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8K 'TV, 모니터, 재생기, AV리시버, 카메라, 인터페이스, 콘텐츠'까지 8K 생태계 기반은 모두 갖추어져 있지만, 온전한 8K 영상 구현을 위한 갈 길은 아직 멀다. 해서 항목별로 8K 생태계에 대한 현실을 짚어보고, 향후 8K 생태계가 개선해 나가야 할 방향을 짚어 보았다. |
▶8K 생태계 현 상용화 수준과 향후 개선 방향
구분 | 현 상용화 수준 | 향후 개선 방향 |
프레임/주사율 | 8K/60fps(Hz) | 8K/120fps(Hz) |
컬러비트 | 10bit | 12nit |
압축 코덱 | HEVC(H.265) | VVC(H.266) |
화면크기 | 65"/75"/85" | 120"내외 |
▶4K 대비 8K 가격
구분 | TV | 모니터 | 재생기 | AV리시버 | 카메라 | 인터페이스 | 콘텐츠 |
4K 대비 8K 가격 | 3배~ 고가 | 3배~ 고가 | 2배~ 고가 | 비슷 | 비슷 | 비슷 | 많이 부족 |
☞순서 1.TV 2.모니터 3.재생기 4.AV리시버 5.카메라 6.인터페이스 7.콘텐츠 1.TV 새로운 화질(HD/4K)의 TV가 첫 출시되고, 5년차에 대중확 시작이 되었다. 하지만, 8K TV는, 5년차가 되는 2023년에도 대중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8K 생태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것도 아닌데, 왜 8K TV는 대중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많은 분들이 8K TV가 대중화 되지 못하는 이유로, 8K 콘텐츠가 없기 때문이라고 하고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8K TV가 대중화 되지 못하는 진짜 이유는, 8K TV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이러한 증빙은 4K TV로 확인이 가능하다. 10년이나 된 4K TV가 아직도 4K 콘텐츠 비중은 10%밖에 안 되지만, 4K TV는 5년 전부터 대중화가 시작되었다. 즉, 5년전 만 해도 4K 콘텐츠는 거의 없었지만, 4K TV 가격이 HDTV 가격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4K 콘텐츠 없이도 4K TV는 대중화가 시작되어, 2~3년 전부터는 HDTV는 찾기조차 힘든 실정이 되고 있다. 고로 8K TV 가격이 4K TV 가격 수준으로 떨어지면, 8K TV는 8K 콘텐츠와는 관계없이 대중화가 된다. 또한 현재 8K TV가, 4K TV처럼 65"/75"/85" 중심으로 상용화가 되면서, 8K TV 효용성이 크지 않아, 8K TV 대중화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즉, 온전한 8K 화질을 느끼려면, 8K TV 화면 크기가 120인치는 되어야한다는 점에서, 65"/75"/85"로 상용화 되고 있는 8K TV가, 비싼 가격에 비해 효용성이 크지 않다보니, 8K TV 대중화는 쉽지 않은 상황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럼 왜 TV제조사들은 8K TV를 비싸게 출시하는 것일까? 삼성D와 LGD가 LCD생산을 종료하면서, 삼성전자는 전체TV의 99%이상을, LG전자는 85%이상을 중국이나 대만산 LCD패널을 사용하여, TV를 출시하고 있다. 현실이 이러다보니 삼성전자-LG전자 TV가 같은 LCD패널을 사용한 저렴한 중국산 TV와 차별화가 사라지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OLED TV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8K OLED TV(77"/88")가, 생산량도 제한적이고, 가격도 아직 수천만원이나 하다 보니, 삼성전자와 LG전자는 4K OLED TV로 차별화를 하고 있는 것이다. 헌데, 문제는 8K LCD(LED/Mini LED) TV 가격이, 급이 떨어지는 4K OLED TV보다 저렴하면 문제가 되다보니, 삼성전자와 LG전자는 8K LCD(LED/Mini LED) TV 가격을 비싸게 판매하고 있는 것이다. 즉, 아무리 4K OLED TV의 화질이 좋다고 해도, 8K 화질은 구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급이 떨어지는 4K OLED TV를 구하기 위해 8K TV를 비싸게 판매하고 있는 것이다. 해서 8K LCD(LED/Mini LED) TV가 4K OLED TV를 판매하기 위한 제물이 되어, 8K TV가 의도적으로 비싸게 판매되면서, 출시 5년이 되도록 대중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8K LCD(LED/Mini LED) TV와 4K LCD(LED/Mini LED) TV간 원가 차이는 크지 않다. |
▶8K TV 출시 현황
유형 | LCD(LED/Mini LED) TV | OLED TV | ||
사이즈 | 55"/65"/75"/85"/98" | 77"/88" | ||
출시 | 2018년 | 2019년 | ||
인터페이스 | HDMI 2.1(48Gbps)-8K/60Hz | |||
가격 (2023년 최저가) | 사이즈 | 현 가격 | 대중화 가격 | 77" 1,750만원 88" 4,000만원 |
55" | 단종 | 70만원 (8K 모니터) | ||
65" | 374만원 | 100만원 | ||
75" | 530만원 | 150만원 | 가격인하 한계 | |
85" | 815만원 | 300만원 | ||
98" | 4,500만원 | 900만원 |
2.모니터 2017년 3월에 Dell이 2개의 DisplayPort 1.4 입력을 통해 8K 해상도를 구현하는 32" 8K 모니터(UP3218K)를 세계 최초로 출시하였다(현재 $3,769에 할인 판매). 이후, 2021년 CES 2021에서, 뷰소닉이 32" 8K 모니터(Color Pro VP3286-8K)를 공개는 하였지만($5,000), 제품은 아직 공식 출시되지 않고 있다. 샤프는 2021년에 32" 8K 모니터(8M-B32C1)를 출시하였지만, 가격이 초고가다. 물론 2023년 8월 현재 일본 내수 가격이 979,000엔(9백만원)까지 떨어졌지만, 그래도 아직은 고가다. 이 제품은 8K/60Hz로 연동하기 위해 HDMI 2.1(48Gbps) 1Port(DSC 미지원)와 HDMI 2.0 4Port(통합연결)가 있으며, 4K/60Hz로 연동하기 위한 HDMI 2.0 1Port와 DisplayPort 1.2 1Port가 있다. 최근엔 삼성전자가 4K 모니터 2대를 조합한 7680x2160(32:9) 해상도를 지원하는 Odyssey Neo G9 게이밍 모니터를 공개하면서, HDMI 2.1(48Gbps)과 DisplayPort 2.1(54Gbps)에 DSC를 지원하는 8Kx2K 모니터를 출시하면서, 인터페이스 만큼은 최신 성능을 내장하여, 8K 모니터 대중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32" 8K LCD(LED) 모니터 출시 & 공개 현황
회사 | Dell(델) | 뷰소닉 | 샤프 | |
모델명 | UP3218K | Color Pro VP3286-8K | 8M-B32C1 | |
출시 | 2017년 3월 | 2021년 CES공개 (공식 출시X) | 2021년 | |
인터페이스 | 8K | DisplayPort 1.4x2 | ? | *HDMI 2.1(48Gbps)x1 *HDMI 2.0 4Port(통합) |
4K | X | ? | *HDMI 2.0x1 *DisplayPort 1.2x1 | |
가격(최근) | $3,769 | $5,000 | 979,000엔 |
3.재생기 1)PC용 그래픽카드 2020년 8K TV 출시가 본격화되면서 PC용 그래픽카드의 출시도 본격화 되었다. 해서 그래픽카드는 8K 영상을 편집 재생할 수 있는 제품이 되었지만, 8K TV에 내장된 HDMI 2.1이 8K/60Hz의 한계를 넘지 못하면서, 그래픽카드의 출시는 8K 대중화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AMD가 DiaplyPort 2.1을 지원하는 그래픽카드를 출시하였지만, 그를 지원하는 8K 모니터가 없어, AMD의 DP 2.1지원은 더욱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2)미디어플레이어(OTT세톱박스) PC용 그래픽카드에 비해 2~3년 늦은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가 시작된 8K 미디어플레이어는 이제 시작이지만, 한계성도 그대로 보인다. 우선 8K/120Hz(fps)에 대응을 못한다는 것이고, 또한 8K 영상에 최적화된 최신의 코덱이라 할 수 있는 VVC9H.266)에는 아직 대응을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가격도 아직 대다수 20만원이상 고가라는 점에서, 8K 미디어플레이어(OTT세톱박스)rk 강할 길은 험난하기만 하다. |
▶8K 재생기 출시 현황
PC용 그래픽카드 (저가 기준) | NVIDIA | 지포스 RTX 3050 30만원 (2020년~ 출시) | HDMI 2.1(48/42.03Gbps) DiaplyPort 1.4(32.4/25.92Gbps) |
지포스 RTX 4070 80만원 (2022년~ 출시) | |||
AMD | 라데온 RX 6500 XT 20만원 (2020년~ 출시) | HDMI 2.1(40/35.02Gbps) DiaplyPort 1.4(32.4/25.92Gbps) | |
라데온 RX 7600 38만원 (2022년~ 출시) | HDMI 2.1(48/42.03Gbps) DiaplyPort 2.1(54/52.22Gbps) | ||
8K 미디어 플레이어 (OTT 세톱박스) | H96 Max V58(2023년 초 출시) | HDMI 2.1(48/42.03Gbps) 8K/60Hz, 10bit/4:2:0 HEVC(H.266)/VVC(H.265)/AV1//VP9 8K/60fps, 10bit/4:2:0 | |
SDM 8K Wi-Fi 6E S928X Box(23년) | |||
Ugoos AM8(Plus/2023년 9월 출시) |
4.AV리시버 최근 AV감상을 홈시어터를 통한 감상에서, 사운드 바를 활용한 감상이 늘면서, AV리시버 수요는 급격하게 퇴조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다 8K 영상을 지원하기 위한 HDMI 2.1 성능부족까지 더해지면서, 8K AV리시버 수요는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서라운드 음향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AV리시버+7.1.4ch 스피커'를 통한 홈시어터 시스템은 불가피한 현실이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부담(복잡/환경)과 사용의 한계(집안 거실에서 청취), 다소 비싼 가격과 어려움이 있더라도, 진정한 서라운드 음향을 위해 홈시어터 시스템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
▶8K AV리시버 출시 현황
구분 | 데논 | 마란쯔 | 야마하 | 온쿄 | 파이오니아 |
모델 | 10여종 | 10여종 | 6종 | 4종 | 4종 |
출시 | 2020년 | 2020년 | 2020년 | 2023년 | 2023년 |
가격(최근) | 40만원 | 75만원 | 60만원~ | 130만원~ | 130만원~ |
인터페이스 | HDMI 2.1(40/35.02Gbps) / HDMI 2.1(32/28.02Gbps) |
5.카메라 스마트폰이나 미러리스 카메라는 3~4년 전부터 8K로 촬영해서 자신만의 8K 영상을 볼 수 있다. 물론 아직은 대다수 8K/30fps, 8bit로 프레임과 색감이 다소 부족지만, 4K 영상보다는 낫다. 8K/30fps, 8bit의 8K 화질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다소 고급형인(500만원~) 8K/60fps, 10bit로 촬영이 가능한 미러리스 카메라를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정도면 8K방송 수준의 8K 화질을 느낄 수 있다. 8K 콘텐츠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나만의 8K 콘텐츠는 나만의 8K 시대를 열수 있을 것이다. 6.인터페이스 HDMI 2.1이 출시 된지도 언 5년 9개월이나 되었다. 8K에 초점을 맞추어 출시된 HDMI 2.1은, 4K에 주로 적용이 되면서, 8K는 반쪽만 지원하는 형국이 되고 있다. 헌데, 더 큰 문제는, HDMI 2.1의 부족한 성능이 언제 보완이 되어 온전하게 지원이 될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해서 HDMI 2.1에 대한 출시가 무의미해지면서, 이젠 회의론마저 제기가 되고 있다. 특히 HDMI 2.1이, 규격(표준)이 6가지나 되어, 이중 한 가지만 지원해도 HDMI 2.1로 인증을 해주어, 같은 HDMI 2.1 제품이라도 역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다 HDMI 2.1+DSC는, 아직 8K/120Hz를 지원하지 않고 있다. 또한 VESA 기준 DSC(Display Stream Compression/압축전송) 압축비가 8bit(3:10와 10bit(3.75:1(까지만 지원하고, 12bit는 지원하지 않고 있어, 더한 아쉬움을 주고 있다. |
▶8K 연동을 위한 ‘HDMI 2.1’ 상용화 현황
전송 모드 (규격) | 라인당 전송량 Gbit/s | 라인 수 (ch & Lane) | 총 전송량 Gbit/s | 코딩체계 (전송효율 /FEC포함) | 실 전송 데이터량 Gbit/s | 상용화 |
FRL1 | 3 | 3 | 9 | 16b/18b (87.56%) | 7.88 | *상용제품 없음 |
FRL2 | 6 | 3 | 18 | 15.76 | *일부 중소업체 TV eARC같은 HDMI 2.1 기능지원 | |
FRL3 | 6 | 4 | 24 | 21.01 | *일부 야마하AV Receiver | |
FRL4 | 8 | 4 | 32 | 28.02 | *PS5 | |
FRL5 | 10 | 4 | 40 | 35.02 | *TV/Xbox Series X *대다수 AV Receiver *AMD Radeon RX 6xxx시리즈 | |
FRL6 | 12 | 4 | 48 | 42.03 | *TV/모니터 *2020년 스카이워스-창홍 8K TV *2021년~ 삼성-LG 8K TV *NVIDIA GeForce RTX 30xx시리즈 |
7.콘텐츠 현재 상업용 8K 콘텐츠는 사실상 8K 방송인데, 일본과 중국만 8K방송을 하고 있어, 국내에서는 유튜브에 올려진 8K 콘텐츠를 감상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물론 8K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미러리스 카메라로 직접 촬영해서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미러리스 카메라 가격이 비싸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최근 출시된 갤럭시 S23의 경우 8K/30fps(S21/S22는 8K/25fps)까지 촬영이 가능하여, 자신만의 8K 영상을 직접 촬영해서 감상할 수 있다. 물론 화질아 프레임이 다소 부족함은 있지만, 가성비적으로는 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8K 영상 감상은, 8K TV에 내장된 USB단자를 통해 재생해서 감상을 하면 된다. 참고로 국내에서 그나마 나은 8K 콘텐츨ㄹ 구한다면, 유튜브에 KBS나 MBC, SBS가 얼려놓은 영상들을 8K로 감상하면, 좀 더 나은 화질로 8K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다만, 2022년 상반기까지는 유튜브에 올려진 8K영상을 원본 그대로 변환 없이 다운 받을 수 있었는데, 2022년부터 사실상 다운로드가 안 되고 있다. 해서 실시간 감상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 |
▶UHD방송 방식별 특장점 및 실시 여부
구분 | 미국식 | 유럽식 | 일본식 | 중국식 | |||||
한국 | 북미 | 지상파 | 위성 | 지상파 | 위성 | 지상파 | 위성 | ||
방식 (실시) | 4K | ATSC 3.0 | DVB-T2 | DVB-S2 | ISDB-T | ISDB-S3 | DTMB-A (8K실시/ 2021년) | - | |
2017년 | 2019년 | ? | 2018년 | 2025년 | 2014년 | ||||
8K | ATSC 3.0(MIMO) | DVB-T2X | DVB-S2X | 2023년 규격만 제정 | ISDB-S3 | ||||
? | X | ? | 2023년~ | 2018년 | |||||
프레임 | 60fps | 60fps | 120/60 | 60fps | 60fps | - | |||
컬러표준 | BT.2020 | BT.2020 | BT.2020 | BT.2020 | - | ||||
컬러비트 | 10bit | 10bit | 10bit | 10bit | - | ||||
셈플링 | 4:2:0 | 4:2:0 | 4:2:0 | 4:2:0 | - | ||||
HDR방식 | HLG | DV | HLG | HLG | HDR 10+ | - | |||
압축 코덱 | 영상 | HEVC(H.265) =SHVC | HEVC (H.265) | VVC (H.266) | VVC (H.266) | HEVC (H.265) | AVS3 | - | |
음향 | MPEG-H 7.1.4ch | AC-4 7.1.4ch | MPEG-H 7.1.4ch | MPEG-H & AC-4 56ch | MPEG-4 AAC 22.2ch | D-At/ DTS:X 7.1.4ch | - | ||
압축 (전송) 비트 레이트 | 4K | 16Mbps | 25Mbps | 25Mbps | 25Mbps | 35Mbps | ~35 Mbps | - | |
8K | 50+50= 100Mbps(?) | ? | ? | 50Mbps (검토 중) | 80~100 Mbps | ~100 Mbps | - | ||
다중화방식 | IP방식 | TS방식 | TS방식 | IP방식 | - | ||||
※복잡한 방송방식 규격을 세세히 표현하기 어려워,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수치는 평균치로 정리하였음. ※미국식은 위성 UHD방송에 대한 표준이 없어, 대다수 유럽식이나 일본식 표준을 사용한다. ※미국식은 UHD방송의 전송량(25Mbps)을 나누어, UHD 1ch+HD 2ch 정도를 함께 방송할 수 있는 MMS(다채널)방송을 실시하려고, UHD방송을 16Mbps로 낮추어서 방송을 하고 있어, 세계 최저수준의 UHD화질로 UHD방송을 하고 있다. |
▶8K 콘텐츠 제공 주요 사이트 1.8K 웹드라마 렛필름(8K 웹드라마)-'바이오옴므' 2.국내최초 8K 예능 SBS ENTER PLAY(스브스 예능맛집) 3.8K 뮤직 KBS kpop(K-Choreo 8K/뮤직캠프) MBCkpop(예능연구소 8K/음악중심) 스브스케이팝 / SBS KPOP 4.8K 다큐 8K VIDEOS ULTRA HD 5.기타 Samsung LG Global |
첫댓글 제목 그대로 8K에 관련된 생태계 현항을 누구나 알기 쉽게 그야말로 8K 입문서나 다름없이 체계적으로 총 망라 하여 다루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막연 하나마 일부 알고 싶은 부분만 관심을 두었었는데 운영자님의 일목요연 하게 올리신 글을 보고서는 나름 궁금 했던 모든게 정리된 느낌 입니다.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