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에서 신앙의 자유를 목적으로 신대륙에 건너온 청교도들은 Massachusetts 주 Cape Cod의 Provincetown에 기착했다가, 다시 미 본토 Boston 근교에 정박하여 그곳 이름을 그들이 떠나오던 영국 Wales 서남단에 있는 항구의 이름을 따서 Plymouth라고 하고 곧 신앙생활을 잘해나갔습니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그들의 손자 대에 와서는 무역이 발달하고 생활이 유복해지게 되자, 그들의 조상들이 가졌던 아름다운 개혁주의 신앙을 버리고 신앙이 해이해져서 교회마다 목사들이 “각 가정에서 가정예배를 꼭 드리도록” 독려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당시 New Jersey 주 Raritan Valley에서 목회하던 화란 개혁 교회 소속 Jacob Frelinghuysen(야곱 프릴링하이젠) 목사가 The Danger of an Unconverted Ministry(회개하지 아니한 목회의 위험성)이라는 제목의 설교로 많은 사람을 주 앞에 되돌아오게 하였는데 이것이 제1차 각성운동의 시초이고, 당시 Massachusetts 주 Northampton에서 외삼촌 Samuel Stoddard 목사를 돕다가 외삼촌이 1729년 세상을 뜨자 담임 목사로 목회하던 Jonathan Edwards 목사는 교회에서 성찬식에 참여하는 자격문제로 교회 지도자들과 마찰이 생겨 교회를 강제로 사임하게 되었는데, 그 마찰의 내용은 성찬식에 회개한 사람만 참여케 하자는 것이 에드워즈 목사의 주장이었으나, 장로됼의 주장은 주초를 금하고 교회에 잘 출석하면 그것으로 성찬식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주자는 것이었다. 물론 장로들이 잘못이었다.
에드워즈 목사는 Northampton 교회를 1750년에 사임하고 Stockbridge라는 마을로 사역지를 옮겨 인디안들을 대상으로 전도하다가 그때 막 시작된 프린스톤 대학의 교장으로 1757년에 발탁되었으나 갈 마음이 없어서 수락을 연기해 오다가 1758년에 부임하였는데, 부임한지 한 달 만에 천연두(마마병) 예방약 주사 후유증으로 1758년 55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는 프린스톤 근처 묘지에 누워서 부활의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13살 때 그 어려운 히브리어, 헬라어, 라틴어를 통달한 수재인 그는 예일 대학을 졸업하고 예일 대학 강사로 부임하여 활동한 수재였고, 당시 영국에서 건너와서 순회 전도하던 George Whitefield 목사와도 가까운 사이었는데 Whitefield 목사는 목소리가 우렁차니 옥외 집회를 주로 인도했고 에드워즈 목사는 주로 실내 집회를 인도했습니다.
에드워즈 목사는 1741년 7월 8일 오전 11시 Connecticut 주 Enfield 라는 작은 마을에서 행한 설교로 유명한데, 이때가 제1차 각성의 불이 붙을 때였으며 아직 프린스톤 대학의 교장으로 임명되기 전입니다. 그날 1741년 7월8일 Enfield 회중교회는 목사가 결석으로 설교할 목사를 찾고 있었는데 (pulpit supply) 여러 목사에게 부탁해 보았으나, 여의치 않아 마지막으로 Edwards 목사에게 부탁했던 수락을 받았습니다. Edwards 목사는 설교 청탁에 응하여 그날 신명기 32:35절 한 절을 가지고 “A Sinner in the Hands of an Angry God(진노하신 하나님의 손아귀에 들어 있는 죄인)”이라는 제목으로 설교했는데, 40분 가랑의 설교 분량이었으나 회중이 설교를 들으면서 너무 울어서 한 시간 넘게 설교가 계속되었다는 실화가 있습니다.
그 설교의 내용은 처음서부터 “지옥의 불길이 우리를 삼키려고 하는데 언제까지 세상의 연락만 즐길 것인가? 우리가 아직 살아있는 것은 회개할 기회를 주시기 위한 하나님의 사랑이며, 하나님의 그 ‘사랑의 끈’을 놓으면 우리는 지옥에 들어가 영원토록 고생한다”는 내용으로 일관했고, “롯의 처를 생각하라”로 끝을 맺었습니다. 이 설교는 너무 유명해서 물론 “요나단 에드워즈 전집”(2권)에도 수록되었지만 별도로 이 설교만 출판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New Jersey 주의 Phillipsburg에 있는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흔히 P&R 이라고 부름)에서 $2에 팔리고 있고, 한국어 번역판은 책방에서 $8에 팔리고 있습니다. On-line으로 듣기 원하는 분은 www.ltbs.com에서 Jonathan Edwards를 click하여, 그 제목을 찾으면 그 설교를 원문 그대로 들을 수 있습니다(물론, Edwards 목사의 음성은 아님).
이로 인하여, Massachusetts에서 남으로 New Jersey까지 모두 부흥의 불길이 일어났습니다. 가는 곳마다 회개의 물결이었습니다. 학교에서 나루터에서 일터에서 사람들은 가슴을 치며 회개했습니다. 이와 같은 부흥의 물결 속에 영국에서 건너온 William Tennent 목사는 신학생을 양성할 목적으로 Pennsylvania 주 Philadelphia에서 New York으로 가는 도상에 있는 Neshaminy라는 마을에 Log College (통나무대학)을 만들어 자기 아들 셋과 이웃 동리 청년들을 모아놓고 신학을 가르치면서 학교를 운영했습니다. 그러니까 이것이 미국의 최초의 신학교인 셈입니다. 그는 신학 실력이 대단한 개혁주의 목사이며 학자로서 통나무 대학 학생들에게 혼자서 성경 신학, 조식 신학, 교회사, 실천 신학, 및 성경 원어 등을 가르쳤습니다. 이유는 다른 사람에게 이것 저것 가르치게 하면 개혁주의 교리가 오염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어려워도 혼자서 모든 학문을 개혁주의 신학으로 가르쳤습니다. 그의 아들 Gilbert Tennent도 거기서 공부했습니다.
학생 수가 수용할 수 없으리만큼 많아지게 되자 William Tennent 목사와 그의 아들 Gilbert는 몇몇 유지들과 및 통나무 대학 졸업생들과 함께 New Jersey 주 Elizabethtown에 College of New Jersey (뉴져지 대학)을 1746년에 설립했는데 물론 목사 양성기관이었습니다. 이 학교는 후에 Princeton이라는 아담한 마을로 이사했고 그 지명을 따서 Princeton College였다가 학교 설립 후, 100년 만인 1846년에 Princeton University(프린스톤 대학교)가 되어 오늘에는 세계 대학 랭킹 제3위 라는 놀라운 학교로 발전했지만, 오늘에는 신학교가 아니고 일반 인문계를 비롯하여 종합 대학이라서 초기의 “신학 교육”과는 거리가 멀어진 것이 사실이며, 안타까운 것은 Elaine Pagels(에레인 페이절스)라는 교수가 공관복음을 영지주의 문서인 “도마복음 (기독교 초기의 영지주의 문서)”을 이용하여 수정하자고 주장하고 있으니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Elaine Pagels 저 Gnostic Gospels, New York: Vintage Press, 1988, 참고).
제1차 각성에 대하여 한 가지 부연할 것은 이 각성 운동으로 인하여 식민지 13개 주 백성들은 영국의 식민지로부터 독립하려는 애국심이 우러나서 드디어 “아메리카 독립전쟁”이 시작되어, 결국 1776년 미합중국이 영국의 식민지의 멍에를 벗고 독립하게 되었는데 독립 선언은 Philadelphia의 Independence Hall (독립관)에서 1776. 7. 4에 이루어졌고 이를 기념하여 독립관 앞에는 “자유의 종 Liberty Bell”이 지금도 걸려 있음을 봅니다. 이때, 우리와는 신앙이 다른 Thomas Jefferson이 기초한 독립선언문에 서명한 사람 중에 유일한 기독교 목사가 있으니 이름은 John Witherspoon (존 위더스푼)목사인데, 그는 Scotland의 Glasgow에서 목회하다가 미국으로 건너와서 독립선언문에도 서명했고, 앞서 언급한 Princeton University의 교장도 지낸 바 있는데 지금도 Princeton University campus에는 그의 이름을 딴 “Witherspoon Hall”이 있어서 기숙사 건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1차 대각성 운동The First Great Awakening”은 1730년 경부터 1760년 경에 이르지만, 미국이 독립을 쟁취하고 백성들의 신앙이 다시 식어갈 무렵인 18세기 말부터 제2차 각성 운동이 일어납니다. 제1차 각성운동은 미국 동북부를 중심해서 일어났지만, 제2차 각성운동 The Second Great Awakening, 1787-1825은 미국 남부 Virginia 주 Kentucky 주에서 시작됩니다. 당시 Kentucky 주 Logan County에서 목회하던 James McGready(제임스 맥그리디, 1758-1817)라는 장로교 목사가 Virginia로 가는 도중 Camp meeting을 보고, 1787년부터 부흥운동이 시작되어 1825년 까지 계속됩니다. Virginia 주의 Hampden-Sydney College가 중심이 됩니다. 미국 독립 운동이후 해이해진 미국의 영적 각성운동입니다. 당시에는 영국에서 Deism(자연신교)이 들어오고 기독교의 회의론이 침투하여 학생들이 신앙이 해이해질 때였습니다.
이 무렵 동부에서는 Yale 대학에서 Timothy Dwight 총장이 시작했습니다. 그는 Edwards 목사의 외손자입니다(찬송가 246장 작사자). 제2차 각성운동의 불길은 Amherst, Dartmouth, William's College 등 대학 캠퍼스로 퍼져갔습니다.
McGready 목사가 Kentucky에서 Virginia로 말을 타고 가다가 여기저기에서 사람들이 통나무로 집회 장소를 만들어 놓고 성경공부하고 설교하며 회개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이때 주역들은 Samuel J. Mills, Adoniram Judson, John Roge, Archibald Alexander 등 목사들입니다
이들 중 Samuel Mills 목사는 신병으로 고생하면서 자신은 선교사로 나가지 못했으나 친구들을 선교사로 보냈고, 자신은 미국에 남아서 미국 중서부와 동부를 말을 타고 돌면서 성경을 못 가진 동리가 얼마나 되는지, 교회의 수가 얼마나 되는지, 목사의 수는 어디에 얼마나 되는지 등 철저히 조사하여 성경 보급에 주력하기 위해 미국 성서공회 (American Bible Society)를 조직하고, 또한 성경 공부를 강화하기 위하여 American Sunday School Union(미국 주일하교 연합회)를 조직한 분입니다.
1809년 당시 미국에서 유일한 장로교단이었던 “미 합중국 장로교단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CUSA의 1809년 총회에서 신학교를 세우자는 안이 통과되었는데, 설립 방법에 대한 세 가지 안이 있었습니다. 그 ”세 가지 안“ 이란
1) 남과 북에 각각 한 개씩 신학교를 설립하자.
2) 각 노회 마다 한 개씩 신학교를 설립하자.
3) 중앙에 한 개 강력한 신학교를 설립하여 모두가 지원하자.
라는 등 세 가지 안이 agenda로 놓였는데, 당시 PCUSA 총회는 만장일치로 제3의 안, 즉 중앙에 강력한 신학교 한 개를 설립하자는 안에 합의하여 1812년 드디어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프린스톤 신학교)가 설립되었습니다. Princeton 신학교를 설립하는 데는 Samuel Mills 목사와 Archibald Alexander 목사의 활동이 지대합니다. 이들은 제2자 각성의 주요 지도자였습니다. Adoriam Judson 도 제2차 각성운동에 활동을 많이 한 주역이었지만 프린스톤 신학교 설림과는 관계가 없는 침례교 목사였습니다. 제2차 각성운동 때는 장로교만 아니라 침례교, 감리교 교인들이 많이 호응하여 활동을 많이 했습니다.특히 침례교 목사들은 나중에 1910년 자유주의가 미국에 상륙할 때 가장 앞장서서 근본주의를 지켜 나간 분들입니다. 1910년에 나온 근본주의 교리집 (The Fundamentals, James Orr 편집)에서 침례교 목사들이 글을 많이 썼습니다.
언급하신 Charles Finney (1792-1875)는 미국의 부흥사이며, 당시 D. L. Moody는 William Sunday 등과 같이 부흥운동을 인도하던 사람들이지만 제2차 각성을 직접 주도한 사람들은 아닙니다. 많은 목사들은 Finney 목사를 대단하게 여기지만 신학을 아는 분들, 특히 개혁주의를 신봉하는 분들은 그의 신학을 “돛대 없이 표류하는 배”로 여깁니다. 일정한 신학체계가 없으며 마치 Billy Graham처럼 “회개하고 예수 믿으십시오”식의 전도였습니다. 1825년에 목사로 안수 받은 Finney 목사는 1935년부터 Ohio 주 Oberlin 대학에서 가르쳐면서 Oberlin 신학을 정립했는데 그는 “완전주의” 를 주장했습니다. “완전주의, Perfectionism"에 대해서는 B. B. Warfield 의 Perfectionism 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완전주의”는 John Wesley가 쓴 The Plain Account p.67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하나님이 율법을 주신 것은 지키라고 주신 것이니 지켜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율법을 인간이 지킬 수 있는 경지까지 격하하여 지켜서 이 세상에서 성도는 죄를 안 지을 만큼 성화된다고 가르치는 교리이다. 옛날 프린스톤 신학교의 교수였던 Warfield 교수는 그의 "완전주의‘ 라는 책에서 이를 신랄하게 공격합니다. Finney 목사는 "human autonomy (인간 자유의지)"를 주장하는 분이며 칭의의 개념이 개혁주의 신학과는 거리가 먼 분입니다.
제2차 각성운동은 주로 교육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래서 “미국성서공회”나 “미국 주일학교 연합회”도 만들어 열심히 성경교육에 치중했고 Samuel J. Mills 과 다른 지도자들의 영향으로 신학교도 많이 서게 되었는데 프린스톤 신학교(1812)을 비롯하여, Columbia 신학교 (Columbia, South Carolina), Moody 성경학교 (Chicago, Illinois), MaCormick 신학교 (Chicago, Illinois), Union 신학교 (Richmond, Virginia) 등이 모두 제2차 각성운동의 결과로 생겨난 신학교 들입니다. 그러나 오늘에 와서는 소위 Contemplative Spirituality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어서 식자들간에 큰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져 갑니다.
이제 제3가 각성운동이 일어날 때가 무르익었지만, 제3차 각성운동은 일어날 수 없으리만큼 교회가 타락하여 하나님의 마지막 진노의 날만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지금은 깨어서 기도하며 “속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 교회의 문제는 “전에 없던 속임수 Unprecedented Deception"입니다. 이제, 이 땅에서 제1차 각성이나 제2차 각성 같은 운동은 없습니다. Postmodernism 시대에 살아가는 성도는 하나님의 진노를 받기에 합당하도록 하나님을 버리고 세속신앙과 인본주의 신학을 따르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 깨어서 기도하십시다.
지금은 분별력을 길러 그럴사한 사이비 신앙운동에 넘어가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사탄은 부리가 있는 것도 아니고 빨간 망토를 입거나 긴 꼬리가 달렸거나 머리에 뿔이 난 것이 아니라 유명한 “대형 교회를 목회한다는 목사", ”유명한 부흥강사“, ”유명한 신학교 교수“, ”교계를 주름잡는 유명한 신학교 교장“ 등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어느 유명한 목사가 어떤 가르침을 준다고해서 절대로 비판없이 따라가서는 자신의 영혼을 망칩니다. 사탄은 이런 사람들에게 미혹의 영을 부어 이들을 통해서 많은 성도들을 미혹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아시기 바랍니다. 본 선교회의 사명은 성도들에게 “영적 분별력”을 길러 주어 사탄의 올무에 걸려 들지 않게 하려는 목적으로 강의, 세미나, 테입제작, 인터넷 방송 등으로 사역하고 있습니다. 분별력 있는 여러분의 기도를 바랍니다.
참고 서적:
Douglas, J.D.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Christian Church. Grand Rapids, Mich: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78.
Loetscher, Leffert A Brief History of Presbyterians. Louisville, Ky: Westminster Press, 1958). 한국어 번역판 은 김남식 역, 세계장로교회사 (기독교 서점에서 구입가능)
Noll, Mark A.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Grand Rapids, Mich.: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1992.
Reid, Daniel G. ed. Dictionary of Christianity in America. Downers Grove Ill.: IVP, 1990.
* 이상의 글은 인터넷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