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라우드 펀딩의 유형 | |||
유형 | 세부방식 | 대표적 업체 | |
비투자형 | 기부형 | 순수한 기부방식 |
|
후원형 | 자금지원행위에 대한 비금전적 보상 | kickstarter, indi egogo 등 | |
투자형 | 대출형 | 인터넷 플랫폼의 대출 중개 및 관련 서비스 제공 | 모두펀딩, 렌딩클럽, 머니옥션, 팝펀딩 등 |
지분투자형 | 자금지원의 보상으로 지분 취득 및 배당금 수취 | Angel List, 오픈트레이드 등 |
시설 등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특정기능에 대한 집중적인 개발·정비가 용이하게 된다.
1) P2P대출 흐름도
부동산의 담보대출, 부동산개발, 건축에 필요한 자금, 리모델링 자금, 신용대출, 제품생산 자금 등을 P2P 업체에서 대출상품을 만들고 목표금액을 정한 다음, 불특정 다수의 회원들을 모집하여 투자자금을 모아, 대출신청인에 자금을 조달해 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토지 매입자금이 부족하거나 토지소유자가 본인의 토지 위에 신축건물을 개발을 하고자 할 때 토지매입 자금이나 건축 자금이 필요할 것이다. 이때, 건축주는 부동산 P2P 대출 투자 업체에게 자금의 대출을 요청하고 P2P 업체는 이를 하나의 상품으로 만들고, 투자자는 잉여자금을 투자를 하게 된다.
이런 투자과정을 거쳐, 달성된 목표금액을 토지 매입주나 건축주에게 일정 기간 동안 대출을 진행하고, 이때 발생되는 이자를 받아 투자자에게 약정한 이자 배분을 하고 토지잔금을 치르거나 건축 준공이 되면 대출목적이 달성되고, 토지매입자나 신축건축주로부터 원금을 회수하여 투자자에게 원금을 상환해 준다.
[기존 금융권 대출 개념도와 P2P 대출 개념도]
2) 부동산 P2P 대출 투자를 하는 경우 수익률은?
우리나라 P2P 투자회사가 많지만, 업체마다 조금씩 다르다. 보통 금리는 12%~18% 를 적용하고, 투자자의 세후 수익률은 8%~15% 정도이다. P2P 업체는 플래툰 정보이용료 수수료 받는데 투자자에게는 년 1%, 금융 소비자에게는 1% ~ 5%로 업체마다 각각 다르다.
3) 부동산 P2P 대출 투자 자금의 안전은 무엇으로 보장하나?
모든 대출 신청자에게 투자가 성사되는 것은 아니고, 대출의뢰자의 대출 신청이 접수되면 P2P 업체는 자체적 심사 기준 또는 감정 평가사 등 제삼자를 통해 대상 부동산을 심사 기준에 의해 심사 절차를 거치게 된다.
심사에 통과되어 최종 투자 기간과 대출금액이 결정 되면, 대출을 진행하게 되는데, 보통 심사 기준은, 대상 토지에 건축을 완료하여 준공 후의 가치를 평가하여 결정된 금액의 60% 정도로 대출을 실행하게 된다.
4) 건축주는 왜 부동산 P2P 대출 투자금을 사용할까?
건축주는 은행을 통해서도 진행을 할 수는 있지만, 은행에서는 토지를 담보로 하는 건축자금은 PF 대출로 취급되어, 시공사의 평가도 이루어지게 되는데, 통상 빌라, 다세대주택 또는 작은 규모의 주택 단지 건설을 하는 시공사는 평가가 낮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금을 충분히 조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P2P 대출 투자금의 경우, 시공사를 보지 않고, 부동산의 가치를 보고 대출해 주기 때문에 건축주는 필요한 자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전에는 2금융권, 3금융권 또는 개인을 통해 고금리를 주고 대출을 받았으나, 부동산 P2P 대출은 중금리 수준으로 자금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2. P2P금융의 투자
P2P 금융 투자는 특별한 전문지식이 없어도 온라인으로 간편하고 손쉽게 투자를 할 수 있다. 투자 금액도 소액 투자부터 가능하고 P2P 금융의 가장 큰 장점은 비교적 다른 금융 상품들과 달리 안정적이면서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많은 P2P 금융업체가 있는데 투자 방법은 굉장히 간단하다. 모바일이나 웹사이트를 통해 P2P금융업체에 접속해 간단한 회원가입을 마친뒤 자신이 원하는 금융상품을 선택하고 투자 신청을 하면 되고 투자가 선착순으로 마감 되기 때문에 투자상품에 대한 분석을 누구보다도 빠르게 신청을 해야 투자를 할 수 있다.
위험성에 주의해야 할 점은 금리가 높다고 무조건 좋은 상품이 아니라 안정성과 수익성을 잘 비교하면서 선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각 P2P금융업체별로 전문분야 품목에 안전한 방법으로 올바른 투자 상품을 제공하는지가 중요하다.
구 분 | 내 용 |
심사 | 대출심사 : 대출 심사 통과율 8~12(P2업체 심사기준) |
관리심사 : 신용정보, 인터뷰, 소셜 데이터 분석 | |
시스템 | 세이퍼트, 에스크로 : 투자자자 예치금 보호 |
FDS(이상거래탐지시스템): 이상 거래 발생시 계좌 동결 | |
NICE FRIS(신청사기방지시스템) : 과거 사기정보, 신청서 정보 일치 분석 | |
법 | 신탁 : 신탁사를 통한 안전한 자금 관리 |
질권설정 :대출자 담보물에 대한 질권설정 | |
공증, 연대보증 : 민사소송 이전에 집행권원 확보를 통한 신속한 채권 회수 | |
투자환경 | 투자 LIVVE : 실시간 대출 채권 현황 공개 |
투자자 대시보드 : 투자 채권 상환플랜, 현황 등 상세 공개 | |
최대 투자한도 설정 : 금융감독원 P2P대출 가이드 적용 - 일반 개인투자자 : 연간 누적금액 1천만원(동일차입자 5백만원) - 소득적격 개인투자자 : 연간 누적금액 4천만원(동일차입자 2천만원) 1) 이자‧배당소득 2천만원 초과 2) 사업‧근로소득 1억원 초과 ※ 법인 투자자 및 자본시장법상 전문 투자자(개인)는 별도의 투자한도 없다. | |
분산투자 : 개인신용, 사업자, 부동산, 매출채권, 동산 등 |
첫댓글 감사합니다
잘보았어요
감사요^^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