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의 유래
단어 : 철부지
의미
1.철없는 어린아이.
2.철없어 보이는 어리석은 사람.
비슷한 말은 철모르쟁이가 있다
"어리석다"와는 구분된다
여기서 "철"이란?
사리를 분별할 수 있는 힘.을 말한다
예) 네가 "철"이 들었구나!
또는 계절의 변화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철"이란 규칙적으로 되플이되는 자연현상을 1년으로하여 일정기간으로 구분한것 즉,계절을 말하면서
"철"은 사리를 헤아릴 줄 아는 힘, 곧 지혜를 뜻하는 말입니다.
예) 사시사철
따라서,철부지는 "철"과 그 뒤에 알지 못한다는 한자말인 "부지(不知)"가 붙어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하지 못하는 어린애 같은 사람을 일컬어 철부지라고 한답니다.
철부지의 유래를 다르게 설명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철부지는 한자어 절부지(節不知)에서 유래됐다는 겁니다
(節)의 뜻은 마디 절
계절 절
이므로 마디를 알지 못한다.대나무의 마디처럼 절제된 행동이 없다는 뜻입니다,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생각과 행동이 달라져야 하는데 아직도 어린아이처럼 어리광을 부리거나 생각하고 행동하는 유치스런 어른을 말합니다
또는 계절의 변화를 알지못해서 농사를 짖거나 고기잡는 시기를 놓치는 게으름장이를 놀리는 말이었답니다
강한 음을 붙이다보니깐 절부지가 철부지로 변했다는 거죠
이제 아시겠습니까?
대학가요제 김만중의
'모모는 철부지'로 시작하는 노래를 아시죠..
https://www.youtube.com/watch?v=-y_inZA-7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