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과 권상연, 호남의 사도 유항검 등이 처형된 곳
전주 전동 성당 맞은편에 위치한 풍남문(豊南門)은 당시 풍남문 밖 처형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았던 죄인들의 목을 그 문 위에 걸어 두어 지나다니는 이로 하여금 두려움에 떨도록 했던 곳이었다. 한국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과 권상연, 호남의 사도 유항검 등이 처형되고 그 목을 매달았던 거룩한 곳이다.지금은 전주 지역 시민들에게도 잊혀 가고 있는 풍남문은 당시 목을 걸어야만 했던 역사의 뒤안길이다.
호남의 사도 유항검(柳恒儉, 1756~1801, 아우구스티노)과 그의 동료들이 복음 전파에 온 힘을 쏟고 있던 1790년경, 조선의 천주교인들에게는 처음으로 큰 시련이 닥쳐왔다. 천주교의 전례와 유교 의식간의 충돌이라 할 수 있는 제사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소위 ‘진산 사건’으로 알려진 한국 교회 최초의 순교사가 시작됐다.
윤지충(尹持忠, 1759~1791, 바오로)은 고산 윤선도(尹善道, 호 孤山, 1587~1671)의 6대손으로 전라도 진산에서 태어났다. 25세에 진사에 급제하고 장래가 촉망되는 선비였으며, 권상연(權尙然, 1751~1791, 야고보)은 안동이 고향으로 문학과 윤리를 공부하다가 고종 사촌인 윤지충에게서 교리를 배워 충실히 실천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윤지충은 1791년(신해년) 5월에 모친상을 당하자 외종형 권상연과 상의한 후, 모친의 유언과 교회의 가르침을 따라 유교식 조상 제사를 폐지하였다.
이는 숭유정책(崇儒政策 : 유교를 숭상하는 정책)으로 유교가 국교이다시피 하고, 조상에 대한 제사가 양반가를 유지하는 골격을 이루는 사회에서 폐제분주(廢祭焚主: 제사를 폐하고 신주를 불태움)라는 엄청난 사건을 일으킴으로써 우리 역사에 커다란 충격을 몰고 왔다. 그 후 전통 사상을 거스르는 이 행위는 천주교 박해의 구실이 되었고 12월 8일 윤지충과 권상연이 참수, 한국 교회 최초의 참수형 순교자로 기록되었다.
참수된 목은 9일 동안 전주 풍남문에 내걸렸다. 정조 임금은 그들이 순교한 지 9일만에야 시체를 거두어 가도록 허락하였는데 12월 혹한에도 응고되지 않은 선혈로 이때 흘린 그분들의 숭고한 피는 죽어가는 사람들을 살리는 등 많은 기적과 일화를 남겼다. 이렇게 해서 한국 천주교회의 첫 참수 순교자가 탄생하였다.
그리고 신유박해 때인 1801년 9월 17일에는 전라도에 처음 복음을 전파한 유항검과 그의 아우 관검(柳觀儉, 1768~1801, 세례명은 미상), 윤지헌(尹持憲, 1764~1801, 프란치스코)이 능지 처참형을 당하였고, 김유산(金有山, 1760~1801, 토마스)과 이우집(李宇集, 1762~1801, 세례명 미상)은 참수형을 당하였다. 특히 정부는 유항검의 목을 풍남문 누각에 매달아 백성들에게 경각심을 갖도록 하였으니, 풍남문은 이들의 피가 서린 곳이다.
■ 한국 교회 첫 순교자 윤지충·권상연·윤지헌 복자의 유해 발견
-전주교구, 초남이성지에서 복자 3위 유해 발견 -
한국 교회 최초의 순교자인 복자 윤지충(1759~ 1791) 바오로와 권상연(1750~1791) 야고보의 유해가 발견됐다. 순교한 지 230년 만이다. 윤지충의 동생인 복자 윤지헌(1764~1801) 프란치스코의 유해도 발견됐다.
1791년 신해박해 순교자 3위의 유해가 최근 전북 완주군 초남이성지 바우배기 구 유항검(아우구스티노, 1756∼1801) 가족묘역에서 발견돼 한국 천주교회에 크나큰 기쁨과 감동을 안겼다. 세 복자의 유해가 발견되기는 각각 230년, 220년 만으로, 이로써 124 위 복자 중 묘소와 유해가 확인된 복자는 18위(14.5%)에서 21위(19.9%)로 늘어나게 됐다.
전주교구장 김선태 주교는 2021년 9월 1일 ‘한국 최초의 순교자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 신유박해 순교자 복자 윤지헌 프란치스코 유해의 진정성에 대한 교령’을 발표, 이번 발견된 유해들이 “한국 최초의 순교자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 신유박해 순교자 윤지헌 프란치스코의 유해”라고 선언했다.
복자들의 유해는 2021년 3월 11일 전주교구 초남이성지가 유항검의 일가의 원묘지터인 바우배기(전북 완주군 이서면 남계리 169-17)를 성지로 개발하기 위해 바우배기의 무연고분묘를 개장하면서 발견됐다. 개장과정에서 순교자로 추정되는 유해와 순교자의 이름이 적힌 백자사발지석이 출토됐다.
이에 전주교구는 교회법적 절차에 따라 유해를 발굴하고, 유해 관련 사실 확인과 조사과정에 들어갔다. 특히 교구는 유해에 대해 치아와 골화도를 통한 연령검사, 해부학적 조사, 유전자검사를 실시하고 출토 유물에 대해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하는 등 과학적 검증을 실시했다. 더불어 교회사 문헌과 구전 등 여러 교회사적 정황증거를 통해 유해의 진위를 검토했다.
■ 초남이 성지 교리당에 윤지충·권상연·윤지헌 복자의 유해 안치
한국 최초의 순교자 복자 윤지충(바오로)과 복자 권상연(야고보), 신유박해 순교자 복자 윤지헌(프란치스코)의 유해가 2021년 9월 16일 초남이 성지 교리당에 안치됐다. 이어 24일 전주교구는 초남이성지 교리당 나눔의 집에서 유해 진정성에 관한 보고회를 진행, 이번 유해 발굴과 감식의 과정과 내용을 알렸다.
■ 순교자
◆ 복자 윤지충 바오로 (1759∼1791년)
윤지충(尹持忠) 바오로는 1759년 전라도 진산 장구동에 거주하던 유명한 양반 집안에서 태어났다. 1801년의 신유박해 때 전주에서 순교한 윤지헌(프란치스코)은 그의 아우이다. 본래 총명한데다가 품행이 단정하였던 바오로는 일찍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1783년 봄에는 진사 시험에 합격하였다.
이 무렵 고종 사촌 정약용 형제를 통해 천주교 신앙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1787년 인척인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게 되었다. 이후 그는 어머니와 아우 윤지헌, 이종 사촌 권상연(야고보)에게도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게 하였다. 또 인척인 유항검(아우구스티노)과 자주 왕래하면서 널리 복음을 전하는 데 노력하였다.
1790년 북경의 구베아 주교가 조선 교회에 제사 금지령을 내리자, 바오로는 권상연과 함께 이 가르침을 따르기 위해 집안에 있던 신주를 불살랐다. 또 이듬해 여름 어머니(즉 권상연의 고모)가 사망하자 유교식 제사 대신 천주교의 예절에 따라 장례를 치렀다. 이는 어머니의 유언이기도 하였다.
이 소문은 조정에까지 전해져 윤지충과 권상연을 체포해 오라는 명령이 진산 군수에게 내려졌다. 체포령 소식을 듣고 윤지충은 충청도 광천으로, 권상연은 충청도 한산으로 피신하였다. 그러자 진산 군수는 그들 대신 바오로의 숙부를 감금하였고, 이러한 사실을 전해들은 그들은 즉시 숨어 있던 곳에서 나와 진산 관아에 자수하였다. 그때가 1791년 10월 중순경이었다.
진산 군수는 먼저 그들을 달래면서 천주교 신앙을 버리도록 권유하였으나 그들의 마음을 돌릴 수 없다고 생각하여 전주 감영으로 이송토록 하였다. 전주에 도착한 그들은 이튿날부터 문초를 받기 시작하였으나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전주 감사는 할 수 없이 조정에 보고하여 처형의 윤허를 받았다. 1791년 12월 8일(음력 11월 13일) 바오로와 권상연은 전주 남문 밖에서 ‘예수 마리아’를 부르면서 칼날을 받았다. 당시 그의 나이는 33세였다.
◆ 복자 권상연 야고보 (1751∼1791년)
권상연(權尙然) 야고보는 1751년 진산의 유명한 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본래 그는 학문에 정진해 오고 있었으나, 고종 사촌 윤지충(바오로)으로부터 천주교 교리를 배운 뒤에는 기존의 학문을 버리고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여 입교하였다.
그때가 1787년 무렵이었다. 이후 그는 교리를 실천하는 데만 열중하였다. 그러다가 1790년 북경의 구베아 주교가 조선 교회에 제사 금지령을 내리자, 윤지충과 함께 이 가르침을 따르기 위해 집안에 있던 신주를 불살랐다. 또 이듬해 여름 고모(즉 윤지충의 어머니)가 사망한 뒤에는 천주교의 예절에 따라 장례를 치렀다.
이 소문은 조정에까지 전해져 체포령이 내려져 권상연은 충청도 한산으로, 윤지충은 충청도 광천으로 각각 피신하였으나 그들 대신 윤지충의 숙부를 감금하자, 그들은 즉시 숨어 있던 곳에서 나와 진산 관아에 자수하였다. 진산 군수의 설득과 회유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태도가 조금도 변하지 않자, 전주 감영으로 이송토록 하였다.
전주 감영에 도착한 그들은 이튿날부터 문초를 받기 시작하였다. 조정에서 사형 판결문이 전주에 도착하자 감사는 즉시 야고보와 윤지충을 옥에서 끌어내 형장으로 정해진 남문 밖으로 끌고 갔다. 그는 이때 초죽음이 된 상태였으면서도 이따금씩 ‘예수 마리아’의 이름을 불렀다. 형장에 이르자, 윤지충이 먼저 칼날을 받았다. 이어 야고보도 ‘예수 마리아’의 거룩한 이름을 부르면서 칼날을 받았으니, 때는 1791년 12월 8일(음력 11월 13일)로, 당시 그의 나이는 41세였다.
◆ 복자 유항검 아우구스티노 (1756∼1801년)
1754년 전주 초남(현 전북 완주군 이서면 남계리)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난 유항검 아우구스티노는 1784년 한국 천주교회가 창설된 직후에 천주교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전라도 지역 최초의 신자가 된 것이다. 1801년에 순교한 유중철(요한)과 유문석(요한)은 그의 아들이고, 그 다음해에 순교한 이순이(루갈다)는 그의 며느리, 유중성(마태오)은 그의 조카이다.
그에게 교리를 가르쳐 준 사람은 경기도 양근의 인척 권일신이었다. 이내 이승훈(베드로)에게서 세례를 받은 뒤 고향으로 내려와 복음을 전하기 시작하였다. 가족과 친척은 물론 그의 집에 있던 종들도 모두 그의 전교 대상이 되었다.
1786년 봄에 가성직제도하에서 그도 전라도 지역의 신부로 임명되었음이 거의 확실하다. 이후 그는 고향으로 돌아와 신자들에게 성사를 주거나 그들을 모아놓고 미사를 집전하였다. 그러나 얼마 뒤에 지도층 신자들은 이러한 행위가 독성죄에 해당된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따라서 그는 자신의 성무 활동을 중단하였다.
1801년의 신유박해가 일어나게 되었다. 박해가 일어나자마자 그는 전라도 교회의 우두머리로 지목되어 가장 일찍 체포되었다. 그는 전주에서 포도청과 형조, 의금부를 차례로 거치면서 문초와 형벌을 받고 그에게 모반죄를 적용하여 처형하도록 하였고, 이러한 판결에 따라 그는 전주로 옮겨져 10월 24일(음력 9월 17일) 남문 밖에서 순교하였으니, 당시 그의 나이는 46세였다.
■ 찾아가는 길
■ 순례지 정보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3길 1 (전동 83-4) 1, Pungnammun 3-gil, Wansan-gu, Jeonju-si, Jeollabuk-do |
지리좌표 | 북위 35°48′82.5″ 동경 127°08′86.6″ |
연락처 | 전동 성당 (063) 284-3222 FAX (063) 282-6232 |
홈페이지 | 전동 성당 http://jeondong.or.kr/ |
+
▲♡ 위 사진과 글 모두 ‘한국의 성지와 사적지'에서 옮겨 온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