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장 속에 갇힌 새처럼 살아가고 있다. 나의 삶이 지금 그렇다. 단순하게 몸이 갇혔기 때문에 느끼는 감정은 아니다. 마음이 새장 속에 갇혀 있다. 답답하다. 같은 태양을 보고 같은 달을 보고 있는 삶이 싫증난다. 새장 속에서 재미를 찾아 살아왔다. 나에게 재미로 다가온다면 그것으로 만족이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새장이 어떻게 생겼는지, 새장을 어떻게 탈출할 수 있는지는 생각해보지 않았다. 단순하게 이 속에서 어떻게 재미있게 살아갈지에 관심이 많았다. 그래서 새장 속에 나는 날갯짓 한 번 제대로 해보지 않은 채 주어진 삶에 만족하며 살았다.
새장에서도 훨훨 날 수 있을까?, 새장에서도 나는 답답한 마음을 벗어 던질 수 있을까? 재미있으면 된다, 라는 방향이 나를 나락으로 몰아넣었을 때 나의 삶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30년 넘게 TV를 보았지만 나는 뉴스를 관심 있게 본 적이 없었다. 내가 갇혀 있는 새장에 관심이 없었다는 이야기이다. 항상 켜져 있고 들려지는 것이라고는 예능과 드라마였다. 라디오도 마찬가지이다. ‘두시 탈출 컬투쇼’나 간혹 들으면서 가벼운 웃음만 지으며 하루를 보냈다. 물론 나의 삶이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누군가의 삶을 판단하는 일은 나를 포함해 그 누구도 쉽게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 가지는 확실하다. 나는 새장에 관심이 없었다. 나는 세상을 바로 보려고 노력하지 않았다.
세상 속에는 나 뿐 아니라 모두가 갇혀있다. 각자의 삶의 시간표에 맞추어서 치열하게 혹은 느긋하게 살고 있다. 함께 살아가는 한정된 세상에서 우리는 잘 살아보기 위해서 노력한다. 세상에서 탈출하게 위해서 노력한다. 날갯짓 한 번 제대로 해보기 위해서 꿈을 꾸며 살아간다. 하지만 세상이 주는 좌절감은 엄청나다. 그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하면 함께 웃을 수 있을까? 단순하게 개인의 행복과 재미를 따라 물 흐르듯이 살아가는 삶이 아니라, 어떻게 해야 물을 거스르고, 세상을 이겨내는 삶을 살 수 있을까? 그 힘은 바로 서로에 대해서 먼저 알고 서로 이해하고 서로 사랑하는 일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혼자서는 탈출할 수 없는 세상이 우리를 압박하고 있다.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새장이 우리를 가두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더욱 더 세상을 알아야 한다.
서로를 알기 위해서, 세상을 알기 위해서, 새장을 탈출하기 위해서 우리는 정보가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뉴스가 중요하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상을 가장 잘 이야기해주는 곳은 뉴스이다. 뉴스를 통해서 우리가 어디에 위치해 있으며, 오늘은 어떤 일이 일어났으며 앞으로는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상할 수 있다.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나는 세상에 관심이 없었다. 흔히 책에서 이야기하는 ‘뉴알못’(뉴스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책에서 시사퀴즈 3가지를 냈는데 제대로 된 정답 하나도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나는 바보이다. 이런 나를 다시 세상에 대해서, 뉴스에 대해서 거창하게 이야기 하도록 만든 책의 저자는 CBS 라디오에서 [김현정의 뉴스쇼]를 진행하고 있는 김현정 피디이다.
김현정 피디의 어릴 적 꿈은 음악 프로그램 라디오 피디였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서 CBS에 입사하게 되고 심야 음악프로그램 피디가 되어 그 꿈을 이루게 된다. 하지만 2005년 어느 날 편성국장이 불러서 휴가 가는 시사 프로그램 진행자 대신 대타를 하라고 한 것을 시작으로 인생이 변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가을 개편과 함께 시사 프로그램의 진짜 진행자가 되었다. 이 후 2008년 [김현정의 뉴스쇼]가 론칭되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김현정 피디는 2005년부터 지금까지 13년 동안 하루 최대 12~13시간씩 전 세계 뉴스를 본다고 한다. 한 마디로 뉴스에 미친 삶을 살고 있다.
김현정 피디가 말한다. 첫째, 뉴스는 자신과 상대방이 그리고 세상을 좀 더 원활하게 소통하는 도구이다. 둘째, 뉴스는 현재의 기록이다. 현재의 뉴스를 보며 과거의 뉴스를 떠올리고, 미래의 뉴스를 예상할 수 있게 한다.(p.29) 이처럼 오늘날의 뉴스를 보고 과거의 뉴스까지 떠올릴 수 있다면, 미래에 무슨 일이 벌어질지 막연하더라도 감을 잡을 수 있게 된다. 과거를 통해 오늘을 읽어내고 나아가 미래도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것이 바로 뉴스가 우리에게 주는 힘이다.(p.34) 이처럼 거대한 힘을 가진 뉴스를 우리는 보아야 한다. 그리고 들어야 한다. 제대로 알아야 한다. 지금까지 혼자만 잘 살면 되겠지 라는 낡은 새장이 만든 세상의 틀에서 깨어나야 한다.
뉴스를 제대로 읽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심해야 한다. 그리고 프레임을 깨고 밖으로 나가야 한다. 가능하면 사건의 당사자의 이야기를 전하는 뉴스를 듣고, 갈등이 있는 이슈라면 양쪽의 입장을 모두 잘 챙겨 듣고 선입견을 배제하고 판단해야 한다.(p.60)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좋은 언론부터 열심히 찾아야 한다. 조금이라도 더 진실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언론, 당사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저널리스트, 선입견을 배제하고 균형 잡힌 보도를 하는 프로그램들을 말이다. 단순한 사실이 아닌 진실에 더 다가서려는 노력, 프레임 밖에 뭐가 있을까 의심하는 수고 역시 필요하다.(p.100) 결국 우리가 노력해야 한다. 우리가 찾아야하고, 우리가 질문해야하고, 우리가 판단해야 한다.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내가 살아 숨 쉬고 있다. 하지만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채로 살 수 없다. 시간은 흘러가고, 나이는 먹어가고, 사람에게 짊어지는 삶의 무게는 가벼워질 수 없기 때문이다. 세상에 갇혀서 산다는 건 이미 벗어날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결국 우리는 시간의 흐름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시간을 거스를 수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늙어간다. 앞에서 탈출하고 싶다고 말했지만 이미 탈출할 수 없는 세상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건 있다. 우리는 날갯짓 할 수 있다. 홀로의 힘이 아닌 함께 살아갈 수 있다. 세상이 좁은 것처럼 보여도 사실은 매우 크고 넓다. 심지어는 아름다움이 있다. 이 속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함께 살아가느냐의 문제이다.
나와 내가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왔는가? 오늘은 어떻게 살고 있는가? 앞으로는 어떻게 살 것인가? 질문하자. 그리고 숨지 말고 앞으로 나아가자. 진짜와 가짜가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사실과 진실에 가까운 소식을 전하기 위해 그리고 듣기위해 노력하자. 권력자와 기득권자들이 지배하는 세상을 부수기 위해서 공부하자. 세상 속에 있는 우리는 모두 다 평등하고 공평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이를 위해 무슨 일이 일어나는 지 확실히 살펴보자 그리고 판단하자.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랑하자. 나와 너, 그리고 너와 내가 살기 위해서 우리는 알아야 한다. 그리고 보고 듣고 느껴야 한다. 김현정 피디는 10년 동안 하루에 12~13시간씩 뉴스에 미친 삶을 살았다. 저자가 말한다. “음악 프로그램 피디로서 제 삶이 ‘행복’이었다면 뉴스를 진행하는 지금은 ‘보람’입니다. 제가 전달하려는 뉴스로, 인터뷰들로 세상이 조금씩이나마 분명 바뀌고 있다는 것을 느낍니다. 이 ‘보람’으로 저는 오늘도 새벽 4시에 일어났습니다.” 나는 나에게 다시 묻는다. “너는 새벽 4시에 지금 무엇을 하고 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