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형의 열대폭풍 (KMA) | ||
---|---|---|
열대폭풍 (JMA) | ||
1등급 태풍 (SSHS) | ||
![]() ![]() | ||
활동 기간 | 3월 29일 ~ 4월 2일 | |
최저 기압 | 998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20m/s |
JMA | 20m/s (40kt) |
2012년 제1호 태풍 파카르(PAKHAR)는 3월 29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6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5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호치민 동남동쪽 약 6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그 후 3월 30일경 998hPa, 21m/s로 발달했고 4월 1일 베트남에 상륙하고 육지와의 마찰로 약화되어 4월 2일 오전 9시에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파카르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메콩강에서 서식하는 물고기를 의미한다.
제2호 태풍 상우
중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 ||
---|---|---|
강한 열대폭풍 (JMA) | ||
1등급 태풍 (SSHS) | ||
![]() ![]() | ||
활동 기간 | 5월 22일 ~ 5월 28일 | |
최저 기압 | 975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32m/s |
JMA | 30m/s (60kt) |
2012년 제2호 태풍 상우(SANVU)는 5월 22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9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서쪽 약 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북서진하면서 더디게 발달하다가 5월 25일에 전향하고 북동진하면서 5월 25일 오후 9시에 일본 도쿄 남쪽 약 1,3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1m/s, 강풍 반경 310km, 크기 '중형'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발달하였다. 그 이후 북동진을 계속하면서 빠르게 약화되었고, 5월 28일 12시에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1,300km 부근 해상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하였다. 상우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산호를 의미한다.
제3호 태풍 마와르
중형의 강한 태풍 (KMA) | ||
---|---|---|
대형의 강한 태풍 (JMA) | ||
3등급 태풍 (SSHS) | ||
![]() ![]() | ||
활동 기간 | 6월 1일 ~ 6월 6일 | |
최저 기압 | 960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38m/s |
JMA | 40m/s (75kt) |
2012년 제3호 태풍 마와르(MAWAR)는 6월 1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9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4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6월 2일 오후부터 전향해서 북동진을 하며 발달을 시작해 6월 4일 오전 3시에 일본 오키나와 남남서쪽 약 6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0hPa, 최대풍속 39m/s, 강풍 반경 520km(남동쪽 반경)의 '강'한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그 이후로는 계속 북동진하면서 서서히 약화되어 6월 6일 오후 3시에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460km 부근 해상에서 976hPa의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하였다. 반면 한국 기상청은 6월 6일 오후 3시에 990hPa의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했다고 발표하였다. 마와르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장미를 의미한다.
제4호 태풍 구촐
2012년 제4호 태풍 구촐(GUCHOL)는 6월 12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남서쪽 약 5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한 이후 서진과 북서진을 하며 발달을 시작해 6월 17일 오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7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0hPa, 최대풍속 51m/s, 강풍 반경 460km(남동쪽 반경)의 '매우 강'한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6월 17일 오후 9시부터 전향하기 시작해서 서서히 약화되어 가면서 일본에 접근했고 6월 19일 오후 5시에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6m/s, 강풍 반경 500km(남동쪽 반경)의 '강'한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일본 혼슈에 상륙했다. 이후 빠르게 북동진하면서 약화되었고 6월 20일 오전 9시에 일본 센다이 동쪽 약 260km 부근 해상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어서 소멸하였다. 한편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일본에서 여러 곳에서 정전이 나고, 1명의 사망자와 77명의 부상자가 나오는 심한 피해가 났다. 구촐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강황을 의미한다
제5호 열대폭풍 탈림
2012년 제5호 열대폭풍 탈림(TALIM)는 6월 18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90km(남동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중국 잔장 남남동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정체하다가 동진과 북동진을 하며 서서히 발달했고, 6월 19일 오후 9시에 중국 홍콩 남동쪽 약 2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6m/s, 강풍 반경 560km(남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북동진하면서 대만을 스치면서 빠르게 약화 되어 6월 21일 오전 3시에 타이완 타이베이 서북서쪽 약 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6월 21일 오전 6시에 타이완 타이베이 북쪽 약 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탈림은 필리핀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제6호 열대폭풍 독수리
중형의 열대폭풍 (KMA) | ||
---|---|---|
열대폭풍 (JMA) | ||
열대폭풍 (SSHS) | ||
![]() ![]() | ||
활동 기간 | 6월 26일 ~ 6월 30일 | |
최저 기압 | 992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22m/s |
JMA | 20m/s (40kt) |
2012년 제6호 열대폭풍 독수리(DOKSURI)는 6월 26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440km,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1,0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한 이후 계속 서북서진해서 필리핀 루손 섬 북쪽 해상을 지나고 6월 29일 오후 3시에는 중국 홍콩 동남동쪽 약 2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370km로 발달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이후 계속 서북서진해서 홍콩 부근 육상에 상륙한 뒤 빠르게 약화 되어 6월 30일 오전 9시에 중국 홍콩 서쪽 약 1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6월 30일 오전 9시에 중국 홍콩 서쪽 약 1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한국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독수리를 의미한다.
제7호 열대폭풍 카눈
2012년 제7호 열대폭풍 카눈(KHANUN)는 7월 16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56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8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북서진하면서 약하게 발달했고 7월 18일 오전 3시에 일본 오키나와 북북서쪽 약 2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6m/s(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988hPa, 25m/s), 강풍 반경 390km(북동쪽 반경)의 강한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발달하였다. 그 이후 북북서진 또는 북진하면서 제주도와 전남 지역부터 영향을 주기 시작했고, 7월 18일 오후 6시에 서귀포 남서쪽 약 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3m/s, 강풍 반경 39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조금 약화되었다.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7월 19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전북 군산 근처 육상으로(추정) 상륙했다고 발표했고, 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7월 19일 오전 8시에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2m/s, 강풍 반경 120km의 세력으로 경기도 안산 근처 육상에 상륙했다고 발표했다. 상륙 이후 빠르게 북동진하면서 약화되었고,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7월 19일 오전 9시에 강원도 양구군에서(추정)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7월 19일 12시에 속초 북쪽 약 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카눈은 태국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열대 과일인 잭프루트를 의미한다.
제8호 태풍 비센티
2012년 제8호 태풍 비센티(VICENTE)는 7월 21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3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중국 홍콩 남동쪽 약 4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이후 서서히 발달하여 7월 23일 오전 3시에 중국 홍콩 남쪽 약 3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6m/s, 강풍 반경 330km(남동쪽 반경)가 되었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그러나 정체하면서 더디게 발달하던 태풍 비센티는 7월 23일 밤부터 북북서진을 하면서 급발달했고 7월 24일 오전 3시에는 중국 홍콩 남서쪽 약 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0hPa, 최대풍속 41m/s, 강풍 반경은 390km(남쪽 반경)로 늘어났고(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1분 최대풍속은 120kt에 육박하는 '강'한 중형의 태풍이 되었다. 7월 24일 오전 6시에 중심기압 950hPa, 최대풍속 41m/s의 세력으로 중국 홍콩 근처 육상에 상륙하였다. 상륙 이후 육지와의 마찰로 급속하게 약화되어 7월 25일 오전 3시에 중국 잔장 북서쪽 약 4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996hPa)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태풍이 상륙한 중국에서는 3명이 사망하고, 6명이 실종됐으며 수십 명이 부상당했다. 베트남에서도 태풍의 영향을 받아 5명이 사망하고 3명이 실종되었으며 곳곳에서 산사태와 홍수가 발생했다.
제9호 태풍 사올라
2012년 제9호 태풍 사올라(SAOLA)는 7월 28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70km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6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북북서진과 북진을 하다가 8월 1일 오후 3시에 대만 타이베이 남동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0hPa, 최대풍속 36m/s, 강풍 반경 750km(남동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 이후 느리게 북북서진하면서 대만에 피해를 주었고, 대만을 지나간 뒤 재발달하지 못하고 8월 3일 오전에 중국 남부에 상륙하였다. 중국 상륙 뒤 더욱 약화되어서 8월 3일 오후 3시에 중국 푸저우 북서쪽 약 1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사올라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베트남에 서식하는 희귀 동물 사올라에서 따왔다.
제 10호 태풍 담레이
2012년 제10호 태풍 담레이(DAMREY)는 7월 28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3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일본 도쿄 남동쪽 약 1,3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서북서진하면서 발달과 약화를 반복했고 8월 2일 오전 3시에 제주도 서귀포 남쪽 약 1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26m/s, 강풍 반경 390km(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제주도에 최근접하였다. 제주도 남쪽 해상을 지난 뒤 폭염으로 수온이 상승한 서해상을 지나면서 급발달하였고 8월 2일 오후 9시에 중국 칭다오 남쪽 약 1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6m/s, 강풍 반경 330km의 세력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6m/s의 세력으로 8월 2일 오후 10시 30분에 장쑤 성 옌청에 상륙했다. 중국 상륙 이후 급약화되어서 8월 3일 오후 3시에 중국 칭다오 서북서쪽 약 2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에서는 998hPa의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한편 이 태풍은 제주도 남쪽 해상을 지나갔는데 이 과정에서 중부 지방에 더운 공기를 공급하면서 중부 지방에 폭염이 더욱 심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담레이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코끼리를 의미한다
제 11호 태풍 하이쿠이
2012년 제11호 태풍 하이쿠이(HAIKUI)는 8월 3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56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일본 도쿄 남쪽 약 1,3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서북서진하면서 서서히 발달하였고, 8월 7일 오후 9시에 중국 상하이 남남동쪽 약 3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3m/s(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8m/s), 강풍 반경 440km(북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8월 8일 오전 6시에 최성기 세력인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3m/s을 유지한 상태로 중국 상하이 남쪽 육상에 상륙하였다. 상륙 이후 급약화 되어서 중국 내륙으로 깊숙히 이동하다가 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8월 9일 오후 9시에 중국 상하이 서쪽 약 41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열대저압부으로 소멸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8월 10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94hPa의 열대저압부으로 소멸하였다.) 하이쿠이는 중국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말미잘을 의미한다.
제 12호 열대폭풍 기러기
2012년 제12호 열대폭풍 기러기(KIROGI)는 8월 8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44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1,8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그 이후 북북서진하면서 이동하였고 8월 9일 오후 3시에 일본 센다이 동쪽 약 1,2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6m/s, 강풍 반경 44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 이후 빠르게 북북서진하면서 약화되었고 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8월 10일 오전 9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7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8월 10일 오후 3시에 쿠릴 열도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기러기는 북한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기러기를 의미한다
제 13호 태풍 카이탁
2012년 제13호 태풍 카이탁(KAI-TAK)는 8월 13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8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8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서진과 서북서진을 하면서 서서히 발달하였고, 8월 17일 오전 9시에 중국 잔장 동남동쪽 약 1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3m/s(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6m/s), 강풍 반경 330km의 세력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8월 17일 12시에 최성기 세력인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3m/s을 유지한 상태로 중국 남부 레이저우 반도를 관통하였고, 8월 18일 0시에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1m/s의 세력으로(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베트남 하노이 북동쪽 육상에 상륙하였다. 상륙 이후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8월 18일 오후 3시에 베트남 하노이 북서쪽 약 2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열대저압부으로 소멸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8월 18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으로 소멸하였다.) 카이탁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홍콩의 옛 공항 카이탁 공항에서 따왔다.
제 14호 태풍 덴빈
2012년 제14호 태풍 덴빈(TEMBIN)은 8월 19일 오전 9시에 발생한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30km,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5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덴빈은 대만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소멸할 뻔 하였으나, 뒤이어 태어난 제15호 태풍 볼라벤에 의한 후지와라 효과에 의해 덴빈은 더 강한 힘을 얻고 이내 한반도로 북상할 것으로 한국 기상청이 제시한 방향대로 소멸하지 않고 올라오는 중이다. 덴빈은 대만과 제주도와 한국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고 서서히 소멸할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덴빈은 막대한 피해를 준 대만을 향해서 두 번 다녀갔고 한반도로 북상한 상태이다. 덴빈은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별자리인 천칭자리의 천칭을 의미한다.
제 15호 태풍 볼라벤
2012년 제15호 태풍 볼라벤(BOLAVEN)는 8월 20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90km,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미국 괌 북서쪽 약 5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직후부터 발달속도가 붙으면서 발생 하루뒤인 8월 21일에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7m/s로 발달했다. 다음날 오후 955hPa, 최대풍속은 41m/s로 증가한 태풍 볼라벤은 제14호 태풍 덴빈과의 후지와라 효과가 발생하여 덴빈을 대만으로 밀어내면서 정체시켰고 해수면온도가 낮은 해상을 통과하면서 세력발달도 다소 지연되었다. 8월 21일 오후의 세력을 2일정도 유지하던 태풍 볼라벤은 8월 23일부터 해수면온도가 낮은 해상을 빠져나오면서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8월 24일오전 9시에는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은 47m/s, 일본기상청 기준 강풍반경 560km까지 성장하고6시간 뒤인 오후 3시에는 중심기압 930hpa, 최대풍속 50m/s, 강풍반경 530km(일본기상청기준 650km)까지 발달하였다. 그리고 8월 26일 오전 9시에는 중심기압 910hPa, 최대풍속 50m/s, 강풍반경 550km 으로 더 강화되었다. 이후 8월 27일, 볼라벤은 "매우 강한 태풍" 에서 "강한 태풍" 으로 약화되었다. 8월 28일, 한반도 전역에 강한바람을 낸 볼라벤은 사망.실종 25명을 내고 황해도에 상륙해 8월 29일 소멸하였다. 볼라벤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볼라웬 고원에서 따왔다.
|
첫댓글 와.....
우와...
진짜 쓴거니 아님 복사한거니?
베낀거 ㄷ같아
15호태풍
일부는 쓰고 일부는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