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병 환자의 자애명상 치료적 경험과정에 대한 연구
AQualitative Study about the Therapeutic Process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Patients with Hwa-byung
저 자 ; 조현주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김종우 송승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키 워 드 ; 자애명상 화병 근거이론 Loving-kindness meditation, Hwa-byung, Ground theory
아래의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초 록
본 연구는 화병 환자를 대상으로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자애명상의 치료적 경험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화병 환자 9명에게 자애명상 경험에 대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자애명상의 치료적 경험 과정은 103개의 개념, 30개의 하위 범주, 15개의 범주 및 패러다임으로 추출되었다. 중심 현상은 집착에서 벗어난 뒤 자애심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동기, 방해 요소와 극복 과정이 인과적 조건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행동의 영향력을 자각하고 질병에 대한 통찰, 중재조건이 수용적 태도와 자기의 재발견 그리고 작용․상호작용이 일상생활의 적용과 일상생활의 변화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화병 증상이 감소하고 긍정 정서가 증가하였으며 정서적으로 안정되었고 사고가 유연해지고 자존감이 증가하며 타인에게 너그러워지는 연결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을 통해, 자애명상의 치료적 경험 과정의 핵심 범주는 자애심으로 나타났다. 자애심은 명상 참여를 시작으로 명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집착에서 벗어나면서 일어났고 일상생활 적용과 자기 성장, 삶의 변화와 순환적으로 작용․상호작용하는 모델로 완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