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udi Arabia를 포함한 UAE 등 중동 산유국에서는 모든 석유자산이 왕족 소유로 막대한 부를 왕족들의 몫이다.
마찬가지로 모든 국책사업에 있어서도 어느 해외 업체도 이들과의 거래에 있어 테이블 밑에 감춰진 Rebate Rule(할인규칙), 즉 이들 중동국가에서 발주하는 모든 국책사업에는 Rebate Rule의 적용을 받는다.
예를 들어 총 사업비가 50조 원이면 여기에 그들이 요구하는 Rebate로 20조 원을 얹어 총 사업비 규모가 70조로 부풀려지는 것이다.
국책사업 수주국은 총 사업비 가운데 Rebate 20조를 덤으로 받았다 나중에 다시 돌려주는 것이 Rebate Rule로 실제로는 발주국이 자신들의 돈을 사업자에게 임시로 맡겼다 찾아가는 것으로 사업수주 시행자(국가 및 사업주체)와는 무관한 돈이다.
이번 문재인 정부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완성한 4대강 사업을 이미 적폐로 규정하고 더불어 UAE원전사업 관련해 검은(?) 거래(Rebate)가 있었을 것이다,라는 가정하에 어떻게 해서든 이명박 전 대통령을 엮으려했던 것인데 아마추어 정부의 무모함이 대한민국과 경제를 한꺼번에 헤어나올 수 없는 중동의 시궁창으로 몰고간 상황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최측근으로부터 첩보를 전달받고 이미 몇달전 UAE를 방문해 국왕과 측근에게 긴급상황을 알렸고 오랜 국제간 거래의 금기를 깨려는 문재인 정부에 대노하고 폭발한 것이 이번 "UAE원전사태"의 본질이다.
중동회교국들은 형제국가로 모든 부가 왕족에게 집중돼 있다. 사우디 국왕 일가의 재산이 수백 조 규모로 모든 왕족이 부를 독점하고 있다.
이들의 부는 석유수출과 함께 국책사업에서 창출되는 합법적인 Rebate Rule에서 나오는데 이를 건드린다는 것은 휘발유통을 안고 불속으로 뛰어드는 꼴이다.
좌파 문재인 아마추어 정부가 착각한 것이 소위 말하는 Rebate즉, 생산자와 소매점(발주자와 시공자) 사이에 거래, 즉 구매량을 늘려주면 5% Rebate를 더 준다는 일반 상거래 관례를 UAE에 적용시킨 것이 문제의 발단이다.
큰형님 Saudi Arabia를 중심으로 하는 중동회교국 공동체는 대한민국에게 등을 돌렸다. 한국정부와 회교국 간에 쌓아 올린 근 50년의 유기적인 관계를 문재인 정부 6개월만에 말아먹게된 것이다.
국내 최초로 1973년 삼환기업의 고 최종환 회장이 건설로 개척한 중동시장을 한 방에 말아먹게된 것이고 또 이명박(UAE 원전 계약), 박근혜(원전건설 시공식 참가) 정부의 "공든탑"을 부셔버린 것이다.
문재인 정부들어서고 국제원전 입찰에서 기술 및 안전분야에서 우리보다 못한 일본, 중국에게 번번히 고배를 들고 있다.
영국 Moorside 원전사업은 우리보다 적은 금액을 써 낸 중국을 버리고 우리를 택한 것은, 바로 영국이 가상 적국으로 분류한 중국에게 미래의 국가적 위험(중국과의 전쟁, 분쟁 등)을 감수하면서까지 국가에너지 정책을 맡길 수 없어 한국을 택한 것이다
정작 앞으로가 문제다.
1. 석유공급 축소, 중단 및 가격담합 2. 국책 및 공공사업 한국참여 배제 3. T-50 고등 훈련기, K9자주포 및 K2전차 구입 상담 중단 4. 경제협력 중단 5. 문화, 체육을 포함한 인적교류 중단 UN등 국제기구에서의 한국관련 협조 중단 등으로 이어질 것 등이다.
☞좌파 문재인 정부를 하루라도 빨리 끌어내려야 이번 UAE관련 중동문제가 그만큼 빨리 해결되고 나라도 살게 된다.모셔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