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킹 찰스 스패니얼 (King Charles Spaniel)
► 이 명 : 킹 찰스 스패니얼(King Charles Spaniel)
► 외 관 : 킹 찰스 스패니얼의 크기는 체고 26∼32cm, 체중 3.6∼6.3kg 정도되는 소형견이다. 머리는 돔 모양이고 두개골은 크기에 비해 크다. 코는 검고 콧구멍은 크게 벌어져 있다. 눈과 귀가 튀어나와 있어 더러운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끼지 않는지 언제나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다른 스패니얼처럼 꼬리가 짧다. 이 개의 양쪽 귀와 거기에 난 털은 길어서 땅바닥을 쓸고 다닐 정도이다. 털의 색깔은 흑갈색, 적색, 그리고 적색 바탕에 흰색 등이 있다.
► 설 명 : 킹 찰스 스패니얼은 귀엽고 예쁜 장난감 같은 스파니엘 종으로 성격이 조심스럽고 소극적이다. 애정이 넘치고 이해력이 있어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애완견이다. 영국의 찰스 2세가 가장 아끼던 애견인 만큼 명랑하고 사교적인 성격과 귀족적인 외모를 갖고 있는 영국의 인기 애완견이다. 활동적이고 무서움이 적고 모험심이 강하다. 평균 수명은 14~16년 정도로 비교적 장수하는 편이다.
사람을 무척 잘 따르고 작은 동물이나 어린이에게도 호의적인 개로 어느 가정에나 무난하게 적응한다. 다른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거나 방문객이 자주 찾아오는 집에서도 쉽게 키울 수 있어 좋다. 실내에서 키우기에 적합한 품종이긴 하나 넓은 장소에서 뛰어노는 것을 좋아하므로 산책이나 운동을 자주 시키도록 한다. 넓은 평수의 아파트나 마당이 있는 주택에 적합하다.
성격은 다정하고 온순하다. 동반견이지만 주인에 대한 충성심은 혀를 내두를 정도이다. 주인을 극진히 사랑하고 무슨 일이 있든 함께 있는 것을 기쁨으로 느끼기 때문에 아무리 즐겁게 놀고 있다가도 주인이 부르면 즉시 달려간다. 상황판단이 가능하고 훈련의 이해도 좋아서 초보자가 키우기 쉽다.
► 주 의 : 대체적으로 강건하고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지만 유전적으로 심장이 약해서 심장병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고도 한다. 귀는 길고 긴 장식 털까지 있으며, 눈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중이염을 비롯한 귓병과 각막염이나 백내장 등의 눈병에 주의할 필요가 필요가 있다. 항상 귀와 눈을 살펴보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친화력이 높고 사회성이 좋아서 쉽게 키울 수 있지만 적당한 훈련을 시키지 않으면 천방지축으로 행동할 수 있으므로 어릴 때부터 기본적인 복종 훈련을 시키는 것이 좋다. 비교적 영리하기 때문에 훈련도 아주 잘 받아들인다.
식탐은 개체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비교적 많은 편에 속하므로 어느 정도의 성장기가 끝날 시점부터는 적절한 식사량의 조절이 아주 중요하다. 소형견이지만 의외로 비만견을 쉽게 볼 수가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내에서 키우기에도 적합하지만 넓은 장소에서 뛰어 노는 것을 좋아하므로 자주 뛰어 놀게 해 주는 것이 좋으며, 가능한 매일 규칙적으로 산책이나 운동을 시켜 주는 것이 좋다. 물에서 노는 것도 다른 스패니얼과 마찬가지로 아주 좋아하는 편이다.
털 빠짐이 심한 편은 아니지만 털이 길기 때문에 2 ~ 3개월에 한번 정도 미용을 해 주는 것이 좋다. 가위 미용을 하면 아름다운 자태가 드러난다. 평소에도 수시로 빗질을 해 주면 우아한 모습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목욕 후에는 반드시 털을 깨끗이 말려주어야 하며, 귀에도 물이 남아 있지 않게 깨끗이 닦아주어야 한다.
► 기 원 : 킹 찰스 스패니얼(King Charles Spaniel)의 원산지는 영국이다. 17세기에 찰스2세는 이 개를 좋아해 자신의 이름을 붙였다고 하며 일보다 개와 노는 것을 더 즐겼다고 전해진다. 프랑스의 스패니얼이 조상이고, 인기 애완견인 카발리에 킹 찰스 스패니얼의 원조이다.
17세기 영국의 찰스 1세와 찰스 2세에게 사랑 받았던 견종으로서, 이 시기에 출현한 견종으로 생각되나 그때보다 100년 정도 이전일 것이라고도 전해진다. 프랑스의 몸통이 길고 브랜하임(백색과 갈색의 모색)의 스파니엘이 조상견인 듯하다. 주둥이가 짧은 것으로 아시아의 견종(퍼그 또는 친)과의 혼혈 설도 있으나 그것이 사실이더라도 그 후에 교배되었던 것이라 여겨진다.
17세기와 18세기에 그려진 그림에서는 긴 주둥이를 하고 있다 많은 왕들에게 사랑 받았으나 찰스 1세가 특히 애착을 가졌다. “찰스의 개로부터 통행세를 받아서는 안된다”라고 하는 법령을 공포할 정도였다. 모색의 순수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블랙 탄, 프린스 찰스(트라이칼라), 블렌하임, 루비 등의 모색으로 상당히 많았으나 현재는 모두 킹 찰스 스파니엘이라고 불리어진다.
► 비 고 : 킹 찰스 스패니얼은 2010년 10월 13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9 반려 견 및 토이 독 그리고 섹션 7 잉글리시 토이 스파니엘 스탠다드 No. 128로 등록이 되었다. 이 외에도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다수 가입되어 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킹 찰스 스패니얼의 크기는 체고 26∼32㎝, 체중 3.6∼6.3kg 정도되는 소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일반적으로 비수렵견이며, 실용견으로 분류하고 있는 논 스포팅 그룹에 속하며, 다른 스패니얼 견종과는 달리 조렵견 그룹인 스포팅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다. 외모는 세련된 모습에 체구가 작고 다부지며, 단단하게 보인다.
► 머리 : 두개골은 체형에 비해 적당히 큰 편이고, 반원형(돔)이다. 눈 윗부분의 면적이 넓다. 스톱은 두개골과 코 사이에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
• 코 : 코의 색은 검은색이고, 콧구멍이 큼직하게 열려 있다. 코는 짧으며, 방향은 위를 향하고 있다.
• 입 : 주둥이는 정사각형이고 너비와 깊이가 모두 길며, 위로 휘어지는 형태이다. 입술은 위아래가 정확하게 맞물리고, 접하는 면이 깔끔하게 보인다. 턱은 아래턱이 넓적하고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혀가 밖으로 튀어나온 경우에는 매우 부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
• 눈 : 눈은 비교적 크고, 눈의 색은 짙다. 미간은 넓은 편이다. 눈꺼풀은 안면과 수평으로 평행하게 덮이며, 이 부분에서 활달한 표정이 느껴진다.
• 귀 : 귀는 두개골에서 낮은 곳에 위치하고, 볼 쪽으로 납작하게 늘어뜨리고 있으며 상당히 길다. 귀는 긴 털로 풍성하게 덮여 있다.
► 목 : 목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아치형이며, 당당한 자세가 느껴진다.
► 몸통 : 등은 짧고 평평하며, 가슴은 넓고 깊은 편이며, 앞가슴은 팽팽하다. 기갑은 높고 등은 곧고 짧다. 어깨는 적당히 경사져 있고 근육이 잘 발달해 있다. 배는 타이트하다. 엉덩이는 근육이 발달해 있으며, 알맞게 경사져 있다.
► 꼬리 : 과거에는 선택적으로 꼬리를 절단하였지만 긴 장식털이 풍성하게 덮여 있는 그 자체도 아름답기 때문에 지금은 대부분 단미를 하지 않는 추세이다. 절단된 경우에도 꼬리에는 긴 장식 털이 풍성하게 덮여 있으며, 등 위로 들어 올리거나 등선과 같은 높이로 들지 않아야 한다. 절단되지 않은 경우에도 꼬리는 긴 장식 털이 풍성하게 덮고 있으며, 등 위로 들어 올리거나 등선과 같은 높이로 들지 않으며, 몸의 나머지 부분과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편이다.
► 사지 : 앞다리의 어깨는 뒤로 충분히 젖혀져 있고, 무릎은 흉곽과 가까이에 위치하며 방향이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다. 전완은 짧고 일직선으로 뻗어 있으며, 발목은 탄탄하게 보인다. 앞발은 작은 편이고 단단하다. 발바닥에는 패드가 잘 형성되어 있으며, 긴 털로 덮여 있다. 발가락은 서로 밀착되어 있고, 발은 고양이 발처럼 둥글다. 패드는 두툼한 편이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근육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으며, 걸을 때 충분한 힘이 느껴진다. 무릎은 충분히 굽어 있고, 발목의 비절은 아래로 충분히 내려와 있고 윤곽이 뚜렷하게 보인다. 특히 뒤에서 보면 곧게 뻗어 있으며, 방향은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다. 뒷발은 작고 단단하다. 발바닥에는 패드가 잘 형성되어 있으며, 긴 털로 덮여 있다. 발가락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고양이 발처럼 둥글다. 패드는 두툼한 편이다.
► 털과 색 : 털은 길이가 긴 장모이고, 몸에 붙어 부드럽다. 털은 길면서 실크처럼 얇고 가느다란 직모는 웨이브가 살짝 있어도 허용되지만 곱슬거리지는 않아야 한다. 양쪽 귀와 배 부분, 다리, 귀, 꼬리에는 긴 장식 털이 풍성하게 덮여 있어서 아름다워 보인다.
모색은 흑갈색과 적색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적색 바탕에 흰색의 반점을 가진 개체도 많이 있다. 모색은 제약이 적지만 루비(적색)라 불리는 단색은 전체적으로 적색이 도는 진한 밤색이며, 가슴에 흰색 무늬가 형성된 경우에는 매우 부적절한 요소로 간주된다. 다른 색상이 섞인 개체 중에서 황갈색이 섞인 검은색(black and tan)은 윤기가 흐르는 검은색 바탕에 눈 윗부분, 볼, 귀 안쪽, 가슴, 다리, 꼬리 아랫부분에 황갈색 무늬가 형성되는데 황갈색 부분은 색이 밝은 것이 좋으며, 흰색 무늬는 부적절한 요소로 간주된다. 트라이 컬러(tricolor)라고 불리는 세 가지 색의 경우에는 진주 빛이 도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 무늬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고 선명한 황갈색 무늬가 볼, 귀 외곽선, 꼬리 아랫부분, 눈 주변에 형성된다. 눈 사이에 넓적한 흰색 줄무늬가 형성되어 이마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블렌하임(blenheim) 무늬는 진주 빛이 도는 흰색 바탕에 적색이 도는 밤색 무늬가 형성이 되는 경우를 일컫는다. 이때 두개골 중앙에 넓고 색이 선명한 블래즈(blaze)라고 불리는 흰색 줄무늬가 있으며, 여기에 작은 동전 크기로 적색이 도는 밤색의 반점들이 있는 개체를 말한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자연스럽고 우아하며, 걸을 때에는 뒷다리에서 충분한 힘을 얻어 이동한다. 도그 쇼에서는 안정적인 걸음걸이가 매우 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