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④ 해외철도 시베리아횡단철도..
①⑦도봉산역 추천 0 조회 1,097 05.10.02 19:43 댓글 1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5.10.07 06:11

    첫댓글 도중에 환승역 만들어서 레일 구분해서 다니지 않을까요??-_-; 아니면 러시아철도를 표준궤로 고치든지..-_-;;

  • 05.10.02 22:20

    광괘 사이에/// 표준괘을 넣으면.....

  • 05.10.02 22:38

    괘간변경기가 있습니다. 그것을 쓰면 충분히 가능하죠 뭐 유럽에서 스페인쪽이 그렇다고 들었습니다만.

  • 05.10.03 01:07

    현재 중국-러시아 사이는 궤간 차이로 인하여 국경역에서 열차가 정차하면 차를 통째로 들어올려서 대차를 바꾼다고 합니다. 북한-러시아 간도 이런 방식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여객 열차의 경우 대차 바꾸는 시간이 제법(몇 시간 정도) 걸리니 사실 경쟁 면에서는 불리하지요.

  • 몇 시간이라니... 여객운전에선 항공기랑 게임도 안되겠네요. 화물전용이 되어버릴 듯...

  • 05.10.07 06:11

    시간이 오래걸리니 차라리 그냥 운행 안하는 편이..

  • 05.10.03 14:11

    괘 (x) 궤(o)가 맞습니다.

  • 05.10.04 23:35

    궤간변환기 외에 다른 방식도 있는데 북한 청진에서 러시아의 국경도시 하산까지의 선로와 같은 식입니다. 이 노선은 1435mm의 표준궤와 1520mm의 광궤가 병설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에서는 북한과 러시아의 기관차 모두 운행될 수 있습니다.

  • 05.10.05 17:22

    비슷한 예로 일본의 아키타/야마가타 신칸센도 있지요. ^^; 신칸센의 표준궤안에 재래선의 협궤가 함께 부설되어 있는...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면 충분히 직결운행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 05.10.05 21:38

    그렇다고 시베리아철도 전구간에 표준궤를 함께 부설하는건 약간 무리가 있죠. 프리게이지트레인 아니면 궤간변경기밖에 방법이 없을듯..

  • 05.10.05 22:03

    시베리아 횡단철도 전구간을 병설로 하자는 말은 안했는데... 블라디보스톡까지만 연장해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런 방식은 찾아보면 꽤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 작성자 05.10.05 22:06

    그러면 어짜피 물건이나 승객이 환승을 해야 하고 그럼에 따른 물류비용증가가 예상 되는데요..

  • 05.10.06 09:24

    뭐... 어차피 한국+일본 등의 물류가 러시아로 가는 게 아니라 러시아를 거쳐서 서유럽으로 가는 것이 데부분이니 차라리 표준궤를 까는 게 환승비용을 생각한다면 초장기적으로 봤을 땐 이득일 수도 있습니다.

  • 05.10.06 10:15

    러시아에서 그 넓은 땅에 깔린 철로를 바꿀리가 없죠.

  • 05.10.06 17:25

    자동 궤간 변경 시스템 연구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