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의 여류시인 4
2012년 3월 남강문학회 정재필 회장은 해운대 모임에서 즉흥시 한 수를 읊었다.
봄날은 간다
꽃샘추위 잦아든 해운대 동백섬 동백꽃 흐드러져 봄날은 간다.
눈매 고왔던 갈래머리 문학소녀가
어느 자리에선가 성주풀이 멋들어지게 꺾어재끼던 당찬 소녀가
어느새 반백 머리 할머니 되어
소설집 원 없이 펴낸 곱게 늙은 여류작가가 되어
반세기 만에 나타나 주름진 손 덥석 잡는데
속절없이 봄날은 흐르고
낮과 밤의 키 똑같아지는 춘분 절기가 감격스러운지
해운대 바닷물도 뒤척이며 꺼이꺼이 목이 메는 봄밤
8부 능선을 넘는 숨찬 나이에도 아직은 설렘과 떨림이 남아서일까
술잔은 넘치고 아아 봄날은 간다.
이 시에 나온 눈매 고왔던 갈래머리 문학소녀가 김지연 소설가다.
누가 진주를 색향 아니랄까 봐, 이 분은 한 때 서울에서 강신재, 정연희와 함께 문단의 미녀 3 총사로 불린 분이다. 모윤숙, 박화성, 최정희 소설가가 활동하던 시절, 여류들은 청와대에서 초대되고, 각 일간지가 전국주부백일장 행사를 소개하고 한창 줏가 높았을 때 김지연 선배는 한국여성문인회 회장을 했다.
나와 2살 터울인 김선배는, 10년 전 김후란 추영수 시인과 한국문인협회 일본 문학기행에서 같은 테이블에 앉은 적은 있지만 평소 면식이 없는데, 내가 남강문학회 사이트에 그분의 등단 50주년 기념 단편 선집 <산계집아이>를 소개한 후 전화로 만날 약속을 했다. 장소는 대한 극장 1층 시간은 점심 때다. 나는 운 좋게 문단에서 콧대 높은 이 분과 데이트할 기회 잡자, 미리 김칫국부터 마셨다. 텁텁한 막걸리 잔 나눌 장소 물색해 놓았다. 관록 있는 작가는 아무나 만나지 않는다. 미인은 더 어렵다. 이런 걸 1 打 2枚라 부른다. 정각에 나타난 그분은 악수 나누자마자 극장 옆골목으로 나가자고 했다. 내가 미리 봐둔 집으로 안내하자, '막걸리도 한 잔?' 메뉴 정하기 전에 미리 맘부터 알아준다. 첫 단추 이렇게 잘 꿰어지자, 그다음은 일사천리 춘풍에 봄바람이다.
문단에서는 월탄 박종화 선생이 딸처럼 아낀 제자는 진주여고 출신 김여정 시인이고, 김동리 선생이 수제자처럼 아낀 제자는 진주여고 출신 김지연 소설가로 알려져 있다. 막걸리 매너야 원로들한테 배웠을 것이다. 한 병이 두 병 되고, 두 병이 세 병 되었다. 지연이라는 필명도 동리 선생이 지어주신 것이라 한다. 본명은 김명자인데, 원래 동리 선생이 작명해 주신 '지연'이란 필명이 탐탁지 않았다 한다. 그런데 동리 선생 댁에 새배 갈 때마다 부인 손소희 소설가 앞에서 ’ 지연아 네가 아들만 둘이지?' 일부러 묻기도 하고, ‘자연과 인생’이란 수필집에 사인해 주실 때, 김지연이라는 필명을 쓰고 거기 낙관을 찍어주신 걸 보고, 그 후에 정했다고 한다.
몇 순배 잔이 오간 후 선배님 작품 <소설 논개> 이야기가 나왔다. 선배는 부산의 모 일간지에 <소설 논개>를 연재한 후 나중에 상, 중, 하, 세 권의 책으로 출간했다. 연재하면서 오랜 시간 논개에 대한 연구도 하고 자료 수집과 취재를 했을 것이다. 그래 내가 그 자리에서 정태수 전 교육부 차관님과 전화 연결시켜 드렸다. 정 차관님은 의암 옆 비각 안에 있는 논개의 시를 한글로 옮긴 분이다.
홀로 가파른 그 바위 우뚝 선 그 여인(獨峭其巖 特立其女)
저 여인, 이 바위 아니면 어디서 죽을 곳을 얻으며(女非斯巖 焉得死所)
저 바위, 이 여인 아니면 어찌 의롭단 말 들으리(巖非斯女 烏得義聲)
한 줄기 강물 높은 바위, 만고에 꽃다우리라(一江高巖 萬古芳貞)
이 시는 해주 정 씨 정식(鄭栻)이란 분 작품인데, 그분의 상소로 조정에서 처음으로 '義妓'라는 용어를 허락했다. 그 이전은 官妓라 누구도 논개를 언급치 않았다. 정차관님은 이런 사연으로 한시를 한글로 옮긴 후, 비각 안에 감춰져 볼 수 없는 그 시를 제작 비용은 해주 정 씨 문중에서 대기로 하고, 모두가 읽을 수 있는 의암 바로 옆에 화강암 비석으로 세우고자 했다. 그래 나와 시장 만나려고 진주에 갔다가 하순봉의원과 식사하고 온 적 있다.
평소 나는 자연에 대한 수필을 주로 쓰고 지리산에 자주 다닌 편이다. 지리산에 농막 하나 지어놓고 가는 김선배는 내 지리산 방문기 몇 편 읽었다고 한다.
김선배의 작품세계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되는 듯하다. 초전동 과수원집 따님이 18세 때 폐결핵으로 지리산 산사에서 정양할 때 쓴 <산울음>, <산배암>, <산계집아이> 등 산에 관한 것, 의학신문 취재부장 경험을 토대로 쓴 <흑색병동>, <히포크라테스 연가> 등 의학 소설이 그것이다.
약력
1967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당선. 1968년 「현대문학」 추천으로 등단.
작품집 『산계집아이』 『산울음』 『산 뱀』 『야생의 숲 』『촌남자』『고리』『아버지의 장기』
『산막의 영물』 『배추뿌리』 『산죽』등 30여 권이 있고, 역사소설 『논개』가 있다.
한국소설문학상, 월탄문학상, 류주현 문학상, 손소희 문학상 수상. 방송심의위원회,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경원대 겸임교수. 한국문예학술 저작권 협회 부이사장. 한국여성문학인회 회장 역임. 현 은평문화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