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씨가 저희 XX대 건축대학원에 재학 중인지, 아니면 타 학교 건축전문대학원에서 재학하거나 출신이면서 현재 어떤 불이익을 당하고 계신지 잘 모르겠군요.
하지만 학부에서 건축을 전공하지 않은 분들의 궁금함에 대해 그리고 새롭게 가져야 할 자신감과 용기에 대해 아주 간단하게 언급합니다.
.
1) 한국의 건축사 협회에 질의하시는 것이 현재로는 무의미합니다.
일단 저희 학교 전문대학원이 지향하는 '국제 인증 면허'은 현재까지 적용된 국내의 건축사 제도를 넘어서는 새로운 환경의 국제적 면허임을 아셔야 합니다.
지금 국제적인 여건의 변화로 인해 어쩔수 없이 한국의 각 건축학과들이 5년제나 6년제로 서둘러 학제를 바꾸는 상황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대한 건축사 협회의 건축사 자격이 정하는 잣대로 전문대학원 출신의 미래를 설명듣기 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건축사협회, 학회, 건축가 협회라는 건축 관련 3단체들이 서로 자신들이 국제인증의 권리에 주도권을 잡기 위해 노력해 왔던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사실 이들의 의견불일치로 인해 아직 한국에 인증원이 준비되지 못했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제 (2003년 6월기점) 한국의 건축관련 3개 단체가 힘을 합해서 급히 한국건축단체연합(FIKA: Federation of Institutes of Korean Architects)를 결성하고 인증원의 설립을 추진한다는 소식은 아주 반가운 일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마음씨가 현존하는 건축사 협회에 질의한 것은 지혜롭지 못한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들로서는 새로운 국제 인증 건축사 자격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의견이 가질 수 없기 때문이죠.
그러니 현재의 한국건축사 시험을 관장하는 건축사 협회에 질의를 하면 그들은 마음씨가 확인한바대로 현재의 원론적인 대답을 할 뿐이죠.
.
2) 조속한 한국의 인증원의 설립과 전문대학원의 인증이 중요합니다.
그러면 언제 전문대학원이 인증받고 이곳 출신의 학생들이 국제 인증 건축사 자격으로의 접근이 가능한가가 하는 문제가 남는데요.
현재 한국내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가칭 : Korean Architectural Accredition Board)의 설립이 가시화되어가고 있으며 곧 각 학교들이 인증을 받기 위하여 애쓰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희 건축 전문대학원이 인증을 받게 되고, 여기서 3년 내지 3년반의 기간동안 인증기준에 합당한 제반 수업을 마친 학생들이 건축사 자격으로 접근하게 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
3) XX대 건축전문대학원은 인증 받기 위해 가장 잘 준비된 학교 중 하나 입니다.
인증을 받음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얼마나 적합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을 소화해 낼 인적, 물적 환경을 갖추는 일, 그리고 소정의 교육과정을 마친 학생에 적정한 퍼포먼스를 갖추는가 하는 것입니다.
XX대 건축전문대학원은 한국에서 가장 풍부한 교수진과 커리큘럼 그리고 현대식 전용교사를 이미 확보했습니다.
이제 좋은 학생들, 새로운 각오로 건축에 대한 열정을 불태울 학생들이 많이 합류한다면 한국에서 가장 힘있고 모범적인 건축전문대학원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학생은 미래의 염려보다 현재의 건축수업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해 가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미래는 건축사자격만을 담보로 일할 수 있는 시대가 더 이상 아니기 때문입니다.
첫댓글 마음님 수고해주심 감사.^^ 제게 어느 건축대학원인지 메일주시면 감사. 매우 감사.
저도 마음님의 근면과 열정에 깊이 감동했습니다. 가능하시다면 제게도 메일을..
제가 질문만 올리고 답을 찾기는 게을리 한 것 같은데요 ,, 님께서 부지런히 답을 찾아 주셨네요 음.. 감사합니다.. !!
저두 부탁^^
음, 비전공자도 가능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