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전 숀 켐프가 복귀준비를 하고 있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시애틀 타임즈가 켐프와의 인터뷰 중에 나왔던 기사였는데요, 번역해봤습니다.
숀 켐프는 인터뷰에서 자신이 컴백하려는 이유에 대해서,
그리고 자신의 가족과, 자신이 남겨놓은 것들, 복귀를 위한 준비, 얼마전에 있었던 마약소지 사건, 시애틀에 대한 자신의 감정등을 털어놓았습니다.
숀 켐프에 대해서 가졌던 문제아의 이미지가 과연 실제 그의 모습인지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군요.
원문은 여기입니다.
http://seattletimes.nwsource.com/html/sports/2002398938_kemp24.html
제가 영어실력이 일천한 관계로 번역이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많습니다.
해석해놓고 이게 무슨 소리인지..하는 부분도 있구요.
이해가 전혀안되서 대충 얼버무린 부분도 있습니다.
글이 길기때문에 마지막에 집중력이 떨어져서 그런 점도 있구요.
틀린 부분 지적해 주시면 바로바로 수정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하도록 하죠.
Shawn Kemp eyeing a return to the NBA
HOUSTON — Shawn Kemp is standing next to his car, a Dodge Magnum RT with Oregon plates and 24-inch chrome rims and windows tinted black. He's strapping 25-pound weights on each ankle. Dressed head-to-toe in swooshes — Jordan socks, Nike Shox and red and white shorts — he shoves two American flags into the ground at George Bush Park.
숀 켐프는 검은색 유리와 24인치 크롬 림이 장식된 오레건 번호판이 붙어있는 자신의 차 Dodge Magnum RT 옆에 서있었다. 그는 양쪽 발목에 25파운드씩을 메달고 있었다. 조던 양말, 나이크 샥스, 붉은색과 흰색의 반바지등을 착용하고 켐프는 두개의 미국 깃발을 조지 부시 파크에 밀어놓았다.
His hill awaits. But why the flags?
그의 언덕이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왜 깃발인가?
"This is the American dream,'' Kemp says.
"이것은 아메리칸 드림이다. " 켐프가 말했다.
The hill stretches about a quarter mile in each direction, its summit equidistant between two green gates. The sun beams from the diamonds in each earlobe. Kemp takes a slug of water.
It's time to head back toward the top.
언덕은 각각의 방향으로 대략 1/4마일씩 뻗어있었다. 언덕의 정상은 두개의 녹색문 사이에 있었다.양쪽 귓볼의 다이아몬드에서 태양빛이 쏟아져나왔다. 켐프는 물을 한잔 마셨다. 다시 정상을 향해 뛰어갈 시간이다.
Readying for a return
Kemp's house is a five-minute drive from the park, tucked into a swanky neighborhood called Lakeside Parkway. There's a pool with a Jacuzzi and a waterfall in the backyard, four cars — the Dodge, a Hummer H2 with spinning rims, an Escalade EXT 300 and a Chrysler REMI — in the driveway, a bright red Vespa scooter in the garage and a pit bull puppy running around the house.
켐프의 집은 조지 부시 파크로부터 차로 5분 거리에 있는데 Lakeside Parkway라고 불리는 멋진 곳에 있다. 분류식 기포 목욕탕인 Jacuzzi가 구비되어있는 수영장이 있고 뒷마당에는 폭포가 있다. Dodge, Hummer H2, Escalade EXT 300, Chrysler REMI 등의 4대의 차를 가지고 있고, 주차장에는 밝은 붉은 색의 Vespa 스쿠터가 있다. 작은 핏불이 집 주위를 뛰어다니고 있었다.
It's clear that, at 35, Kemp never has to work again. So why is he heading toward his "sweatbox" and closing the garage door? Why is he balancing on a yellow ball, lifting a medicine ball overhead and grimacing through hundreds of crunches? Why is he jumping rope, lifting weights and trimming the fat?
이제 35살의 숀 켐프가 다시 일을 할 필요는 없어보였다. 그럼 왜 그는 주차장 문을 닫고 땀복을 입고 운동을 하고 있는가? 왜 그는 엘로우 볼로 균형을 잡고 있으며, 왜 메디신 볼을 머리위로 들어올리고, 수백번의 크런치를 하면서 얼굴을 찡그리고 있는가? 왜 줄넘기를 하고 바벨을 들어올리며 지방을 태우고 있는 것인가?
"I'm going to play again,'' Kemp says, speaking in depth publicly for the first time since he retired two years ago after a 14-year NBA career. "And if I'm going to play again, there's only one way to do it. The right way. On my own.''
"나는 다시 경기할 것이다." 켐프는 자신의 14년 nba커리어가 끝난 2년 전이후 처음으로 자신의 속마음을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만약 내가 다시 경기를 하게 된다면, 이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나자신에게 옳은 방법이다."
Kemp says this isn't about the money. It's about the way his legacy has been defined. You look at him and see a troublemaker, a baby factory, a talent unfulfilled. More than once, Kemp says he doesn't care what anybody thinks. And yet he cares so much, he's willing to leave the Cribs-style house and lavish lifestyle for all the things that dragged him to the bottom.
켐프는 돈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고 말한다. 그가 남겨놓은 것들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분들은 켐프를 보면 문제아, 많은 아이들, 충분히 발휘되지 못한 재능들을 떠올릴 것이다. 한번 이상 켐프는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에 대해 신경쓰지 않는다고 이야기했었다. 그리고 그가 신경쓰는 것은 마굿간 같은 집과 자신을 밑바닥까지 끌어내린 낭비적은 삶의 방식들을 버리는 것이다.
Here's how he got there. Here's Shawn Kemp in 2003, too fat to look at himself in the mirror. Here's Shawn Kemp, quitting with two years remaining on his contract.
어떻게 그가 이지경에 이르렀는가? 여기 2003년에 너무 뚱뚱해서 자신을 거울에 비추어볼수도 없었던 숀 켐프가 있다. 여기 자신의 2년 남은 계약을 포기했던 숀 켐프가 있다.
"Don't even call me about no basketball,'' Kemp told his agent, Tony Dutt.
"농구가 아닌 것에 대해서는 나에게 물어보지 마라" 켐프는 자신의 에이전트 토니 더트에게 말했었다.
The fall was hard. When he left the Sonics in 1997, he jumped like his shoes were made of Flubber. But by the spring of 2001, Kemp checked himself into a rehabilitation facility for cocaine abuse. His weight had ballooned to 317 pounds from the 260 he carried in Seattle. Kemp returned from the NBA lockout in 1998 so heavy his coaches in Cleveland worried about a heart attack. Kemp says he'd still be an All-Star if the lockout never happened.
추락은 힘들었다. 1997년 켐프가 소닉스를 떠났을때 그는 플러버로 만들어진 자신의 신발처럼 점프를 했었다. 그러나 2001년 켐프는 코카인 남용으로 재활기관에 들어가야했고 시애틀에서 260파운드였던 몸무게는 317파운드까지 불어났다. 1998년 직장폐쇄가 끝나고 켐프가 돌아왔을때 클리블랜드의 코치들은 켐프의 심장이상을 걱정해야했다. 만약 직장폐쇄가 없었더라면 자신은 여전히 올스타 일것이라고 캠프는 말한다.
He's finally talking now, rain clouds hovering above the Reign Man. He looks trim, close to the player Seattle remembers. Gone are the rolls of fat and double chin that defined him later, replaced by definitions in muscle fast returning. He's talking fast, animated, gesturing with arms spread wide to make his points. There's a reason, an excuse, for everything that happened.
그는 비 구름이 레인맨의 위에 머물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시애틀이 기억하고 있는 선수에 가깝게 변해있었다. 지방층과 켐프의 커리어 마지막을 특징지었던 이중턱은 근육으로 빠르게 대체되었다. 그는 빠르고 활기차게 이야기를 했다. 가끔 자신의 요점을 말할때 팔을 넓게 펼치는 제스쳐를 보이기도 했다. 이야기 속에는 그도안 일어났던 모든 일들에 대한 이유와 변명이 들어있었다.
And then, at the end of every explanation, Kemp places the blame squarely on his shoulders. It's tough to gauge where he wants that blame to go — on the events he says conspired against him or on himself.
그리고 나서 이야기의 끄트머리에 켐프는 모든 비난을 정직하게 자신의 탓으로 돌렸다. 자신과 자신에 대한 음모라고 말했던 사건들에 대해 그가 비난을 감수하기로 결정한 것은 매우 힘든것이었다.
"You see, I never blamed anybody for any of this,'' Kemp says. "I put my own self in the dirt.''
"나는 이것에 대해서 아무도 비난 하지않는다. 나 자신이 잘못한 것이다."
Changing a legacy
Why come back? Because this isn't how Shawn Kemp wants to be remembered.
왜 컴백을 하려고 하는가? 숀 켐프가 어떻게 기억되어지길 원하는가 때문은 아니다.
Kemp views his descent differently than you might. Kemp sees the growth — with family, with financial security, with, most important, himself. You see a guy who can't stay out of trouble, and all the images his name conjures.
켐프는 자신의 몰락을 사람들과는 다르게 보고 있다. 켐프는 가족과 금전적인 안정,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자신에 대해서 성장한듯 보였다. 항상 문제를 일으켰고, 숀 켐프라는 그의 이름이 불러일으키는 모든 이미지를 찾아볼수 없었다.
Maybe you read the 1998 Sports Illustrated cover story that said Kemp fathered at least seven children by six different women. Probably knew, too, that he gained a small child's worth of weight, went to rehab, sued Reebok and was arrested in Shoreline this past April when small amounts of marijuana and cocaine were found in his car.
숀 켐프가 6명의 다른 여성으로부터 최소 7명의 아이들을 낳아 기르고 있다는 1998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의 표지 기사를 읽은 적이 있을 것이다. 아마도 재활기관에 들어갔다는 것도, 리복으로부터 고소를 당했던 일도 알고 있을 것이다. 지난 4월 그의 차에서 발견된 마리화나와 코카인때문에 체포된 사실도 알것이다.
You might recall he clashed with George Karl in his final season with the Sonics, showing up late to practices, missing team flights and fretting over contract issues. You know how he's remembered — as a player who could have been one of the best ever. But isn't.
아마도 소닉스에서의 마지막 시즌 연습에 늦고 원정경기의 비행기를 놓치고, 계약 문제로 골머리를 썩게 하면서 조지 칼 감독과 충돌했던 것을 회상할수도 있다. 그는 최고의 선수로써 기억되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The perception is what they read about,'' Kemp says. "And what you read about isn't going to be very positive. I'm not trying to come back and change the perception of what people think about me. They can think what they want to, man.
"그들이 읽은 것을 받아들인 것이다.그들이 읽은 것들은 긍정적이지 못한 것들이다. 나는 사람들이 나에대해서 생각하고 있는 것들을 바꾸기 위해 돌아오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생각할수 있다."
"People obviously don't really know me.''
"사람들은 분명 나에대해서 실제로 잘 알지 못한다."
Not that he wants you to. Kemp hates attention, hates the camera, hates this daylong interview in and around his Houston home. Kemp says he's not comfortable in the spotlight, that he's not Charles Barkley. He says this more than once. Because of that, Kemp believes there's a disconnect between the person that he is and the person that you know.
켐프가 원하는 것은 아니다. 켐프는 관심을 싫어 했고, 카메라를 싫어 했고 그의 휴스턴 집 주위에서 일어나는 이런 긴 인터뷰를 싫어했다. 켐프는 스포트라이트를 불편해했다. 그는 찰스 바클리가 아니었다. 그는 이런 말을 한번이상 했다. 그것 때문에 켐프는 자신과 다른 사람이 알고 있는 자신 사이의 단절이 있다고 믿고 있다.
Kemp says he doesn't have to prove himself to you. Certainly not through the media. But then he switches gears again, talking about how this comeback could boost him into the Hall of Fame and rewrite the ending to his basketball career. He doesn't have to prove anything to anybody, he says, but his words suggest he's trying anyway, trying to change the definition of Shawn Kemp.
켐프는 자신을 증명해야한다고 생각지 않는다.확실히 미디어를 통해서는 아니다. 그러나 그는 다시 태도를 바꿨고 이번 컴백이 자신의 명예의 전당헌액과 그의 농구 커리어의 마지막을 다시 쓰게 되는 것에 대해 어떤 영향을 줄지 이야기했다.
That's what this comeback is about. Proving to the NBA he's changed. Proving to himself that he belongs among the elite. Proving that the world's perception of Shawn Kemp is different than reality.
이번 컴백은 이것에 대한 것이다. 그가 바뀌었다는 것을 nba에 증명하고, 자신은 엘리트 선수중에 한명이라는 것을 스스로에게 증명하고, 숀 켐프의 인식이 실제와는 다르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It's tough as hell to be good,'' he says. "By me stepping out of my contract a couple years ago, if that don't prove heart, I don't know what else does. I didn't have to do anything. But I don't want to disrespect the game of basketball.''
"잘되기는 힘들것이다. 2년전 계약이 끝났을때, 만약 그것이 진심이었는지를 증명하지 못했다면 나는 다른 무엇을 해야할지 몰랐을 것이다. 나는 다른 아무것도 할수 없었다. 그러나 나는 농구에 대해 불명예를 원하지 않는다."
He has the money, the family, the house. So why doesn't Kemp just go away?
그는 돈도 있고 가족도 있으며 집도 있다. 왜 켐프는 그냥 가려고 하지 않는 것일까?
A family man
Why come back? Because Kemp's life is finally in order. He left the game of basketball, left the hill entirely and found something more important — himself.
왜 컴백을 하는가? 켐프의 삶이 마침내 정상으로 돌아왔기 때문이다. 그는 농구를 완전히 떠났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자신을 찾아내었다.
He's married now, to Marvena Kemp, a woman he calls the family's backbone. Kemp first spotted her on a basketball court and introduced himself at a 7-Eleven near the Seattle Center later that day. They were friends for years before they dated and nearly a decade before they married.
그는 Marvena Kemp와 결혼을 했고 그녀를 가족의 기둥이라고 이야기한다. 켐프는 처음에 농구코트에서 그녀를 발견했고 그날 저녁 시애틀 센터 근처의 편의점에서 자신을 소개했다고 한다. 그들은 결혼하기전 10년 동안 친구로 지냈다.
As always, Kemp's reputation precedes him.
항상 켐프의 명성은 그를 앞서갔다.
"It took me awhile [to get her to say yes],'' Kemp says. "She was ready for me to change my lifestyle around.''
"그녀에게 결혼허락을 받는데 약간의 시간이 걸렸다. 그녀는 나의 삶의 스타일을 바꿔줄 준비가 되어있었다."
Their three sons — Jamir,10, Jamar, 8, and Jaman, 4 — live year-round with Marvena and Shawn in their two homes, one in Houston and one in Washington, in Maple Valley. Kemp won't discuss his other children or even how many he has, other than to say he has never missed a child-support payment, and he won't let his wife be interviewed.
그들의 3명의 아들 - Jamir(10살) Jamar(8살) Jaman(4살)들은 마베나와 켐프와 함께 휴스턴과 워싱턴에 있는 그들의 두 집에서 살고 있다. 켐프는 자신의 다른 아이들에 대해 혹은 몇명의 자녀가 더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야기 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아이들의 양육비는 빠뜨리지 않는다고 했다. 그리고 부인의 인터뷰도 원하지 않았다.
It's a strange sight, seeing Shawn Kemp playing the role of father. He's telling Jamir to call his mother and scolding Jamar for throwing a quarter down the street, taking them to movies and making sure they go to bed on time.
숀 켐프가 아버지의 역할을 하는 것은 낯선 광경이었다. 그는 자미어에게 어머니를 불러오라고 말했으며 자마가 길에 동전을 던지는 것을 꾸짖었으며 같이 영화를 보러가고 아들들이 제시간에 잠자리에 드는 지도 확인한다.
While working out in the garage, Kemp says he used to go to bars, to clubs, to parties. He knows the concept of him as a family man sounds out of place, but he insists his family is his club now.
주차장에서 연습을 하면서, 켐프는 과거에는 바나 클럽 파티에 가곤 한다고 이야기했다. 그에게 가족적이라는 개념은 아직은 생소하다는 것을 켐프 자신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자신의 가족이 그의 클럽이라고 주장한다.
"It's made a big difference,'' Kemp says. "My lifestyle is probably not quite what people would expect it to be. Even then, it wasn't.''
"큰 차이가 있다. 나의 삶의 방식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과는 아주 다르다. 과거에도 그렇지 않았다."
Together, he and Marvena are staples at basketball camps and youth clinics in the Seattle area. That's another side of Kemp most people don't know. Children in Seattle used to call him "Santa Kemp.''
켐프과 부인 마베나는 시애틀 지역에서 열리는 농구 캠프와 유소년 클리닉의 멤버들이다. 그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켐프의 다른 모습이었다. 시애틀의 어린이들은 켐프를 산타켐프라고 부르곤한다.
Marvena runs the Marvin Thomas Memorial Foundation in honor of her late father, and Kemp and his inner circle run his own foundation.
마베나는 그녀의 선친에게 경의를 표하는 Marvin Thomas Memorial Foundation을 운영하고 있으며 켐프와 동료들은 자신의 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People don't have a concept of how much Shawn does in the community,'' says Willie Austin, who has run the Austin Foundation for the last 12 years, teaching youth about life and sports. "Shawn is the kind of person that, if you call him up and say, 'Shawn, we need you here,' Shawn will show up.''
"사람들은 숀이 사회봉사에 얼마나 많이 참여하는지 알고 있지 못하다." 12년간 오스틴 재단을 운영하면서 어린이들에게 삶과 운동에 대해 가르치고 있는 윌리 오스틴은 이야기한다."만약 당신이 그에게 전화를 걸어 숀 여기 당신이 필요하다라고 이야기하면 그는 금방 달려올것이다. 숀은 그런 종류의 사람이다."
Kemp remembers growing up in rough neighborhoods in Elkhart, Ind., when players came to clinics, pulling up in a Mercedes Benz for 20 minutes while the local television cameras rolled, then leaving. Kemp hated that. They weren't real. He wants to be.
켐프는 Elkhart에서 불우한 환경에서 자랐다. 그곳의 선수들은 클리닉에 참가할때, 지역 텔레비전 카메라가 돌아가는 20분 동안은 메르세데스 벤츠에 있다가 이후에 그냥 가버렸다. 켐프는 그것을 매우 싫어했다. 그들은 켐프가 되길 바라던 그런 선수들이 아니었다.
"I'm not going to sit here and tell anybody I haven't had difficulties in my life, haven't made any bad decisions,'' Kemp says. "But to sit back and consider myself a bad person or not doing something positive, it's so untrue. I'm all for doing positive. I've worked in the community. My wife, she's spending her life basically giving back to the community. That's something that we take pretty seriously, man.
"나는 여기 앉아서 나의 삶에 어려움은 없었다라든지, 잘못된 결정을 내린적이 없다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를 돌아보고 나자신이 나쁜 사람인지 혹은 긍정적인 일들을 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은 진실이 아니다. 나는 모든것을 긍정적으로 한다. 나는 사회봉사를 해왔다.나의 부인도 그녀의 삶을 사회를 위해 헌신하고 있다. 우리가 심각하게 생각한는 것들은 바로 이런 것들이다."
"I've done did enough bad things. If they can pick up one thing from me, I'll be all right with that.''
"나는 충분히 나쁜 일들을 많이 했다. 만약 그들이 나의 나쁜 일중에 한가지를 뽑는다고 해도, 나는 괜찮다."
Combine all of it. Building a family. Securing his financial future. Stepping away from basketball. Working in the communit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a family. That's why Kemp believes he's different now. Will that change anybody's mind?
모든것이 결합 되었다. 가족을 구성하는 것, 그의 금전적인 미래에 대한 안전, 농구로부터의 벗어남 , 사회에서의 활동, 가족의 중요함에 대한 이해, 그것이 켐프가 자신이 달라졌다고 믿는 이유이다. 사람들의 마음이 조금은 바뀌었을까?
"It's like I've always told him,'' Dutt says. "Until he gets it, it doesn't matter how many other people get it.''
"나는 그와 이야기하는 것이 항상 좋다. 그가 성공을 할때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성공을 하느냐는 문제가되지 않는다." 더트의 말이다.
A setback in Shoreline
Why come back? Because the early-morning hours of April 4 only add to skepticism.
왜 컴백을 하려고 하는가? 4월 4일의 이른아침의 사건이 회의론에 더해졌기 때문이다.
Two days before Kemp was arrested in Shoreline, he's standing in front of a group of Garfield students, telling them to stay out of trouble. At the time, he's also helping coach his son's club team in SeaTac.
Shoreline에서 켐프가 체포되기 이틀전, 그는 가필드의 학생들앞에 서서 문제를 피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었다. 또 자신의 아들의 클럽팀 코치를 도와주고 있었다.
King County case number 05-093767 details the rest. Kemp was sitting with his longtime friend, Gavin Jones, in Kemp's Chevrolet Zodiac — a "big, super-semi-looking truck,'' he says.
킹카운티의 사건 번호 05-093767.자세한 것은 다음과 같다. 켐프는 그의 오랜 친구 가빈 존스와 숀 켐프의 트럭에 같이 앉아 있었다.
Scott Dery, a King County sheriff's deputy, noticed the truck behind a Brown Bear Car Wash on Aurora. Kemp says they were coming from a nearby lake and stopped to clean out the car. He says there were cars on either side of his. He's speaking with regret, but also says police picked his car out of a crowded parking lot, a notion that differs with the police report.
킹 카운티의 보안관 대리 스콧 데리는 Aurora에 있는 브라운 베어 세차장 뒤에 트럭을 발견했다. 호수가에서 돌아오는 길에 세차를 하기위해 들렸다고 켐프는 말했다. 스콧은 켐프의 차 양쪽에 다른 차들도 있었다고 말한다. 스콧은 유감스럽게 이야기를 했고 경찰들은 켐프의 차를 주차장에서 끌고 나왔다.이것은 경찰 보고서와는 다른 의견이다.
Kemp says he knew there was marijuana in the car, but not cocaine. Had he known the contents of a bag in his front seat — more than 60 grams of marijuana, 1.2 grams of cocaine, a stun gun, a 9-millimeter handgun, pepper spray and Piña Colada tobacco wraps, among other items — Kemp says he wouldn't have allowed a search. He also says he wasn't smoking any pot, although the police report differs, saying, "Kemp indicated that they had smoked some earlier.''
켐프는 차에 마리화나가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코카인이있었다는 것은 알지못했다고 말한다. 만약 켐프가 자신의 앞좌석의 가방의 내용물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60그람의 마리화나와 1.2그램의 코카인 스턴건, 9밀리미터 핸드건, 최루탄 스프레이, 피나 콜라다 담배 뭉치등이 들어있었다.-켐프는 자신의 차를 수색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그들이 좀 전에 마리화나를 피웠다고 켐프가 말했다"라고 적힌 경찰 보고서와는 달리 켐프는 아무것도 피우지 않았다고 한다.
Jones took responsibility for the drugs, but prosecutors charged both with attempted possession of more than 40 grams of marijuana and attempted possession of cocaine. Both pled guilty to gross misdemeanors, Kemp for attempted possession of marijuana only. He served five days of house arrest and returned to Houston. His most poignant memory during that time? The kids he spoke to two days before the arrest.
존스가 약물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그러나 검사는 40그람이상의 마리화나와 코카인을 소지했다는 이유로 두명 모두 고소했다. 켐프와 존스는 범죄에대한 유죄에 대해 항변을 했고 켐프만이 마리화나 소지로 처벌을 받았다. 켐프는 5일동안 구금된후 휴스턴으로돌아갔다. 구금되어있는 동안 가장 아픈 기억은 무엇이었을까? 체포되기 이틀전에 문제를 피하는 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었던 아이들에 대한 기억이었다.
"I felt like I cheated the kids,'' he says. "That was a tough deal for me. That situation there probably made me get more focused on my life than I have been in 10 years or so. As bad as I hated it, I'll probably be thankful for it 10 years from now.''
"내가 아이들을 속였다는 느낌이 들었다. 아주 힘든 시간이었다. 그 사건으로 인해 내가 10년간 해왔던 일보다 나의 생활에 더 초점을 맞춰지게 되었다. 내가 그것을 싫어하는 만큼 앞으로 10년간 이일에 대해 감사하게 될것이다."
The morning after he trudged home from jail, he gathered his children in an upstairs bedroom.
He told them he grew up around trouble. He told them he has learned from this situation, learned to trust himself and not necessarily trust his friends. He told them he has never been in trouble in 35 years. He told them it will be another 35 before it happens again.
구치소에서 석방된 아침, 켐프는 2층 침실에 아이들을 불러모았다. 그는 자신이 어려움속에서 자랐음을 이야기해주었다. 그는 이번 일로 인해 배운점들을 이야기했다. 자신에 대한 믿음을 배웠고 친구들이 꼭 믿을만한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배웠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앞으로 35년간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며 다른 문제를 일으키기까지는 또 35년이 걸릴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Kemp's inner circle — Dutt, the agent; Scott Boatman, the lawyer; Brian Zaplac and Mike Wertheim, his business partners; and a handful of friends and family — say loyalty is his greatest strength and his greatest weakness. None of that inner circle left when Kemp fell out of the NBA. Dutt says their relationship is more father-son than agent-client.
켐프의 친구들 - 에이전트 더트, 변호사 스콧 보트만, 브라이언 잡락, 사업파트너 마이크 워테임과 가족들은 충실함이 켐프의 가장 큰 강점이자 약점이라고 이야기한다. 켐프가 nba에서 낙오되었을때 그의 친구들은 아무도 그를 떠나지 않았다. 더트는 자신과 켐프의 관계는 에이전트와 고객의 사이가 아니라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라고 이야기한다.
"You can't be everything to everybody, and I'm not sure Shawn ever learned that,'' says Bernie Bickerstaff, the man who drafted Kemp. "That might be to his detriment. There was no pretense about Shawn. None whatsoever. When he was loyal, he was the most loyal guy ever. He has reason to be [mistrustful]. He had to learn not to trust people.''
"모든이에게 모든것이 될수는 없다. 숀이 그것을 배웠는지에 대해서는 확신할수 없다.그것은 그의 손실이 될것이다. 숀에 대해서는 어떤 가식도 없다. 그런 사람은 아무도 없다. 켐프가 뭔가에 충실할때 그는 최고로 충실한 사람이다. 그는 의심많은 사람이 될 이유가 있다.그는 사람을 믿지 않는 법을 배워야만한다."
Kemp agrees with his inner circle in that respect. He says he's not a big drinker, never has been. He won't talk about his drug use when asked about rehab, and claims there was never a major problem there, either. His problems, Kemp says, came from managing [or mismanaging] his life.
켐프는 자신의 친구들에대한 존경을 표한다. 그는 지금 술을 많이 먹지 않고 전에도 그래왔다고 이야기한다. 재활기관에 대해 질문을 했을때 켐프는 약물 복용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않았다. 그리고 그런 것들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켐프가 말하는 그의 문제는 자신의 삶을 잘 경영하지 못한것이다.
"This man has paid a dear price for the mistakes he's made,'' Dutt says. "There were huge, huge consequences. Millions of dollars in consequences. To live your life under a microscope like that — sometimes he used the wrong methods to get away.''
"그는 자신이 실수했던 일에 대해 대가를 치루고 있다. 아주 큰 결과들이 있었다.수백만 달러가 들어가는 결과들이었다. 현미경을 이용하여 삶을 뒤진다면, 종종 그는 버려야하는 나쁜 방법들을 사용하곤 했을 것이다."
Looking back, Kemp calls his arrest the "calling card'' for the comeback. He was already working out, considering his options, but the arrest "put everything in overdrive.''
돌아보면 켐프는 그의 체포를 컴백을 위한 "콜링카드"라고 부른다. 그는 벌써 운동을 하기 시작했고 그의 컴백에 대해 고려하고 있었다.그러나 체포가 모든 것에 가속도를 붙이게 했다.
"I took it like this, man,'' Kemp says. "I was glad that happened because it really made me focus more.''
"나는 체포되었던 일을 이렇게 받아드렸습니다. 그것은 실제로 나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유발했기 때문에 기쁘게 생각합니다."
Problem is, the timing couldn't have been worse. Here's Dutt, talking to NBA general managers and coaches, telling them Kemp has changed his life. And there's Kemp, hands cuffed, giving NBA teams and skeptics another there-goes-Shawn-Kemp story for their water coolers.
타이밍이 더 나빠질수는 없지만 문제는 있다. 에이전트 더트는 nba GM과 감독들에게 켐프가 자신의 생활을 바꿨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숀켐프는 NBA팀들과 회의론자들에게 또다른 진행중인 숀 켐프의 이야기를 제공할 것이다.
Two months later, there's a copy of Justice Magazine on Kemp's living-room table. Jamar points at the banner headline — "Stars behind bars" — and wonders if his father made it in the issue.
두달 후, 켐프의 거실 탁자위에 저스티스 메거진의 카피가 있다. 자마는 "Stars behind bars(술에 취한 스타들)" 라는 머리기사를 가리켰다. 그리고 그의 아버지가 그 기사에 나오는지 궁금해했다.
Kemp clenches his teeth at the suggestion and patiently reiterates to his son that it won't happen again. But the arrest also serves a higher purpose on Kemp's path to a life lived better than before. It's not just about Kemp anymore. It's about doing right by his family, by his inner circle and by his legacy. Like the way things were at the top of the hill.
켐프는 그 말에 이를 악물었다. 인내심있게 그의 아들에게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되풀이하여 이야기했다. 그것은 이제 더이상 숀켐프에 대한 기사가 아니었다. 그것은 그의 가족과 그의 친구들과 그가 남겨놓은 것들에서 막 시작되고 있다. 언덕의 정상에 있는 길처럼.
"The last couple of years Shawn has wanted to focus just on himself and his family,'' says Boatman, his attorney. "Making sure he was in the right place. That's what's so upsetting about his situation in Seattle — it's a setback for him on that path.''
"지난 몇년간 숀은 그와 그 자신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기를 원했다. 그가 제자리를 찾았다고 확신한다.그동안 시애틀에서 그의 상황에 대해서 뒤죽박죽 되어있었다.그것이 켐프의 인생행로에 방해물이었다." 그의 변호사 보트만이 말한다.
Still loving Seattle
Why come back? Because of what it felt like in 1996.
왜 컴백하려고 하는가? 1996년에 느꼈던 것들 때문이다.
Never mind that Sonics fans booed 19-year-old Kemp "something terrible'' on draft day in 1989.
"That scared me a little bit, man,'' Kemp says. "I was pretty confident that I was going to be able to turn some of them into cheers. I didn't know how fast.''
켐프는 1989년 드래프트 당일 최악의 선택이라고 하면서 19살이었던 자신에게 야유를 보냈던 소닉스 팬들은 신경쓰지 않는다. "그 반응에 조금 겁나기도 했다. 얼마나 빨리일지는 알지 못했지만 내게 야유를 보냈던 팬들이 나를 응원하게 만들 자신감이 있었다."
Seattle was the setting for the beginning of the legacy Kemp wants now. The decline happened so quickly, it's easy to forget that Kemp once held this city in the palm of his oversized hand.
시애틀은 켐프가 지금 원하는 유산의 시작을 준비하고 있었다. 몰락은 너무 빨리 일어났다. 켐프가 한때 그의 커다란 손바닥으로 이 도시를 지탱했었다는 사실은 쉽게 잊혀졌다.
Bickerstaff, then the Sonics' coach, could see the talent, the way Kemp jumped three or four times before other players could jump once, the explosive dunks, even maturity the Sonics didn't expect at first. They bring in Brad Sellers to mentor Kemp. By the end of the first month, Bickerstaff wonders why Kemp isn't doing the mentoring.
당시 소닉스의 감독이었던 비커스테프는 켐프의 재능을 보았다. 켐프는 다른 선수가 한번 점프하는 동안 3번에서 4번씩 점프를 했고 폭발적인 덩크슛을 보여줬으며 소닉스가 처음부터 기대하지 않았던 성숙함까지 갖추고 있었다. 그들은 브레드 셀러를 데려와 켐프의 멘토로 삼았다. 첫 달의 마지막 즈음에 비커스테프는 왜 켐프에게 조언자가 있어야하는지 의문을 가지기 시작했다.
Kemp takes to running up a hill past Broadway on the side of I-5. His reputation goes national against Golden State in the 1992 playoffs, and he establishes himself as a possible Hall of Famer in the 1996 NBA Finals against the Chicago Bulls.
켐프의 명성은 1992년 골든스테이트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전국적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1996년 시카고 불스와의 nba 파이널에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만한 가능성을 보여줬다.
The Finals featured Michael Jordan, Scottie Pippen, Dennis Rodman, Gary Payton and Detlef Schrempf. And Kemp, who just might have outplayed them all.
1996년 파이널에서는 마이클 조던, 스카티 피펜, 데니스 로드맨, 게리 페이튼, 데틀레프 슈렘프가 있었다. 켐프는 이런 선수들에게 뒤지지 않는 활약을 보여줬다.
"He was the best player on the court,'' Karl says. "No one can say he wasn't.''
"그는 코트위에서 최고의 선수였고 아무도 그것을 부정할수 없었다."
"I sit back today, and I look at TV,'' Kemp says, "and I see how they talk about Karl Malone, I see how they talk about Charles Barkley. And I know the look in those guys' eyes when they used to walk out on the court to guard me. To see the fear in those guys' eyes because they knew what they had to deal with.''
"가끔 뒤를 돌아보고, 티비를 본다. 나는 사람들이 칼 말론에 대해서 찰스 바클리에 대해서 어떻게 이야기하는지 알고 있다. 그리고 그들이 코트에서 나를 수비하기 위해 나올때 말론과 바클리의 눈을 기억하고 있다. 나를 상대해야하기 때문에 그들이 느끼는 두려움을 두 선수의 눈에서 볼수 있었다."
Kemp sounds wistful looking back at this period of his NBA career. He also expresses, for the first time, regret over leaving the Sonics and the circumstances that surrounded his departure.
켐프는 그의 NBA 커리어를 그리워하는 듯 보였다. 또 최초로 소닉스를 떠난것과 그가 소닉스와 결별했을때 자신을 처해있던 환경에 대해 유감을 표현했다.
During a midseason game in 1997, Kemp watched Jim McIlvaine block seven shots off the bench against the Washington Bullets. He says he turned to the coaching staff and implored them to sign the big man to a long-term deal.
1997년 시즌 중반 게임에서, 켐프는 워싱턴 블릿츠와의 경기에서 짐 맥킬베인이 벤치에서 출전하여 7개의 블록샷을 기록하는 것을 보았다. 그는 코칭스텝에게 가서 맥킬베인과 장기계약을 맺을 것을 요구했다.
"Now,'' Kemp says, "that don't mean go give the big man all the damn money we got. It's not his fault they opened up the vault and gave him all the money. I would have done the same thing. We're still friends, and I tell him that all the time.''
"지금 생각해보면 우리가 가지고 있던 돈을 그런 빅맨에게 준것은 잘못된 것이었다. 그의 잘못이 아니다. 그들은 도약을 시작하고 있었고 그에게 돈을 주었다. 나라도 같은 일을 했을 것이다. 우리는 여전히 친구고 항상 그에게 이것을 이야기한다."
By then, Kemp's relationship with Karl and the Sonics is already starting to unravel. His dunks are replaced with chronic truancy. Peter Vecsey drops a column in the New York Post alleging Kemp's drinking problem, quoting inside sources. Kemp's people have his teammates sign an affidavit saying none of them said anything.
이당시 조지 칼 감독, 소닉스와 켐프의 관계가 명백해지기 시작했다. 그의 덩크는 만성적은 훈련 불참으로 대체되고 있었다. Peter Vecsey 내부 소식통을 인용하면서 켐프의 음주문에에 대한 칼럼을 뉴욕 포스트에 썼다. 켐프의 주변 사람들은 그의 팀동료들이 아무것도 이야기하지 않았다는 선서문에 사인을 하도록 했다.
The Sonics ink Payton for $87.5 million and McIlvaine for $33.6 million in the summer of 1997. Dutt says the Sonics told him to accept the fact that Kemp's timing is poor, that he's never going to make the money he expects to.
소닉스는 1997년 페이튼과 87.5mil, 맥킬베인과 33.6mil의 계약을 했다. 소닉스는 켐프의 에이전트인 더트에게 타이밍이 아주 좋지 않은 사실을 받아들이도록 했고 숀 켐프는 자신이 바라는 만큼의 계약을 체결할수 없게 되었다.
"Everybody can't be trouble-free,'' Payton says recently. "He had a career. Nobody can take that away for him. You might say it could have went this way or that way, but it didn't.''
"모든 사람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그는 커리어가 있었다. 아무도 켐프에게서 그의 커리어를 가져갈수 없다. 당신은 문제에 대해 이런 방법, 저런 방법을 이야기를 할수 있겠지만, 그렇게 되지는 않았다." 최근의 게리 페이튼의 말이다.
That summer, Kemp goes on ESPN and says he will never again put on a Sonics uniform. He was at the top of the hill, standing tall, thrusting his chest, king of his own universe and maybe everybody else's.
그해 여름 켐프는 ESPN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은 다시 소닉스의 유니폼을 입고 싶지 않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정상에 있는 선수였고, 주목받는 선수였으며, 득의양양한 선수였고, 다른 모든이가 그렇듯 자신만의 세계의 왕이었다.
He's doing the same thing now in his Houston home, puffing his chest and boasting about his back-to-back destruction of Barkley and Rodman in the 1996 playoffs. Kemp says he doesn't regret leaving Seattle. Then later, he says that he and the Sonics both regret it. His eyes burn straight ahead. What's worse, in Kemp's mind, is that the Sonics didn't win a championship in the early 1990s when they were built to.
그는 여전히 같은 일을 지금 휴스턴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하고 있다. 여전히 자신만만하고 1996년 플레이오프에서 바클리와 로드맨을 상대로 연달아 경기를 했던것을 자랑스러워한다. 켐프는 시애틀을 떠난 것에 대해 유감은 없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잠시후에 그와 소닉스 모두 그것에 유감을 표한다고 이야기했다. 켐프의 눈이 불타올랐다. 켐프의 마음속에서 더 좋지않은 것은 소닉스가 1990년 초에 챔피언이 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We failed," Kemp says. "As players, we really failed."In the next breath, his disappointment fades. The smile returns. This is the way he wants you to remember him.
"우리는 실패했다. 선수로써 우리는 실제로 실패했다." 잠시 호흡을 가다듬고서 그의 실망감은 사라져갔고 다시 미소가 돌아왔다. 이것이 켐프가 바라는 사람들이 기억하는 자신의 모습이다.
"You know what?'' Kemp says. "I got nothing but love for Seattle, man. Nothing but love.''
"이것을 아는가 나는 시애틀에 대해서는 오직 애정만을 가지고 있다. 오직 애정뿐이다."
Just one more chance
Shawn Kemp is standing at the bottom of the hill again, lean and looking for a chance.
켐프는 다시 언덕 아래에 서 있다. 기대어 기회를 찾고 있다.
The first ending to his basketball career embarrasses him. He admits playing his last four years without his trademark vertical leap. He says he weighs 280 pounds now, says he hasn't jumped this high in five years and hasn't been this fit since his Sonics days. He notes that he has never been seriously injured, that he's only 35 years old and rested from two years off.
그의 커리어의 첫 마지막은 그를 곤혹스럽게 한다. 그는 마지막 4시즌 동안은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인 수직점프없이 경기를 했다고 인정했다. 그는 현재 280파운드라고 했다. 지난 5년간 이렇게 점프 할 수 없었으며 소닉스 시절이후 이렇게 몸이 만들어진적이 없었다고 했다. 그는 심각하게 부상당한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는 단지 35살일 뿐이고 2년간 농구를 쉬었을 뿐이다.
He's doing 500 crunches a day, jumping enough rope to make a boxer proud and working with a trainer, Roberto Carmenati, on his basketball skills. After a few workouts earlier this month, Carmenati says Kemp is at 85 to 90 percent of the player he was in 1996.As Kemp tries to sell his comeback, he knows the questions will still be there, swirling around it like a cloud. The difference, Kemp says, is he's at peace with the long odds, with the curious glances and jokes about his past. He jokes that he might come back with a different jersey number and a mask on his face. The better to fool people into forgetting about his mishaps.
그는 하루에 500개의 크런치를 하고 권투선수처럼 줄넘기를 충분히 하고 트레이너인 로베르토 카르메나티와 농구 기술들을 연습하고 있다. 이번 달 초 몇번의 워크아웃 이후 카메나티는 켐프가 1996년 당시의 85%~90%의 몸상태에 도달했다고 이야기했다. 켐프는 자신의 컴백할 팀을 찾고 있다. 구름처럼 여전히 소용돌이 치는 의문점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켐프가 말하는 차이점은 그자신이 그런 오랜 의문점이나 호기심에 찬 시선들 그의 과거에 대한 농담등에도 평온함을 느끼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컴백할때 다른 등번호를 달고 얼굴에는 마스크를 쓸것이라고 농담을 한다. 그의 사람들이 그의 잘못된 행동을 잊게하기 위해서는 더 좋을 것 같다.
Kemp even rescinds his earlier comments about playing for the Sonics.
켐프는 소닉스에서 플레이하는 것에 대해서는 성급한 언급은 피했다.
"Never say never,'' he says. "I'm not ever going to say never anymore.''
"절대 안된다고 하지는 않는다. 나는 더이상 절대 그렇지 않다라고 말하지 않는다."
Kemp is smiling now. The smile suggests happiness. The definition in his arms suggests he's on his way back. The cars and the kids and the waterfall suggest that he's content.
켐프는 지금 미소를 짓고 있다. 미소는 행복함이다. 그의 정돈된 팔은 그가 자신의 길위에 있음을 보여준다. 자동차들, 아이들, 폭포는 그가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With life, maybe. But not with his legacy.
그가 남겼던 것들이 아니라, 그의 삶 때문에 행복함을 보여주고 있다.
Kemp continues to swear this comeback has nothing to do with money. For proof, he offers to let teams pay him after the season's over, based entirely on performance. Or play in Europe, if necessary.
켐프는 이번 컴백이 돈때문이 아님을 거듭 맹세한다. 증거로 켐프는 nba 팀들에게 자신의 활약을 보고 나서 시즌이 끝난후 돈을 지불해도 좋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필요하다면 유럽에서 플레이하는 것도 받아들일 것이다.
This comeback is about Kemp, about his family and his inner circle, about the way he wants to be remembered. Asked if he deserves to be in the Hall of Fame, Kemp points to his play against Malone and Barkley.
이번 컴백은 켐프에 관한 것이고 그의 가족에 관한 것이며 그의 친구들에 관한 것이고 그가 기억되기를 원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만약 그가 명예의 전당에 오를 가치가 있는 가를 묻는다면 켐프는 칼 말론과 바클리를 상대로 보여줬던 플레이를 지적할것이다.
He says he's not asking to be recognized that way, then says "videotape don't lie. But obviously, I've had some off-the-court issues.''
그는 그런 일들이 인식되어지기를 요청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말한다. "비디오 테입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내가 경기장 밖에서 몇몇 문제가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He says the NBA "doesn't owe me jack.'' And then says, "I do deserve a chance."
그는 nba가 자신에게 금전적으로 빚을 지고 있지는 않다고 말한다. 그리고 자신은 기회를 가질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
"I know what it took back in 1989 to go from the situation I was in, no college experience, and to play the way I did and work for what I got,'' Kemp says. "Without a championship, I'd be like anybody else who didn't make it. There would be a little question mark left after. Woulda, coulda, shoulda.''
"1989년으로 돌아가는 것은 대학 경험이 없던 상태로 가는 것이고 내가 했던 방법대로 플레이를 하고, 내가 가진것을 위해 일해야한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다. 챔피언십 없다면 나는 그것을 이루지 못한 다른사람들과 똑같아 진다. 그후에 물음표가 남겨지는 것이다."
The question is which team, if any, will take a chance on Kemp. Mike Fratello, his first coach in Cleveland, says he won't "place it outside the realm of possibility.'' Dutt says five or six teams have already shown interest. Seattle isn't one of them. Their first question?
문제는 어떤 팀이 켐프에게 기회를 줄것이가 하는 것이다. 클리블랜드에서 켐프의 첫번째 감독이었던 마이크 프라텔로는 가능성의 영역밖에 있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더트는 5개에서 6개의 팀이 이미 관심을 표명했다고 말한다. 시애틀은 그중 한팀이 아니라고 했다. 그들의 첫번째 의문은?
"How much does he weigh?"
"켐프가 몸무게가 몇 파운드인가?"이다.
Ultimately, the decision is out of Kemp's hands. He says he's going to diet on oatmeal three times a day for the next three months, continue working out, and then "something positive is going to happen. Somebody is going to come knocking. Somebody is going to hit the jackpot.''
결국, 결정은 켐프의 손에서 떠나있다. 켐프는 앞으로 3달간 꾸준히 운동을 하고 하루에 3번 오트밀로 다이어트를 병행할 것이다. 그리고 나면 긍정적인 일이 일어날 것이고, 누군가가 노크를 할 것이고, 누군가가 잭팟을 터뜨릴 것이다.
"I just don't know,'' says Bickerstaff, now general manager and coach of the Charlotte Bobcats. "What he needs to do right now is straighten out his life. At some point, you have to get on with your life. Basketball has been great for him. It's been a great means to an end. Sometimes, you have to make that decision — where do I go from here?''
"그가 지금 하기를 원하는 것이 그의 삶을 똑바로 만들어줄지 알수 없다. 어떤 점에서는 당신은 자신의 삶을 계속 이어가야한다. 농구는 그에게 아주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것은 목표를 위한 위대한 수단이었다. 종종 여기에서 내가 어디로 가야할것이가? 라는 결정을 내려야만 할때가 있다."현재 샬럿 밥켓츠의 감독이자 GM 버니 비커스텝의 말이다.
Thing is, Kemp believes his life is already straightened out. His family, his finances and his perspective are in order. His legacy is not.
켐프는 자신의 삶은 이미 바로 섰다고 믿고 있다. 그의 가족과 재정상태 그리고 그의 전망은 이제 제자리를 찾았다. 그가 남겨놓았던 것들은 이제 없다.
He's at the bottom of the hill again, back where he started. Staring at the top.
그는 다시 시작해야하는 언덕의 밑바닥에 서서 정상을 응시하고 있다.
"Is his story a sad story?'' Dutt asks, before answering with an emphatic no. "It's far from sad. He's happy and content and can live his life this way forever. A lot of people would probably say that it was sad. And yes, there are sad parts. But I'd tell him all along, I don't think he's written the ending of his book, of his life in basketball.''
"켐프의 이야기가 슬픈 이야기인가?" 더트는 단호하게 "아니다" 라고 대답하기 전에 물었다. "슬픔이 아니다. 그는 행복하고 만족하고 있으며 이런 방식으로 영원히 자신의 삶을 살수 있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켐프의 이야기가 슬프다고 말한다. 맞는 이야기다 슬픈 부분도 있다. 그러나 내가 모든 것을 이야기해준다면, 그들이 켐프의 농구커리어와 그의 삶이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Kemp is leaving the house, the toys and the lifestyle behind.
켐프는 집과 장난감들과 삶의 방식을 남겨 두고 떠났다.
The hill awaits.
언덕이 그를 기다리고 있다.
첫댓글 방문))잘 읽었습니다. 물론 스크롤의 압박이 있긴 하지만.. 훨씬 편하군요.. 감사합니다..
그나저나 캠프가 다시 돌아와서 멋진 모습을 봤으면 하는데..;;
슬픈이야기가 아니지만 눈물이 날라고 하네요
난입)아쉽습니다.. 살 마니 뺐군여.. 그래도 아직 몸은 완전치 못한듯...
내가 봤던 기사에서는 켐프가 6-7명의 아이를 입양해서 키운다고 했었는데.........
난입) 중간 조금 아랫부분에. He was the best player on the court,'' Karl says. "No one can say he wasn't.'' "그는 코트위에서 최고의 선수였고 아무도 그렇지 않다고 할 수 없다." 이 맞는 것 같네요 ^^ 사족일 수도 있겠지만 뜻의 차이가 커서..
그렇군요.^^ 지적 감사합니다. 바로 수정해야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