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자 하 제6장. 성인의 뜻을 어찌 대중이 알랴.
(대강의 내용)
순우곤淳于髡이 말했다。
"名實을 우선先삼는 者는 남을 위함이요, 名實을 後 삼는 者는 스스로를 위함입니다。 夫子께서는 삼경三卿의 한 사람으로 계시면서 名實이 위로는 임금과 아래로는 백성들에게 보탬이 없이 떠나시니, 어진 사람도 원래 본래 그렇습니까?"
名은 명예요, 實은 일의 공功이다。
명예名實를 우선 삼는 者는 백성을 구원할 뜻이 있는 者이고, 명예名實를 後를 삼아
하지 않는(不爲) 者는 홀로 그 몸을 善하게 하고자 하는 者라는 말이다。
명예名實가 위와 아래에 보탬이 없다는 것은, 위로 능히 그 임금을 바르게 하지 못하
고, 아래로 능히 그 백성을 구제하지 못했음을 말한다。
孟子가 말했다.
"낮은 자리에 있으면서 어진 행동으로 불초不肖한 자를 섬기지 않은 사람은 백이伯夷요, 다섯 번 탕湯임금한테 나아가 벼슬하고, 다섯 번 걸桀에게 나아가 벼슬한 사람은 사람은 이윤伊尹이요, 더러운 임금을 싫어하지 않고 작은 벼슬도 사양하지 않은 사람은 유하혜柳下惠이다。 이 세 사람은 행한 방식(道)은 같지 않았지만 추趨 (마음이 쏠려 향하여 따름)는 같다。 무엇이 같은가? 이른바 어진 것仁이다。 君子는 어질仁 따름이니, 구태여 같(을 필요야 있)겠는가?"
仁이라는 것은 私心이 없고 하늘의 이치天理에 맞는 것을 말한다。
"노魯나라의 목공繆公 시절에 공자의公子儀가 재상宰相으로 있었고, 자유子柳와 자사子思가 臣下가 되었는데도, 노魯나라의 땅이 더욱 심하게 줄었으니, 이렇듯이 賢者라도 나라에 유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우虞나라는 백리해百里奚를 등용하지 아니했기 때문에 망했고, 진秦나라의 목공穆公은 그를 등용해서 패자覇者가 되었다。 현량賢良을 등용하지 않으면 망하게 되니, 어찌 땅이 줄어드는 정도조차 얻을 수가 있겠는가?"
"옛날에 왕표王豹가 기수淇水 가에 살자處, 하서河西 사람들이 소리謳를 잘 불렀으며, 면구綿駒가 고당高唐에 살자處, 제齊나라 서부 지방 사람들이 노래歌를 잘 불렀으며, 화주華周와 기량杞梁의 아내가 자기 남편 상喪에 곡哭을 잘해서 나라의 풍속이 변하였습니다。 안에 있으면 반드시 밖으로 드러납니다。 일을 하고 공功이 없는 것을 나는 아직 들어 본 일이 없사오니, 그러므로 賢者가 없을지언정 있다면 내가 반드시 알 것입니다。"
"孔子가 노魯나라의 사구司寇가 되어 계실 적에 (그의 말씀을) 따르지 않고, 제사에 참례하였는데, 제사지낸 고기(燔肉번육)가 이르지 않자 예복(冕服면복)을 벗지도 않고 노魯나라를 떠나갔다。 모르는 사람은 고기(燔肉) 때문이라고 하고, 아는 사람들은 (임금이) 禮가 없기 때문이라고 했으나, 孔子는 작은 죄를 구실로 행하고자 하시고, 구차하게 떠나가려 하지 않으셨으니, 君子가 하는 바를 뭇 사람들이 본래 알지 못한다。"
--------------------------------------
告子章句下 六章
(고자장구하 육장)
淳于髡曰 [先名實者, 爲人也。 後名實者, 自爲也。 夫子在三卿之中, 名實未加於上下而去之, 仁者固如此乎? ]
(순우곤왈 [선명실자, 위인야。 후명실자, 자위야。 부자재삼경지중, 명실미가어상하이거지, 인자고여차호)
순우곤이 말했다. “명예와 공을 앞세우는 자는 사람을 위한다. 명예와 공을 뒤로 하는 자는 자신을 위하는 것이다. 선생은 삼경 중에 있으면서 명예와 공을 상하에 더하지 못하고, 물러 나니, 어진 사람은 원래 그러합니까?”
名, 聲譽也。 實, 事功也。 言以名實爲先而爲之者, 是有志於救民也。
(명, 성예야。 실, 사공야。 언이명실위선이위지자, 시유지어구민야)
명名은 명성과 명예이다. 실實은 일하여 세운 공이다. 명실名實을 우선하여 사람을 위
한 것은 백성을 구할 뜻이 있다는 말이다.
以名實爲後而不爲者, 是欲獨善其身者也。 名實未加於上下, 言上未能正其君,
下未能濟其民也。
(이명실위후이불위자, 시욕독선기신자야。 명실미가어상하, 언상미능정기군,
하미능제기민야)
명실을 뒤로 하고 실행하지 않는 사람은 홀로 그몸이 잘되고자 하는 것이다. 명실이 상
하에 더하지 않으면, 위로 임금을 바르게 하지 못하고, 아래로 백성을 구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孟子曰 [居下位, 不以賢事不肖者, 伯夷也。 五就湯, 五就桀者, 伊尹也。 不惡汚君, 不辭小官者, 柳下惠也。
(맹자왈 [거하위, 불이현사불초자, 백이야。 오취탕, 오취걸자, 이윤야。 불오오군, 불사소관자, 류하혜야)
→不肖 불초하다,품행이 나쁘다,아버지를 닮지 않다. 못난이.
맹자가 말했다. “아래에 있으면서 자신의 어진 것으로 못난 이를 섬기지 않으니 백이이다. 다섯 번 탕을 섬기고, 다섯 번 걸을 섬기니 이윤이다. 못된 임금을 미워하지 않고, 작은 벼슬도 사양하지 않으니 유하혜이다.
三子者不同道, 其趨一也。 一者何也? 曰 仁也。 君子亦仁而已矣, 何必同? ]
(삼자자불동도, 기추일야。 일자하야? 왈 인야。 군자역인이이의, 하필동)
→趨달릴추. 좇다. 취향.
세 사람의 도는 같지 않으나 그 좇는 것은 하나이다. 하나란 무엇인가? 그것은 어진 것이다. 군자는 역시 어질뿐이니, 어찌 반드시 방법이 같으리오?
仁者, 無私心而合天理之謂。 楊氏曰 [伊尹之就湯, 以三聘之勤也。 其就桀也, 湯進之
也。 湯豈有伐桀之意哉? 其進伊尹以事之也, 欲其悔過遷善而已。
(인자, 무사심이합천리지위。 양씨왈 [이윤지취탕, 이삼빙지근야。 기취걸야, 탕진지
야。 탕개유벌걸지의재? 기진이윤이사지야, 욕기회과천선이이)
어진 사람仁者는 사심이 없고, 천리에 합당하게 행함을 이른다. 양씨가 말했다.“이윤은
세 번의 힘쓴 초빙으로 탕을 섬겼다. 걸을 섬김은 탕이 추천하였기 때문이니, 탕이 어
찌 걸을 정벌할 뜻이 있었겠는가? 이윤이 나아가 섬긴 것은, 허물을 참회하여 선을 행
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었다.
伊尹旣就湯, 則以湯之心爲心矣。 及其終也, 人歸之, 天命之, 不得已而伐之耳。
(이윤기취탕, 칙이탕지심위심의。 급기종야, 인귀지, 천명지, 불득이이벌지이)
이윤이 이미 탕을 섬기니, 탕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한 것이다. 종국에 이르러 사
람이 돌아가고, 하늘이 명하니 어쩔 수 없이 정벌하였을 뿐이다.
若湯初求伊尹, 卽有伐桀之心, 而伊尹遂相之以伐桀, 是以取天下爲心也。 以取天下爲心,
豈聖人之心哉? ]
(야탕초구이윤, 즉유벌걸지심, 이이윤수상지이벌걸, 시이취천하위심야。 이취천하위심,
개성인지심재)
만약 탕이 처음부터 이윤을 구하여, 걸을 정벌하려는 마음이 있었으면, 이윤이 같이 따
라 걸을 정벌했을 것이고, 이것은 천하의 마음을 취한 것이다. 천하의 마음을 얻으니
어찌 성인의 마음이겠는가?”
曰 [魯繆公之時, 公儀子爲政, 子柳子思爲臣, 魯之削也滋甚。 若是乎賢者之無益於國也! ]
(왈 [노무공지시, 공의자위정, 자류자사위신, 노지삭야자심。 야시호현자지무익어국야)
(순우곤)이 말했다. “노나라 목공 당시 공의자가 나라를 다스리는데, 자류, 자사가 신하이었는데, 노나라 땅이 심하게 깍이니, 만약 이것은 현자라도 나라에 도움이 되지 못한 것입니다.”
公儀子, 名休, 爲魯相。 子柳, 泄柳也。 削, 地見侵奪也。 髡譏孟子雖不去 亦未必能有
爲也。
(공의자, 명휴, 위노상。 자류, 설류야。 삭, 지견침탈야。 곤기맹자수불거, 역미필능유
위야)
공의자의 이름은 휴이고 노나라 재상이 되었다. 자류는 설류이다. 삭은 땅을 침탈당한
것이다. 순우곤이 맹자가 비록 물러나지 않았더라도 역시 반드시 하는 바가 없음을 나
무란 것이다.
曰 [虞不用百里奚而亡, 秦穆公用之而覇。 不用賢則亡, 削何可得與? ]
(왈 [우불용백리해이망, 진목공용지이패。 불용현칙망, 삭하가득여)
(맹자가) 말했다. “우나라는 백리해를 등용하지 않아 망했고, 진나라 목공은 등용하여 패자가 되었다. 현자를 등용하지 않으면 망하고, 국토를 침탈당하니 어찌 얻을 수 있을 것인가?”
百里奚, 事見前篇。
(백리해, 사견전편)
백리해는 전편을 보아라.
曰 [昔者王豹處於淇, 而河西善謳。 綿駒處於高唐, 而齊右善歌。 華周杞梁之妻善哭其夫, 而變國俗。
(왈 [석자왕표처어기, 이하서선구。 면구처어고당, 이제우선가。 화주기량지처선곡기부, 이변국속)
→驅몰구.달리다. 핍박하다.
(순우곤)이 말했다. “옛날 왕표가 기수 가에 있을 때, 하서 사람이 노래를 잘하였고, 면구가 고당에 있을 때, 제나라 서쪽 사람이 노래를 잘 하였다. 화주와 기량의 처들이 그 남편이 죽었을 때, 곡을 잘해서 나라의 풍속을 바꾸었다.
有諸內必形諸外。 爲其事而無其功者, 髡未嘗覩之也。 是故無賢者也, 有則髡必識之。 ]
(유제내필형제외。 위기사이무기공자, 곤미상도지야。 시고무현자야, 유칙곤필식지)
안쪽에 있는 모든 것이 반드시 밖으로 나타난다. 일을 해서 공이 없는 것을 곤은 보지 못했다. 이런 고로 현자가 없는 것이고, 현자가 있으면 곤이 반드시 알았을 것이다. “
王豹, 衛人, 善謳。 淇, 水名。 綿駒, 齊人, 善歌。 高唐, 齊西邑。 華周杞梁, 二人皆
齊臣, 戰死於莒。
(왕표, 위인, 선구。 기, 수명。 면구, 제인, 선가。 고당, 제서읍。 화주기량, 이인개
제신, 전사어거)
왕표는 위나라 사람으로 노래를 잘했다. 기는 강의 이름이다. 면구는 제나라 사람으로
노래를 잘했다. 고당은 제나라 서쪽의 읍이다. 화주, 기량 두 사람은 모두 제나라 신하
이고, 예에서 전사하였다.
其妻哭之哀, 國俗化之皆善哭。 髡以此譏孟子仕齊無功, 未足爲賢也。
(기처곡지애, 국속화지개선곡。 곤이차기맹자사제무공, 미족위현야)
그 처가 곡하는 것이 애닮아, 나라의 풍속이 모두 곡을 잘했다. 곤이 이렇게 맹자가
제나라 신하로서 공이 없으니, 어진 것이 부족함을 꾸짖는 것이다.
曰 [孔子爲魯司寇, 不用, 從而祭 燔肉不至, 不稅冕而行。 不知者以爲爲肉也。 其知者以爲爲無禮也。
(왈 [공자위노사구, 불용, 종이제 번육불지, 불세면이항。 불지자이위위육야。 기지자이위위무례야)
→司寇: 주나라 때 육경의 하나. 燔肉제사를 지낸 고기. 삶은 고기.
(맹자가) 말했다. “공자가 위나라 사구로 있을 때, 쓰이지 못하고 따름에 제사에 번육이 도달하지 않으니 면류관을 벗지 않고 떠났다. 알지 못하는 자는 고기 때문이라 하는데, 아는 자는 무례함 때문이라 하였다.”
乃孔子則欲以微罪行, 不欲爲苟去。 君子之所爲, 衆人固不識也。 ]
(내공자칙욕이미죄항, 불욕위구거。 군자지소위, 중인고불식야)
이에 공자는 작은 죄로 떠나고자 한 것이니, 진실로 떠나고자 한 것이 아니다. 군자가 행하는 것은 원래 대중은 알지 못한다.“
按史記 [孔子爲魯司寇, 攝行相事 齊人聞而懼, 於是以女樂遺魯君。 季桓子與魯君往觀
之, 怠於政事。
(안사기 [공자위노사구, 섭항상사。 제인문이구, 어시이녀낙유노군。 계환자여노군왕관
지, 태어정사)
사기를 살펴보면, ‘공자가 노나라 사구를 할 때, 재상의 일을 대신하니, 제나라 사람이
듣고 두려워하여, 이에 여인과 악공을 노나라 임금에게 보냈다. 계환자와 노나라 임금
이 가서 보고 정사를 게을리 하였다.
子路曰 {夫子可以行矣。 }
(자노왈 {부자가이항의)
자로가 말했다. “선생이 떠날 만 하다.”
孔子曰 {魯今且郊, 如致膰肉于大夫, 則吾猶可以止。 } 桓子卒受齊女樂, 郊又不致膰肉
于大夫, 孔子遂行。 ] 孟子言以爲爲肉者, 固不足道。
(공자왈 {노금차교, 여치번육우대부, 칙오유가이지。 } 환자졸수제녀낙, 교우불치번육
우대부, 공자수항。 ] 맹자언이위위육자, 고불족도
공자가 말했다. “지금 노나라의 근교에 번육이 대부에게 도착하면, 내가 그치게 하겠
다.” 환자가 갑자기 제나라의 여악을 받고, 근교에 번육이 대부에 도착하지 않으니 공
자가 떠난 것이다.” 맹자가 고기 때문이라고 말한 것은, 원래 도리에 부족한 것이다.
以爲爲無禮, 則亦未爲深知孔子者。 蓋聖人於父母之國, 不欲顯其君相之失, 又不欲爲無
故而苟去, 故不以女樂去, 而以膰肉行。
(이위위무례, 칙역미위심지공자자。 개성인어부모지국, 불욕현기군상지실, 우불욕위무
고이구거, 고불이녀낙거, 이이번육항)
무례하다고 말하는 즉, 역시 공자를 깊이 알지 못하는 자이다. 대개 성인은 부모의 나
라에서 임금과 재상의 허물을 드러내 보이려 하지 않았고, 또 까닭없이 구태여 떠나려
하지 않으니, 고로 여악 때문에 떠난 것이 아니고, 번육 때문에 떠난 것이다.
其見幾明決, 而用意忠厚, 固非衆人所能識也。 然則孟子之所爲, 豈髡之所能識哉?
(기견기명결, 이용의충후, 고비중인소능식야。 연칙맹자지소위, 개곤지소능식재)
명쾌함을 보고, 충후한 뜻으로 사용하니, 원래 대중이 알 바가 아니다. 그런 즉 맹자가
행한 것을 어찌 곤이 알겠는가?
○尹氏曰 [淳于髡未嘗知仁, 亦未嘗識賢也, 宜乎其言若是。 ]
(윤씨왈 [순우곤미상지인, 역미상식현야, 의호기언야시)
윤씨가 말했다. “선우곤이 어진 것을 알지 못하고, 또 현명함도 알지 못하니, 의당 그 하는 말이 이와 같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