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임 받는 사람이 되자
어느 집에 금이 간 항아리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집주인인 여자는 그 항아리를 버리지 않고
물을 긷는 데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오랜 세월이 지나도 여자는 여전히
금이 간 항아리를 깨지지 않은 다른 항아리와
똑같이 아꼈습니다.
금이 간 항아리는 미안한 마음에
여자에게 물었습니다.
“금이 간 저를 어찌하여 버리지 않고
계속 아껴주시는 건가요?”
여자는 미소만 지을 뿐 아무런 대답이 없었는데
어느 날, 어김없이 금이 간 항아리로 물을
길어오던 여자가 조용히 말했습니다.
“여기 지나온 길을 한 번 보아라.”
“아니, 이 깊은 산골 길가에 예쁜 꽃들이
어찌 저렇게 싱싱하게 피어있을까요?”
여자는 빙그레 웃으며 금이 간
항아리에 말했습니다.
“메마른 산길이지만, 너의 깨어진 틈에서
새어 나온 물을 먹고 자란 꽃들이란다.”
‘보리 까끄라기도 쓸모가 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당장은 쓸모가 없는 것이라도 잘 두면
소중하게 쓸데가 있다는 뜻입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세상에 쓸모없는 물건이 없듯이
세상에 쓸모없는 사람도 당연히 없습니다.
그러기에 내 모습 그대로를 소중하게 여겨야 하며
다른 이도 나를 보듯 존중하며 소중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 오늘의 명언
있음이 이롭게 되는 것은 없음의 쓰임이 있기 때문이다.
– 노자 –
첫댓글 불경에 '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하나도 없다. 모든 것은 그 자체로 존재 이유는 충분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독이 깨지지 않아야 실용가치가 있다고 실용성에 비중을 두는 사람도 있지만 깨진 독에서 예술성을 찾는 사람도 있으니까요. 내가 지금 어떤 위치에 있던 내가 스스로 꺼릴 것이 없는 나만의 안목이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존재가치가 있는 것이지요.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