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각의 크기가 15˚인 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를 x라 하면,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x의 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제 분모를 유리화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대단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임의의 각에 대한 사인값을 계산하기 어려워, 지금은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를 이용하여 근삿값을 구한다. 테일러 급수란 어떤 함수를 다항식의 형태로 근사하는 것으로, 삼각함수는 다음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테일러 급수를 이용하여 위에서 구한 sin 15°를 다시 구해 보면 다음과 같은 값을 얻는다.

겨우 네 개의 항만 구하여도 소수점 아래 아홉 번째 자리까지 맞았고, 항을 더 많이 계산할수록 근삿값도 점점 정밀해진다. 전자계산기가 삼각함수값을 구하는 것도 이런 원리이다. 계산기 속에 종이와 자, 각도기가 들어 있을 리는 없으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