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 일본-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많이들 했지만, 오늘날은 기피. 그러나 6촌 이상 결혼은 상대적으로 관대하다고 함
미국-유럽계 이민자들이 건너가서 세운 나라치고 일찍부터 사촌결혼에 부정적이었음.
근데 유럽계 이민자가 계속해서 유입되는 상황이라 그랬는지 사촌 결혼이 꾸준히 있어왔고
기존 미국인들은 괴짜 취급을 하긴 했어도 또 그렇게까지 경멸하진 않았음.
그러나 현대에 와선 경멸적인 시선이 훨씬 강해짐
아랍 및 서남아-사촌결혼이 자연스럽고 오히려 권장되는 문화.
얼마전 두바이 왕세자가 사촌과 결혼식을 함. 그리고 이 왕세자 부모님도 서로 사촌지간임

물론 아랍도 국가별 문화차이가 크긴 한데
보수적인 분위기가 많이 남은 나라일수록 사촌결혼에 관대한 편인듯. (심지어 권장)
그러고보면 보수라는것도 기준에 따라 달라지는듯ㅋ
첫댓글 아니 아 씨 아 에바 에바 참치 기각입니다 으어ㅗㅇ억 사촌이면 ㄹㅇ 찐으로 가까운 가족이잖어요,,,??? 오죽하면 가족만큼 가까운 이웃을 '이웃사촌'이라고 부르겠나고...?
삭제된 댓글 입니다.
헉 이것도 대박이다 ㄹㅇ
헐
게녀말도 납득하는데. 내가 사족을 쓴 이유는, 정말 기준에 따라 다르다 싶어서였어. 왜냐면 우리 조선 말기 여권이 바닥을 기었지만, 그렇다고 자기 아들 사촌혼 시킬바엔 자살하겠다는 선비 널렸을것. 이 당시 우리 여권의식 보면 사실 '현대' 아랍보다 더 낫다고 보긴 무리인데. 그래서 기준에 따라 다르다고 한것. 보수라는게 전통을 지키고 싶어하는 사람들인데, 그 전통이 나라마다 다르다는 얘기였어 ㅎㅎ
ㄹㅇ개끔찍해 우리사촌오빠랑 결혼..? 존나상상도못해
삭제된 댓글 입니다.
물론 위험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지는건 맞는데. 또 생각만큼 멸망 수준은 아닌것 같아. 그랬다면 아랍은 진작 멸망했어야..근친혼 역사도 수천년이 넘는데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아 그거 미란다 아님? 나도 충격 받았는디 그부분에서...
ㅇㅇ 영국작품서 나도 여러번 봄. 근데 저기 '커즌'이 6촌,8촌도 커즌이라..정확히 분류해서 말할수도 있는데 커즌으로 통칭. 6,8촌 말한걸수도 있어. 물론 우리기준엔 다 근친인데.
@sssharoni ㅇㅇ 나는 '한번의 장례식과 네번의 결혼식'이었나 거기서 봄. 서로 끌렸는데 6촌지간, 그럼 우린 슬퍼하잖아 파토난거고ㅋ 근데 반가워하면서 결혼식 하길래 엥? 했지
아랍(이슬람권)은 첫결혼이 거의 정략혼이니깐 친척파벌들간에 동맹 느낌나더라
우리나라는 겹사돈도 그렇게 좋게 안 보잖아 근데 사촌이랑 결혼하자고 하면 ㄹㅇ...
걔네도 겹사돈은 꺼려해 골드만삭스랑 로스차일드 자식이 결혼했는데 사돈끼리 눈맞았다가 원커플이 불륜문제로 파토나고나서야 눈맞은 사돈끼리 결혼하더라고(근데 원래 커플이 건재할땐 썸있는 애들이 우리 썸있는거 아니라고 엄청 강조했었음) 원래 커플이 이혼하니까 썸소문돌던 애들 결혼하더라
@갓다귀킹장국 ㅇㅎ 그렇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