를 생략한 채 각국의 숫자만 적었다(도 8, 도 9).
각 도의 배경색은 오방색을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
도 8) <신판일본도대회도> 하단 부분 |
|
도 9) 윤두서, <일본여도> 하단 부분 |
<신판일본국대회도>의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이테키(夷狹)라는 지명이
윤두서의 지도에는 하이도(蝦이島)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테키 남단에 위치한 마쓰마에(松前)라는 섬이 하이도 위쪽에 위치해 있다(도 10).
이 지역의 경계선도 서로 차이가 난다.
왜 이 지역만 원본과 다르게 그렸는지에 대한 의문점은 풀지 못했다.
다만 ‘하이’라는 지명은 류센일본도 이전에 제작된 행기도계열의 일본고지도와(주 8)
강항(姜沆 1567-1618)의 『간양록(看羊錄)』에 실린 <왜국지도(倭國地圖)> 등에 보인다.
조선시대 문헌에는 ‘이테키’라는 지명대신 ‘하이(蝦이)’로 표기되어 있는 점을 감안해보면
윤두서가 우리나라에 널리 알려진 지명으로 바꿔 쓴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
도 10) 윤두서, <일본여도> 하이도(蝦離島)
<신판일본국대회도> 이테키(夷狹) 부분 |
문화재에 담긴 정보과 진실을 읽어내려는 노력은 문화재 감식안을 키우는 최선의 방법이다.
이 지도읽기는 이제 막 시작되었고 앞으로 구입한 경로의 추적, 후대에 미친 영향 등
더 많은 내용을 읽어낼 수 있도록 관심의 끈을 놓지 않을 것이다.
--------------------------------------------------------------------------
주 1) 각장이란 전매세를 내고 교역하도록 허락받은 시장을 말한다.
주 2) 尹德熙, 「恭齋公行狀」, 『棠岳文獻』 6冊 海南尹氏文獻 卷16 恭齋公.
주 3) 丁若鏞, 「上仲氏辛未冬」, 『與猶堂全書』 第一集 詩文集 20卷.
주 4) 吳尙學, 「조선시대의 일본지도와 일본 인식」, 『
대한지리학회지』 제38권 제1호(대한지리학회, 2003), 39~41쪽;
배우성, 「정약용과 일본지도」, 『실학산책』 2006년 11월 15일.
주 5) 이 일화에 관한 언급은 尹泳杓 編, 『綠雨堂의 家寶-孤山 尹善道 古宅』(1988), 163쪽.
주 6) 吳尙學, 위의 논문, 41쪽.
주 7) <신판일본도대회도(新版日本圖大繪圖)>의 출처는
http://record.museum.kyushu-u.ac.jp/zn/zntop.html
주 8) <行基菩薩說大日本圖>, 江戶時代 初期, 목판본, 80.4×42.3㎝, 神戶市立博物館 소장.
『江戶時代 古地도 총람』(東京 : 新人物往래社, 1997), 65쪽 도11.
--------------------------------------------------------------------------
- 차미애, 문화재청 무안국제공항 문화재감정관실 차미애 감정위원
자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