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1. 18. 네이버 카페 오두막 지기.
2023년~2024년, 우주 및 생사, 시공의 이치 등 보다 가치있는 삶부터 맑고 밝은 세상, 더불어 고르게 잘 사는 사회까지 271개의 과제 수행 흔적.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지나치게 늦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 및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과 관련하여 무기력, 무능력한 정부, 기업 등 경제 주체에 경각심과 분발을 촉구 함.
게으른 네이버 단칸 모옥 청소부 A-2.
2023. 10. 9.
미래 계속될 우리 장부, 기업 등이 반드시 완수해야 할 필수 과제에 관한 플랜 B, 혹은 C 목표 중 작은 하나인 국민의 실물 자산 매 십 년마다 배 이상 증가 목표 4.
서울 지방 부동산 및 지역, 자산 양극화 완화, 국토, 지역 균형 발전과 관련한 낙후된 지방 부동산 13
마린시티 자이, 마린시티 아이파크, 마린시티 더제니스, 엘시티, 용호동 W 등 엉덩이가 무거운 대형 평형 아파트 가격조차 2~3년 만에 최고가 기준 3~4배 오를 만큼 가볍게 움직이는데, 지금은 모두 불가능하다 여기겠지만, 대구 수성구, 대전 서, 유성구, 광주 남구, 울산 남구 등 낙후된 전국 지방의 극소수 대표 아파트 전용 25평 최고 가격은 언제쯤 20억, 30억 원을 돌파할 수 있을까?
시범 케이스 소지역 삼익 비치, 대연비치푸르지오써밋, 남천 자이 전용 25평 가격은 언제쯤 평당 1~2억 원대로 오를 수 있을까? 10년 후면 가능할까? 그리되면 해운대 마린시티자이, 롯데캐슬스타, 틀럼프월드센텀, 경남마리나, 동래 사직캐슬클래식, 금정 래미안 등의 전용 면적 25평 최고 가격도 5년. 10년 후 쉽게 20억, 30억 원을 뚫을 수 있겠지?
이하, 이와 관련 최근에 모니터링된 자료다. 2023년 10월 6일... 강남도 아닌데 국평 43억 찍었다... 성동구 성수동 트리마제 전용 84㎡(38평형) 35층은 지난 9월 8일 43억원에 팔렸다. 3.3㎡당 1억1300만원이다. 성수동 ‘갤러리아포레’ 전용 241㎡는 지난 8월 22일 100억원에, ‘아크로서울포레스트’도 최근 전용 198㎡가 99억원에 거래됐다.
2023년 9. 26일 네이버 뉴스...'20억' 흥행, 다음은 46억?…부산 분양가 천장 뚫는다..부산 남구 대연동 '더 비치 푸르지오 써밋'은 247가구 모집에 5606명이 몰려 평균 22.2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3.3㎡(평)당 분양가는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와 비슷한 3270만원으로 역대 최고 금액이다. 지금까지 부산 최고 분양가는 지난해 분양한 '남천 자이'로 3.3㎡당 3000만원이었다
2023년 9. 27일 네이버 뉴스...대우건설이 메가마트 남천점을 개발해 짓는 '남천써밋(가칭)'가 3.3㎡당 4100만~4300만원에 공급될 것이란 관측이다. 전용 98㎡ 분양가가 15억원, 전용 274㎡ 펜트하우스 분양가가 46억원이라 언급됐다.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경동제이드 전용 222.935㎡는 44억 원에 거래되면서 이전 최고가에 비해 12억원 상승했다. 부산시 남구 '대연 디아이엘'이 지난 7월 15.6대 1로 청약 경쟁률을, 남구 '두산위브더제니스 오션시티'와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대방 디에트르'도 각각 완판됐다.
2023년 9. 25일 네이버 뉴스...'GTX 외곽' 동탄 주상복합 20억…'GTX 중심' 서울역 넘어.. 경기도 화성시 SRT 동탄역을 낀 주상복합아파트 '동탄역 롯데캐슬' 전용면적 102㎡는 최근 20억원에, 전용면적 84㎡도 지난달 16억원에 거래됐다. 서울역 인근 용산파크e-편한세상 전용면적 113㎡의 지난달 거래된 18억9000만원, 남산롯데캐슬아이리스 전용면적 103㎡의 지난 7월 거래된 14억2000만원, 서울역센트럴자이 전용 84㎡의 지난달 거래된 14억9800만원 등 서울 중심 지역 아파트값을 추월한 것이다.
광주 광산구 월계동 라펜트힐 244㎡는 지난 4월 38억900만원에 거래됐고 2022년 붕괴사고로 시공사가 철거 후 재시공하기로 결정한 서구 화정동아이파크2단지 218㎡입주권이 이달 19억7501만원에 직거래됐다.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스마트시티2단지 203㎡는 지난 6월 27억원에 거래됐다
2023년 10월 9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10월 9일 부동산 단신 5.
서울시는 전날 열린 건축위원회에서 신림1구역 재개발 사업에 대한 심의를 통과시켰다. 은평구 갈현 1구역 재개발 조합은 지난 25일 은평구청에 건축물 해체계획서를 접수했다. 도봉구 방학 신동아1차 재건축 사업의 예비신탁사로 코람코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강북구 번동 모아타운 10구역은 번동 1~9구역에 이어 코오롱글로벌을 시공사로 선정할 예정이다. 경기 남양주시 퇴계원2구역 재개발 시공권에 우미건설과 두산건설의 2파전이 성사됐다.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6지구 A3블록 '고촌센트럴자이'의 분양가가 3.3㎡당 2500만 원으로 책정돼 전용 84㎡의 분양가는 8억원 중반대가 될 전망이다. 인근 '캐슬앤파밀리에'였다. 당시 분양가는 3.3㎡당 1200만원대로 전용 84㎡를 기준 4억원 초반대였다. 올해 김포에서 거래된 전용 84㎡ 최고가는 운양동 '한강신도시 반도유보라 6차'로 지난 7월 7억7000만원에, 걸포동 한강메트로자이3차가 7억500만원, 고촌읍 '고촌행정타운 한양수자인'이 6억7700만원에 매매됐다.
서울 동대문구 ‘휘경자이 디센시아’(3.3㎡당 평균 2945만원)보다 3.3㎡당 300만원 이상 높아 고분양가 논란이 일었던 이문동 ‘래미안 라그란데’는 전 가구 계약을 완료했다. 분양가는 3.3㎡당 평균 3285만원, 전용 84㎡가 10억~11억원대였다. 광진구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도 전용 84㎡ 최고 분양가가 14억9000만원에 달했지만 모든 계약을 완료했다.
관악구 ‘서울대벤처타운역 푸르지오’도 전용 84㎡ 10억 2950만원의 분양가에도 최근 완판 소식을 알렸다. 경기 광명시 ‘광명센트럴아이파크’가 무순위 계약 5일 만에 다 팔렸다. 분양가가 성북구 보문동6가 '보문파크뷰자이', 관악구 봉천동 '관악드림타운' '벽산 블루밍' 등 주변 시세보다 비쌈에도 서울 성북구 보문동 '보문센트럴아이파크'와 관악구 봉천동 '힐스테이트 관악센트씨엘'은 각각 1순위 평균 경쟁률 78.07대 1, 65.51대 1을 기록했다.
서울 강동구 천호 뉴타운 ‘e편한세상 강동 프레스티지원’, 경기 광명시 철산주공 10·11단지 재건축 ‘철산자이 브리에르’를 분양한다. 인천 계양구 작전현대구역재개발정비사업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계양'을 분양할 예정이다. 계양구는 앞서 입주한 '계양1구역재개발(2,371가구)', '효성1구역재개발(1,646가구)' 등 정비사업이 활발하다.
광주시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첨단제일풍경채’ 분양가는 전용 59㎡가 2억8900만~3억5900만원, 84㎡는 3억9600만~4억8800만원 수준이다. 반면, 광주 광산구 하산동 ‘광산센트럴파크’는 전용 84㎡ 분양가가 최고 6억6800만원에 달한다. 광주 북구 신용동 ‘힐스테이트 신용 더리버’의 같은 평형 분양가는 7억5920만원 수준이다.
2023년 7월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7월 9일 부동산 단신 5.
최고가 ‘24억’ 찍었던 서울 강남구 ‘개포래미안포레스트’ 13억원에 팔려...강남 개포동 개포래미안포레스트 전용 59㎡는 올해 3월 13억원(14층)에 거래되면서 종전 최고가(23억7000만원·4층)보다 45.1%하락했다. 송파구 가락동 가락쌍용1차도 지난 3월 전용면적 84㎡가 9억원(5층)에 거래되면서 직전 최고가(17억원·15층) 대비 47.1% 하락했다. 2021년 7월 13억원에 거래된 마포구 태영아파트 역시 지난달 7억(-46.2%) 팔렸다.
경기 양주 동안마을주공3단지와 인천 미추홀구 용현성원상떼빌로 최고가 거래금액보다 48.8% 내린 가격에 새 주인을 찾았다. 세종시 고운동 가락마을6단지 중흥S클래스프라디움 전용면적 59㎡는 지난 2021년 1월 5억3700만원(13층)에 거래됐으나 지난 4월 직전 최고가 대비 33.9% 하락한 3억5500만원(13층)에 거래됐다.
부산 사하구 힐스테이트사하역은 지난 5월 전용 84㎡가 5억3500만원(27층)에 거래되면서 직전 최고가 7억7692만원(18층)보다 31.1% 하락했다. 부산진구 개금시영아파트로 2020년 12월 1억9000만원에 팔렸으나 올해 3월 9500만원에 거래되며 가격이 2분의 1로 떨어졌다. 전북 익산 세경아파트 또한 2021년 1월 1억원에 거래됐지만 약 2년3개월 만인 지난 4월 매도 금액은 5000만원으로 50.0% 하락률을 나타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등록된 올 1월부터 6월27일까지 강남구 아파트 매매거래를 분석한 결과 1위는 개포동 성원대치2차(거래량 69건)로 조사됐다. 2위는 대치동 은마(65건), 3위는 도곡동 도곡렉슬(58건)로 파악됐다. 한편, 올 3월에 입주한 개포동 개포자이프레지던스 전용 59㎡의 경우 올 4월과 5월에 21억원대에 거래됐다.
서울 강남구 역삼동 대림역삼 리모델링주택조합은 지난 13일 조합설립인가를 받았다. 서초구 잠원강변아파트(360가구)는 4월 말 서초구청으로부터 리모델링조합설립인가를 받고 시공사 선정 단계이고, 반포푸르지오(237가구)는 4월 한화건설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강남구 대치1차현대아파트(120가구)는 지난달 말뚝 기초 공법으로 준공된 아파트 중 최초로 수직증축 리모델링 허가를 받고 사업을 진행 중이다.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인덕원 퍼스비엘'과 내손동 '인덕원 자이 SK뷰'는 계약을 완료했다.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평촌 센텀퍼스트' 계약률을 95%까지 올라왔다. 한편, 입주 3년 차인 춘천 파크푸르지오 33평형은 올 2월 4억7,000만 원에 머무르던 최저 호가가 현재 4억9,500만원까지 높아졌다. 원주 일산동 5년 차 아파트인 두진하트리움시티는 최저 호가가 올해 초 3억1,000만원에서 최근 3억5,000만원으로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