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During Early Stroke Rehabilitation (2007)
Subjets
Treatment
CIMT : 치료 session은 이환된 팔만을 사용하여 작업하도록 짜여졌다. 작업은 reaching, grasping, lifting, placing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개인의 운동 능력에 따라 선택 되었고, 확실히 교육시켜 이환된 팔만을 사용하여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업의 난이도는 점점 높여 갔다.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은 위험성이 있는 작업을 수행할 때를 제외하고 90% 시간동안 mitten restraint를 건측 팔에 착용하였다. 미튼을 착용한 건측팔로 이동하고나 보행할 때 도움은 받을 수 있지만 손가락을 사용한다거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보조하지 못하게 짜여져 있다.
Intensive traditional therapy : 일상 적 생활 뿐 아니라 환측 팔의 strength, muscle tone, ROM을 증진 시키는 치료적 활동이 포함되었다.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였다.
Procedure : stroke 후 평균 11일(5일-19일) 후부터 치료가 시작되었다. 모든 환자는 CIMT나 traditional UE therapy를 동등한 빈도와 기간으로 시행되었다. 하루 3시간 이상 하고, 14 or 15일동안 하였다. 일주일에 일요일은 제외한 6일간 수행하였다. baseline에 측정하고, posttreatment, 3 to 4 months after stroke에 측정하였다.
운동 능력의 향상은 cortical excitability 부위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Alterations in cortical excitability in chronic stroke after CIMT (2008)
use-dependent cortical reorganization은 stroke 후 운동 기능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CIMT는 최근 도입된 치료이고 기본적으로 2-3주 간 이환된 팔만 사용하는 하루에 8-10시간의 치료이다. 급성, 아급성 뿐 아니라 만성에서도 효과를 보고있다. 최근 움직임과 수의적 운동 조절은 cortical electric excitability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는 TMS로 확인되었다. 이는 task-specific exercise에 따라 neural reorganization이 결정됨을 나타낸다. neural change를 이해하기 위해 EEG를 통한 movement-related cortical potentials(MRCPs)를 측정하였다.
Subjects
Intervention
7h a day in a 2 weeks for 10days.
grasping, reaching, manipulation.
light-weight sling으로 건측 고정. 되도록 쉬는 시간도 차도록 권장.
Results
Discussion
WMFT(motor behavior test) 15% 개선.
TMS로 측정한 MEP의 변화(진폭 넓어짐).
MRCP : toward lower frequency, occurred more in frontal scalp area(supplemen-
tary motor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