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포상
부와 명예를 한꺼번에 얻는다는 말은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에게 잘 어울리는 말이다.
도쿄 올림픽에서도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육상 종목에서 우승한 투창 선수는 무려
12억 원의 포상금을 쥐게 됐다.
금 2, 은 4, 동메달 6개로 역대 최고 성적을 내고
귀국한 대만 대표팀도 금메달리스트가
8억2000만 원을 받는 등 돈방석에 올랐다.
이들의 귀국행에 대만 정부는 전투기 4대를 발진시켜
에스코트하는 최고의 영예를 제공했다.
▷이번 올림픽에서 금메달 포상금이 가장 많은 나라는
인도와 싱가포르로 약 8억5000만 원이었다.
대만 다음으로 홍콩(약 7억4000만 원),
인도네시아(약 4억 원)가 뒤를 이었다.
반면 미국(약 4300만 원) 독일(약 2500만 원)
등은 상대적으로 적다.
올림픽에서 50∼100개가량의 메달을
휩쓰는 스포츠 강국일수록 억대 포상금은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은 국가가 지급하는 포상금만 따지면
금메달 6300만 원으로 특별히 많은 금액은
아니다.
매달 주는 연금도 2000년에 금메달 기준
(연금 점수 90점)으로 100만 원으로 오른 뒤 21년째 묶여 있다.
연금은 1975년부터 지급됐는데
당시 금메달리스트에게 2급 공무원인 이사관급 월급인
10만 원을 준 게 시작이었다.
1970년대 당시 서울 시내버스 요금이 10원이었고,
현재 1300원으로 130배 오른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올림픽 연금은 삭감돼왔던
셈이다.
▷이런 부분을 보완해주는 것이 종목별 협회가
지급하는 억대 포상금이다.
양궁협회는 리우 때 개인전 2억 원,
단체전 1억5000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는데
이번에도 비슷한 규모를 지급할 것으로
보인다.
배구협회는 4위를 차지한 여자배구팀에
1억 원 이상의 보상금을 약속했고,
금메달을 획득한 체조, 펜싱 협회도
억대 포상금을 내줄 예정이다.
반면 남자 높이뛰기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며 4위에 오른 우상혁은 2000만 원,
수영에서 아시아와 한국 신기록을 세웠지만
메달 획득에 실패한 황선우는 1000만 원의
포상금에 그친다고 한다.
협회의 예산 상황이 다른 데다 신기록
달성보다는 메달 획득 여부에 포상금 기준이
우선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선수들이 흘린 땀에 대한 보상 기준을
메달 여부로 정하면 간편할 수는 있겠지만
개인이나 단체, 기록이나 격투 경기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다.
또 프로 스포츠가 발전한 인기 종목과
올림픽만을 바라보며 4년을 달려온
비인기 종목에 대한 보상을 천편일률적으로
하는 게 맞는지도 생각해볼 문제다.
무엇보다 몇몇 종목에 치우친 우리 올림픽
메달의 저변을 넓히려면 보상 체계를 시대
변화에 맞춰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황인찬 동아일보 논설위원
받은e-메일(관악산) 편집입니다!
2021.8.14.아띠할멈.().
http://cafe.daum.net/aznos
http://blog.daum.net/jamyung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