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梁芳秀(양방수) 祖國(조국)을 찾아가 보다...前篇(전편)...
대한민국의 국기 - 태극기 / 大韓民國의 國旗 - 太極旗
大韓民國(대한민국)의 나라 紋章(문장)
A map of the hemisphere centred on 128, 36, using an orthographic projection, created using gringer's Perl script with Natural Earth Data (1:50000 resolution, simplified to 0.25px). South Korea is highlighted in red.
Natural Earth Data (1 : 50000 海象圖(해상도), 0.25px로 單純化(단순화)와 함께 gringer의 Perl 스크립트(script)를 使用(사용)하여 만든 直交(직교) 投影法(투영법)을 使用(사용)하여 128, 36을 中心(중심)으로 한 半球(반구)地圖(지도)입니다. 韓國(한국)은 빨간色(색)으로 强調(강조) 標示(표시)됩니다.
서울(Seoul)은 大韓民國(대한민국)의 首都(수도)이자 最大(최대) 都市(도시)이다.서울(Seoul) 北緯(북위) 37° 34′ 08″ 動徑(동경) 126° 58′ 36″
景福宮(경복궁) 勤政殿(근정전)
1948年(년) 大韓民國(대한민국) 政府樹立(정부수립) 宣布式(선포식)
國旗(국기) 國章(국장)
國歌(국가)~愛國歌(애국가)
首都(수도)
서울(Seoul)~政治(정치)~政治體制(정치체제)~單一國家(단일국가), 單院制(단원제), 共和制(공화제), 大統領中心制(대통령중심제).立法部(입법부).大韓民國(대한민국)國會(국회).執權與黨(집권여당).더불어民主黨(민주당).大統領(대통령).國會議長(국회의장).大法院長(대법원장).憲法裁判所長(헌법재판소장).國務總理(국무총리).文在寅(문재인) (더불어民主黨(민주당).朴炳錫(박병석).金命洙(김명수).劉南碩(유남석).丁世均(정세균) (더불어民主黨(민주당).
•歷史(역사:history)
• 獨立宣言(독립선언)1919年(년) 3月(월) 1日(일)
• 臨時政府樹立(임시정부수립)1919年(년) 4月(월) 11日(일)
• 光復(광복)1945年(년) 8月(월) 15日(일)
• 憲法制定(헌법제정)1948年(년) 7月(월) 17日(일)
• 第(제)1共和國(공화국) 樹立(수립)1948年(년) 8月(월) 15日(일)
• 4.19 革命(혁명)1960年(년) 4月(월) 19日(일)
• 第(제)6共和國(공화국) 樹立(수립)1988年(년) 2月(월) 25日(일)
•地理(지리)~面積(면적)~100,410 km2 (107 위)內水面(내수면) 比率(비율)~0.3% •時間帶(시간대)~KST (UTC+09:00) DST없음無(무)
•人文(인문)~公用語(공용어)~韓國語(한국어), 韓國手語(한국수어)
•地域語(지역어)~濟州語(제주어) •人口(인구:population)
•2019年(년) 어림(Estimate) 增加(증가) 51,709,098名(명)
•2018年(년) 照査(조사)• 增加(증가) 51,826,059名(명) (27位(위)
•人口密度(인구밀도) •增加(증가) 507.0 (26位(위)
•經濟(경제) GDP(gross domestic product 國內(국내) 總生産(총생산)(PPP:pianississimo:1.Polluter Pays Principle 汚染者(오염자) 費用(비용) 負擔(부담)의 原則(원칙)2.point-to-point protocol) 2019年(년) 어림값(Estimate)• 全體(전체) 2兆(조) 2241億(억) $ (14位(위)
• 一人일인당:Per person) •43,212 $ (29位(위)
•GDP(gross domestic product 國內(국내) 總生産(총생산)名目(명목)
•2019年(년) 어림값(An estimate) • 全體(전체:all)
•1兆(조) 6669億(억) $ (11位(위)
•HDI(human development index ) 人間開発指数(인간개발지수)
•壽命(수명) ‧ 敎育(교육) ‧ 生活(생활) 水準(수준) 等(등)에 따라 國家(국가)마다 發展(발전)의 程度(정도)를 나타내는......Lifespan ‧ Education ‧ Shows the degree of development in each country based on living standards, etc. •0.916 (23位(위), 2019年(년) 照査(조사)
•通貨(통화)~圓(원) (KRW,₩) (KRW:KRW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大韓民國(대한민국) 圓(원) 투르크멘바시(Turkmenbashi) 公項(공항) : 투르크메니스탄(Turkmenistan)의 公項(공항)
•其他(기타:Other)
ISO[Internation Standard Augustation :국제 표준화 기구(國際標準化機構):나라마다 다른 工業(공업) 規格(규격)을 調整(조정), 統一(통일)하고 物資(물자) 및 서비스(service)의 國際的(국제적) 交流(교류)를 圓滑(원활)히 하기 위한 國際機構(국제기구) 3166-1 ~410, KR[KR, Kr, kr는 다음 뜻을 가지고 있다. KR은 大韓民國(대한민국)의 ISO 3166-1 alpha-2 國家(국가) 符號(부호)이다.
.kr은 大韓民國(대한민국)의 國家(국가) 코드(code) 最上位(최상위) 도메인(domain)이다. Kr은 크립톤(krypton:주기율표 18족에 속하는 무색무취의 비활성 기체 원소)의 元素(원소) 記號(기호)이다. Kr은 크로네(krone:1. 덴마크(Denmark), 노르웨이(Norway)의 貨幣(화폐) 單位(단위)를 나타내는 말.2. 1892年(년)~1925年(년) 사이에 使用(사용)된, 오스트리아(Austria)의 貨幣(화폐) 單位(단위) 通貨(통화)의 略字(약자)이다. kr은 카누리어(Canurier)의 ISO 639 符號(부호)이다.
KR은 韓國(한국)船級(선급) (Korean Register of Shipping)의 略語(약어)이다.
KOR[韓國(한국) (Korea)을 줄여 表現(표현)한 말이다. KOR 半指(반지)의 王(왕) (King of the Ring)의 준말이다. KOR는 키마구레 오렌지 로드(Kimagure Orange Road)漫畫(만화)의 준말이다. Kor는 하이트 스파키즈(Hite Sparkkids)의 옛 이름이다. KOR는 大韓民國(대한민국)의 ISO 3166-1 國家(국가) 코드(code)이다. KOR는 韓國語(한국어)의 ISO 639 符號(부호)이다.
도메인(domain).kr / .韓國(한국) / .com •國際電話(국제전화)~+82
大韓民國(대한민국)(韓國(한국) 漢字(한자): 大韓民國, 英語(영어): Republic of Korea)은 東(동)아시아(Asia)의 韓半島(한반도) 南部(남부)에 位置(위치)해 있는 民主共和國(민주공화국)이다.
西(서)쪽으로 黃海(황해)를 사이에 두고 中國(중국)이, 東(동)쪽으로는 東海(동해)를 사이에 두고 日本(일본)이 位置(위치)하며, 北(북)쪽으로는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北韓(북한)과 맞닿아 있다.
首都(수도)는 事實上(사실상) 서울(Seoul)特別市(특별시)이고, 實質的(실질적) 行政(행정) 首都(수도)는 世宗特別自治市(세종특별자치시)이다. 大韓民國(대한민국)의 國旗(국기)는 大韓民國(대한민국) 國旗法(국기법)에 따라 太極旗(태극기), 國家(국가)는 慣習上(관습상) 愛國歌(애국가), 國花(국화)는 慣習上(관습상) 無窮花(무궁화)이다.
公用語(공용어)는 韓國語(한국어)와 韓國手語(한국수어)이다. 人口(인구)는 約(약) 5,200萬名(만명)으로 全體(전체) 人口(인구) 中(중) 折半(절반)이 首都圈(수도권)에 살고 있다.
大韓民國(대한민국)은 1919年(년) 3.1 運動(운동)을 通(통)한 獨立宣言(독립선언)과 大韓民國(대한민국) 臨時政府(임시정부)의 樹立(수립)으로 始作(시작)되었다.
1945年(년) 8月(월) 15日(일) 光復(광복)以後(이후), 韓半島(한반도)의 北緯(북위) 38度線(도선) 以南(이남) 地域(지역) 居住者(거주자)들의 自由(자유) 選擧(선거)를 通(통)하여 1948年(년) 公式的(공식적)인 民主主義(민주주의) 國家(국가)로 나아갔다.
大韓民國(대한민국)은 1948年(년) 12月(월) 유엔(UN) 總會(총회) 決議(결의) 第(제)195號(호)를 通(통)해 유엔(UN)으로부터 韓半島(한반도) 유엔(UN)이 瞰視(감시) 可能(가능)한 韓半島(한반도) 以南(이남)의 大多數(대다수) 住民(주민)의 自由(자유)로운 意思(의사)에 따라 誕生(탄생)한 韓半島(한반도) 惟一(유일)한 政府(정부)로서 合法政府(합법정부)로 承認(승인)받았다.
이와 關聯(관련)하여 大韓民國(대한민국) 政府(정부)가 1948年(년)에 유엔(UN) 監視下(감시하)에 選擧(선거)를 實施(실시)한 韓半島(한반도) 以南(이남)에서만 有一(유일)한 合法政府(합법정부)라는 主張(주장)도 있다. 1991年(년), 大韓民國(대한민국)과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同時(동시)에 유엔(UN)에 加入(가입)하였다.
한편 國際法(국제법) 上(상)의 慣例(관례)와 通說(통설), 大韓民國(대한민국)의 憲法裁判所(헌법재판소)는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유엔(UN)에 加入(가입)하였다 하여, 加盟國(가맹국)들 相互間(상호간)에도 당연히 그 國家成(국가성)이 承認(승인)되는 것은 아니고 또 그러한 義務(의무)가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判示(판시)하여 大韓民國(대한민국)은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國家成(국가성)을 原則的(원칙적)으로 否定(부정)하고 있으나, 大韓民國(대한민국) 政府(정부)가 樹立(수립)될 때 韓半島(한반도)가 分斷(분단)되어 있어 國家(국가) 成立(성립) 3要素(요소)인 國民(국민), 領土(영토), 主權(주권)이 認定(인정)되는 地域(지역)은 '韓半島(한반도) 以南(이남)'이었다는 點(점)과 以後(이후) 1972年(년) 7·4 南北(남북) 共同(공동) 聲明(성명), 1991年(년) 南北(남북) 基本(기본) 合意書(합의서), 2000年(년) 6·15 南北(남북) 共同宣言(공동선언) 等(등)에 依(의)하여 相互共存(상호공존)을 約束(약속)하고 大韓民國(대한민국)과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別個(별개)의 獨立(독립)된 主權國家(주권국가)로 認定(인정)되는 一部(일부) 國際法規(국제법규)와 大韓民國(대한민국) 憲法(헌법)의 視覺(시각)이 對峙(대치)되어 問題點(문제점)이 存在(존재)한다.
大韓民國(대한민국)은 韓國戰爭(한국전쟁) 이래 一名(일명) '漢江(한강)의 奇蹟(기적)'이라고 불리는 높은 經濟發展(경제발전)을 이룩하며, 1990年代(년대)에 이르러 世界的(세계적)인 經濟强國(경제강국)으로 發展(발전)하였으나 1990年代(년대) 末(말) 外換危機(외환위기)를 겪고 난 뒤, IT(1.information technology 情報技術(정보기술)2.情報工學(정보공학)業界(업계) 活況(활황)과 거품 崩壞(붕괴) 等(등) 여러가지 對內外的(대내외적) 要因(요인)에 依(의)한 上昇(상승)과 下降(하강)을 거듭하고 있다. 2019年(년) 名目(명목) 基準(기준) 1人當(인당) 國民(국민) 總所得(총소득)(GNI:gross national income 國民(국민) 總所得(총소득)은 3萬(만) 1,430달러(dollar)로 世界銀行(세계은행)에서 高所得(고소득) 國家(국가)로 分類(분류)되었고, 2016年(년) 유엔(UN)의 人間開發指數(인간개발지수(HDI(1.(human development index ) 人間開発指数(인간개발지수)2.壽命(수명) ‧ 敎育(교육) ‧ 生活(생활) 水準(수준) 等(등)에 따라 國家(국가)마다 發展(발전)의 程度(정도)를 나타내는:寿命 ‧ 教育 ‧ 生活水準などに基づいて国ごとの発展の度合を示す) 照査(조사)에서 世界(세계) 18位(위)로 '매우 높음', 國際通貨(국제통화) 基金(기금)(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國際通貨基金(국제통화기금)에서는 大韓民國(대한민국)을 先進(선진) 經濟局(경제국)으로 分類(분류)하였다.
하지만 國內總生産(국내총생산) 對比(대비) 16%를 次知(차지)한 삼성전자( Samsung Electronics Co., Ltd., 三星電子株式會社)가 單獨的(단독적)으로 全體(전체) 國內(국내) 賃金勤勞者數(임금근로자수)(1819萬(만) 名(명)의 0.5%인 雇傭效果(고용효과)를 誘發(유발)한 것에서 드러나듯 經濟的(경제적) 兩極化(양극화)와 不均衡(불균형)이 있다.
2003年(년)부터 2016年(년)까지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經濟協力(경제협력) 開發(개발)機構(기구)會員國(회원국) 自殺率(자살률) 1位(위)이며, 交通事故(교통사고)에 依(의)한 死亡率(사망률), 長時間(장시간) 勤勞(근로)와 이에 따른 産業災害(산업재해) 死亡率(사망률), 底出産(저출산) 等(등)의 問題(문제)가 크기에 빛과 그림자가 共存(공존)한다.
이코노미스트(Economist:經濟學者(경제학자)에서 發表(발표)하는 民主主義(민주주의) 指數(지수) 照査(조사)에서는 2019年(년) 基準(기준) 23位(위)의 '8.0占(점)'을 記錄(기록)하는 等(등) 아시아(Asia)에서 民主主義(민주주의)가 가장 穩全(온전)히 作動(작동)하는 國家(국가) 中(중) 하나로 評價(평가)받는다.
現在(현재) 主要(주요) 20個國(개국)(G20:Group of Twenty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지세븐: G seven:先進(선진) 7個國(개국)의 財務長官(재무장관)이 모이는 會議(회의)’과 유럽(Europe) 聯合議長國(연합의장국), 新興市場(신흥시장) 12個國(개국) 等(등) 世界(세계) 主要(주요) 20個國(개국)의 頂上(정상)이나 財務 長官(재무장관), 中央銀行(중앙은행) 總裁(총재)가 모여 世界經濟(세계경제)의 懸案(현안)을 論(논)하고 解決策(해결책)을 摸索(모색)하는 國際機構(국제기구). 1999年(년) 9月(월)에 開催(개최)된 ‘國際通貨基金(국제통화기금)’ 總會(총회)에서 지세븐(G seven先進(선진) 7個國(개국)의 財務長官(재무장관)이 모이는 會議(회의)과 新興市場(신흥시장)이 參與(참여)하는 機構(기구)를 만드는 데 合議(합의)하여 같은 해 12月(월) 獨逸(독일)에서 첫 會議(회의)가 열린 이래 定期的(정기적)으로 繼續(계속)되고 있으며 第(제)5次(차) 會議(회의)가 2010年(년) 11月(월) 韓國(한국)의 서울(Seoul)에서 開催(개최)되었다.
會員國(회원국)은 美國(미국)ㆍ캐나다(Canada)ㆍ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ㆍ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의 1그룹(group), 러시아(Russia)ㆍ印度(인도)ㆍ터키(Turkey)ㆍ南(남)아프리카(Africa) 共和國(공화국)의 2그룹(group), 브라질(Brazil)ㆍ아르헨티나(Argentina)ㆍ멕시코(Mexico)의 3그룹(group), 英國(영국)ㆍ프랑스(France)ㆍ獨逸(독일)ㆍ이탈리아(Italy)의 4그룹(group), 韓國(한국)을 包含(포함)한 日本(일본)ㆍ中國(중국)ㆍ인도네시아(Indonesia)의 5그룹(group)으로 나뉘어 있다.
經濟協力開發機構(경제협력개발기구) OECD:Organization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經濟協力開發機構(경제협력개발기구), 開發援助委員會(개발원조위원회) DAC:美(미) Department of the Army Civilian 陸軍民間部(육군민간부)와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開發援助委員會(개발원조위원회)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經濟協力 開發機構(경제협력개발기구)의 下部機關(하부기관), 파리 클럽(Paris Club) 等(등)의 國際機構(국제기구)의 會員國(회원국)으로 있다. 大韓民國(대한민국)은 三權分立(삼권분립)으로 政治(정치)를 한다.
目次(목차(Table of Contents)
1 國名(국명:COUNTRY NAME)
2 地理(지리:geography)
2.1 地形(지형:terrain)
2.2 氣候(기후:climate)
2.3 動植物(동식물:animals and plants)
2.4 天然資源(천연자원:natural resources)
3 歷史(역사:(History)
3.1 紀元(기원:(origin)
3.2大韓民國臨時政府(대한민국임시정부:KoreaProvisional Government)
3.3 軍政期(군정기)와 解放政局(해방정국)
3.4 大韓民國(대한민국) 政府樹立(정부수립)
3.5 韓國戰爭(한국전쟁)
3.6 第(제)1·2共和國(공화국)
3.7 第(제)3·4共和國(공화국)
3.8 第(제)5共和國(공화국)
3.9 第(제)6共和國(공화국)
3.9.1 盧泰愚(노태우) 政府(정부)와 文民政府(문민정부)
3.9.2 國民(국민)의 政府(정부)와 參與政府(참여정부)
3.9.3 李明博(이명박) 政府(정부)와 朴槿惠(박근혜) 政府(정부)
3.9.4 文在寅(문재인) 政府(정부)
4 政治(정치)
4.1 政黨(정당)
4.2 政府(정부)
4.2.1 立法部(입법부)
4.2.2 行政府(행정부)
4.2.3 司法府(사법부)
4.3 行政區域(행정구역)
4.4 外交(외교)
4.4.1 南北關係(남북관계)
4.4.2 韓美關係(한미관계)
4.4.3 韓日關係(한일관계)
4.4.4 韓中關係(한중관계)
4.4.5 한러(Korean-Russian) 關係(관계)
5 國防(국방)
5.1 陸軍(육군)
5.2 空軍(공군)
5.3 海軍(해군)
5.3.1 海兵隊(해병대)
6 經濟(경제)
6.1 槪觀(개관)
6.1.1 負債(부채)
6.2 産業(산업)
6.2.1 農業(농업)
6.2.2 工業(공업)
6.2.3 同伴成長(동반성장)
6.3 交通(교통)
6.3.1 陸上交通(육상교통)
6.3.1.1 道路(도로)
6.3.1.2 버스(Bus)
6.3.1.3 鐵道(철도)
6.3.2 航空交通(항공교통)
6.3.3 海上交通(해상교통)
7 社會(사회)
7.1 社會的(사회적) 少數者(소수자)
7.1.1 勞動者(노동자)
7.1.2 성소수자[ 性少數者:普遍的(보편적)인 性(성) 槪念(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 同性愛子(동성애자), 兩性愛子(양성애자), 性轉換者(성전환자) 等(등)이 이에 屬(속)한다.
7.1.3 女性(여성)
7.1.4 移住民(이주민)
7.1.4.1 難民(난민)
7.2 人口(인구)
7.2.1 都市(도시)의 人口順位(인구순위)
7.3 敎育(교육)과 文化(문화)
7.4 福祉(복지)
7.5 社會葛藤(사회갈등)
7.5.1 葛藤(갈등)·疏通指數(소통지수)
7.6 社會指標(사회지표)
7.7 心理(심리)
7.7.1 對應(대응)
7.8 餘暇(여가)
8 文化(문화)
8.1 言語(언어)
8.2 言論(언론)
8.3 宗敎(종교)
8.4 藝術(예술)
8.4.1 文學(문학)
8.4.2 音樂(음악)
8.4.3 美術(미술)
8.5 스포츠(sports)
8.6 韓流(한류)
8.7 公休日(공휴일)
9 國際順位(국제순위)
10 關聯項目(관련항목)
11 脚注(각주)
12 外部(외부)링크(External link)
國名(국명:COUNTRY NAME)
韓國(한국)의 歷史(역사:The History of the Korean National (Korea)
韓國史(한국사:Korean history) ~ 時代史(시대사:(time history)
高麗(고려:(Korea) ~ 朝鮮(조선:Chosun)
大韓帝國(대한제국:(KoreanEmpire)
日本帝國(일본제국:Japanese Empire)
大韓民國臨時政府(대한민국임시정부:(Korea Provisional Government)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大韓民國(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南北(남북)의 歷史(역사:History of the South North (South and North)
大韓民國(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4年(년) 美國(미국)에서 發行(발행)된
郵票(우표)에 그려진 코리아(Korea)
대한민국(大韓民國)이란 國號(국호) 中(중) 대한(大韓)의 語源(어원)은 좁게 보면 古代(고대) 韓半島(한반도) 南部(남부) 一帶(일대)에 存在(존재)했던 나라의 이름인 한(韓)에서 由來(유래)한다. 馬韓(마한), 辰韓(진한), 弁韓(변한)을 합쳐 三韓(삼한)이라고 불렀다.
넓게 볼 때는 高句麗(고구려), 百濟(백제), 新羅(신라)를 합쳐 三韓(삼한)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한(韓)이라는 말은 宗敎的(종교적) 意味(의미)와 政治的(정치적) 意味(의미)가 複合的(복합적)으로 이루어져 古代(고대)부터 내려오던 말로서, "하나", "하늘", "크다", '칸(汗) 等(등) 여러 解析(해석)이 있다.
近代(근대) 國家(국가)의 國號(국호)로서 "大韓(대한)"은 1897年(년) 高宗(고종)이 大韓帝國(대한제국)을 宣布(선포)하면서 다시 選擇(선택)한 것으로 새 國號(국호)를 定(정)한 理由(이유)를 "朝鮮(조선)이라는 이름은 箕子(기자)가 封(봉)해졌을 때의 이름이니 帝國(제국)의 이름으로 合當(합당)하지 않은데, 한(韓)이라는 이름은 우리의 固有(고유)한 이름이며 三國時代(삼국시대)의 세 國家(국가)를 아우르는 것이기도 하므로 "큰 韓(한)"이라는 이름이 適當(적당)하다"고 밝혔다.
以後(이후) 여기에 민국(民國)을 더한 "大韓民國(대한민국)"이라는 國號(국호)는 1919年(년) 3.1運動(운동) 直後(직후)에 만들어진 大韓民國(대한민국) 臨時政府(임시정부)에서 定(정)한 것이다. 1919年(년) 4月(월) 10日
(일) 臨時政府(임시정부)의 첫 議政院(의정원) 會議(회의)에서 신석우[申錫雨, 1895年(년) 9月(월) 2日(일) ~ 1953年(년) 3月(월) 5日(일)는 大韓民國(대한민국)의 獨立運動家(독립운동가)이다. 大韓民國(대한민국)의 國號(국호)를 發意(발의)한 人物(인물)이기도 하다.
左側(좌측) 신석우[申錫雨) 大韓民國(대한민국) 國號(국호)를 定(정)하다.
本貫(본관)은 고령(高靈). 호(號)는 우창(于蒼)이다. 그의 喪配(상배) 前妻(전처)는 鐵驥(철기) 李範奭(이범석) 先生(선생)의 同腹(동복) 둘째 누나이다.]가 "대한민국"(大韓民國)으로 國號(국호)를 定(정)하자고 한 것에 여운형(呂運亨)이 "大韓(대한)"이라는 이름으로 나라가 亡(망)했는데 또다시 '大韓(대한)'을 쓸 必要(필요)가 있느냐며 反駁(반박)하자, 다시 申錫雨(신석우)가 "大韓(대한)으로 亡(망)했으니 大韓(대한)으로 다시 興(흥)해보자"라고 敷衍 說明(부연설명)을 하였고, 이에 多數(다수)가 共感(공감)함에 따라 "大韓民國(대한민국)"으로 決定(결정)되었다고 傳(전)해진다.
光復(광복) 後(후) 1948年(년) 制憲國會(제헌국회)에서 이 國號(국호)를 繼承(계승)하여 憲法(헌법)에 明示(명시)하였고 다시 1950年(년) 1月(월) 16日(일) 國務院(국무원) 告示(고시) 第(제)7號(호) "國號(국호) 및 一部(일부) 地方名(지방명)과 地圖色(지도색) 使用(사용)에 關(관)한 件(건)"에 依(의)해 確定(확정)하였다.
이에 20世紀(세기) 前半(전반)까지도 널리 使用(사용)되던 地名(지명)으로서의 "朝鮮(조선)"이라는 이름은 "大韓(대한)"이나 "韓國(한국)", "한(韓)"으로 代替(대체)되어 現在(현재) 大韓民國(대한민국) 內(내)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大韓民國(대한민국)의 國民(국민)은 自國(자국)의 國號(국호)를 "大韓民國(대한민국)", "韓國(한국)" 等(등)으로 부르며, 自國(자국)을 呼稱(호칭)할 때는 흔히 "우리나라"라고 한다.
"大韓(대한)"이라는 稱號(칭호)를 使用(사용)하기도 하며, 韓半島(한반도) 北部(북부)에 자리한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對比(대비)해 韓半島(한반도) 南部(남부)에 있다 하여 "南韓(남한)"으로도 불리는데 특히 大韓民國(대한민국) 韓半島(한반도) 北部(북부)를 占居(점거)하고 있는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韓國(한국)을 남조선(南朝鮮)이라고 부른다.
大韓民國(대한민국) 內(내)에서는 大韓民國(대한민국)을 간단히 한국(韓國) 또는 남한(南韓) 等(등)으로도 부른다.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大韓民國(대한민국)을 反國家團體(반국가단체)로 보기 때문에 大韓民國(대한민국)이라는 正式(정식) 名稱(명칭) 代身(대신)에 남조선(南朝鮮)으로 부른다.
大韓民國(대한민국)은 過去(과거)엔 구한국(舊韓國), 大韓帝國(대한제국)과 區別(구별)하여 신한국(新韓國)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國際社會(국제사회)에서는 慣習上(관습상) 大韓民國(대한민국)을 간단히 '코리아'(Korea)라 부르며 이름은 東(동)아시아(Asia)의 古代國家(고대국가)인 高麗(고려)에서 由來(유래)되었다.
코리아(Korea)란 英文(영문) 國號(국호)의 語源(어원)은 東(동)아시아(Asia)의 中世(중세)國家(국가)인 高麗(고려)에서 由來(유래)되었다.
高句麗(고구려)가 5世紀(세기) 長壽王(장수왕) 때 國號(국호)를 고려(高麗)로 變更(변경)한 것을 918年(년) 建國(건국)된 中世王朝(중세왕조) 고려(高麗)가 繼承(계승)하여 '高麗(고려)'라는 國名(국명)이 아라비아(Arabian) 商人(상인)等(등)을 通(통)해 全(전) 世界(세계)에 傳(전)해지자, 유럽인(European)들이 '高麗(고려)'를 코레(Core, Kore), 코리(Kori)로 부르던 것을 '~의 땅'을 意味(의미)하는 '-a'를 붙어 '高麗人(고려인)의 땅'이라는 '코레-아'(Corea), '코리-아'(Korea), '코리-아'(Koria)가 되어] 프랑스어(French)로 Corée, 스페인어(Spanish)로 Corea, 英語(영어)로 Korea라고 불리게 되었다.
현재 大韓民國(대한민국)의 公式英語(공식영어) 名稱(명칭)은 Republic of Korea로서, 약칭 'R.O.K.'이며 慣習上(관습상)으로는 간단히 Korea라고 불리며 國際(국제) 標準化(표준화) 機構(기구)에서는 略稱(약칭) 'KOR[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KOR는 韓國(한국) (Korea)을 줄여 表現(표현)한 말이다.
KOR는 半指(반지)의 王(왕) (King of the Ring)의 준말이다. KOR는 키마구레 오렌지 로드(Kimagure Orange Road) 漫畫(만화)의 준말이다. Kor는 하이트 스파키즈(Hite Sparkkids)의 옛 이름이다.
KOR는 大韓民國(대한민국)의 ISO:나라마다 다른 工業規格(공업규격)을 調停(조정), 統一(통일)하고 物資(물자) 및 서비스(service)의 國際的(국제적) 交流(교류)를 圓滑(원활)히 하기 위한 國際機構(국제기구) 3166-1 國家(국가) 코드(code)이다.
KOR는 韓國語(한국어)의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나라마다 다른 工業規格(공업규격)을 調停(조정), 統一(통일)하고 物資(물자) 및 서비스(service)의 國際的(국제적) 交流(교류)를 원활히 하기 위한 國際機構(국제기구)639 符號(부호)이다.]로 불린다.
大韓帝國(대한제국) 時節(시절) 公式(공식) 文書(문서)에는 Corea 또는 Korea가 混用(혼용)되어 使用(사용)되었고, 1900年代(년대) 初期(초기)부터 英語權(영어권)에서는 Korea의 使用(사용) 頻度(빈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1892年(년) 外國人(외국인)이 자주 보는 잡지 〈The Korean Repository〉 5月(월) 號(호)에는 “美國(미국) 國務府(국무부)와 英國(영국)의 王立地理學會(왕립지리학회)는 우리가 借用(차용)한 이 땅의 이름을 아주 조리 있게 Korea로 標記(표기)하기 始作(시작)했던 것”이라는 內容(내용)이 나온다.
다만 日帝强占期(일제강점기)에 들어서는 日本(일본)의 한 地方(지방)이 된 것으로부터 Chosen이라는 日本式(일본식) 名稱(명칭)을 使用(사용)하기도 했다.
日本(일본),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 中華民國(중화민국), 베트남(Vietnam) 等(등) 주로 東(동)아시아(Asia)에 있는 漢字(한자) 文化圈(문화권) 國家(국가)들에서도 일상(In everyday life)에서 大韓民國(대한민국)을 간단히 韓國(한국)(中國語(중국어) 간체자: 韩国, 정체자: 韓國, 병음: hánguó 한궈, 日本語(일본어): 韓国 간코쿠, 베트남어(Vietnamese): Hàn Quốc한 꾸옥)이라 부른다.
다만 여전히 韓半島(한반도) 全體(전체)를 부를 때는 朝鮮(조선)(中國語(중국어) 간체자: 朝鲜, 정체자: 朝鮮, 병음: cháoxiǎn 차오시엔, 日本語(일본어): 朝鮮(조선) 조센(ヨッヘン) 베트남어(Vietnam): Triều Tiên찌에우 띠엔)이라는 名稱(명칭)을 使用(사용)한다.
地理(지리:geography) 地形(지형:Topography)
大韓民國(대한민국)의 地形圖(지형도)
大韓民國(대한민국)의 地圖(지도)
大韓民國(대한민국)은 東海(동해)를 사이에 두고 日本(일본) 列島(열도)와, 黃海(황해)를 사이에 두고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과 마주하며, 陸地(육지)로는 軍事分界線(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北韓(북한)과 맞닿아 있다.
韓半島(한반도)는 第(제)3期(기) 마이오세(肌糖(기당:Myose) 以後(이후)에 일어난 단층과 요곡운동의 結果(결과) 東(동)쪽으로는 높은 山地(산지)가 急傾斜(급경사)로 東海岸(동해안)에 임박하고 西(서)쪽으로는 서서히 高度(고도)가 낮아진다.
이를 東高西低(동고서저)의 傾動地形(경동지형)이라 한다. 높은 山(산)들은 大部分(대부분) 東部(동부) 地方(지방)에 치우쳐서 韓半島(한반도)의 등줄기라 불리는 太白山脈(태백산맥)에 자리한다. 太白山脈(태백산맥)의 代表的(대표적)인 山(산)이 雪岳山(설악산)이다.
太白山脈(태백산맥)의 南西(남서)쪽으로 小白山脈(소백산맥)이 이어지며 그中(중)에는 智異山(지리산)이 有名(유명)하다. 濟州島(제주도)에는 大韓民國(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山(산)이자 死火山(사화산)인 漢拏山(한라산)이 있다.
河川(하천)의 流量(유량)은 극히 不規則(불규칙)하여 여름에는 集中(집중) 豪雨(호우)로 연 降水量(강수량)의 약 60% 以上(이상)이 洪水(홍수)로 流出(유출)되며, 渴水期(갈수기)에는 江(강)바닥을 거의 드러내는 河川(하천)이 많다.
代表的(대표적)인 江(강)은 위쪽부터 반시계 方向(방향)으로 漢江(한강), 錦江(금강), 榮山江(영산강), 蟾津江(섬진강), 洛東江(낙동강) 等(등)이다. 大多數(대다수)의 江(강)이 山地(산지)가 많은 東(동)쪽에서 平平(평평)하고 낮은 丘陵(구릉)이 大部分(대부분)인 西(서)쪽으로 흐르며 中下流(중하류)에 比較的(비교적) 넓은 沖積平野(충적평야)가 展開(전개)된다.
山脈(산맥)은 交通(교통)에 적지 않은 制約(제약)을 주어, 山脈(산맥)을 境界(경계)로 地域(지역)의 文化(문화)나 風習(풍습)이 크게 差異(차이)가 나기도 한다.
山脈(산맥)으로 가로막힌 地方(지방)은 고개를 넘어 往來(왕래)했는데 嶺西地方(영서지방)과 嶺東地方(영동지방)을 連結(연결)하는 太白山脈(태백산맥)의大關嶺(대관령)·寒溪嶺(한계령)·陳富嶺(진부령)·彌矢嶺(미시령), 衆庶婦(중서부)와 嶺南(영남)地方(지방)을 連結(연결)하는 小白山脈(소백산맥:Sobaek Mountains)의 竹嶺(죽령)·梨花嶺(이화령)·秋風嶺(추풍령)·六十嶺(육십령) 等(등)이 山脈(산맥)을 넘는 主要(주요)한 交通路(교통로)로 使用(사용)된다.
韓半島(한반도)의 西(서)쪽은 黃海(황해), 東(동)쪽은 東海(동해), 南(남)쪽은 南海(남해)와 맞닿아 있어 三面(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半島形(반도형)이며, 가장 큰 附屬島嶼(부속도서)인 濟州島(제주도) 南(남)쪽으로는 東中國海(동중국해)와 接(접)한다.
黃海(황해)와 南海(남해) 沿岸(연안)은 海岸線(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식(Rias) 海岸(해안)으로 潮水 干滿(조수간만)의 차가 클 뿐만 아니라 海岸地形(해안지형)도 꽤 平坦(평탄)하여 넓은 干潟地(간석지)가 展開(전개)된다. 또한 水(수)많은 섬이 있어서 多島海(다도해)라고도 불린다. 半面(반면)에 東海(동해) 沿岸(연안)은 大部分(대부분) 海岸線(해안선)이 단조롭고 水深(수심)이 깊으며 干滿(간만)의 차가 적다.
海岸(해안) 近處(근처)에는 砂丘(사구)·潟湖(석호) 等(등)이 形成(형성)되어 있고 먼 海上(해상)에 火山(화산)섬인 鬱陵島(울릉도)가 있으며 그보다 洞(동)쪽으로 約(약) 87.4km 거리에 大韓民國(대한민국) 最東端(최동단)인 獨島(독도)가 位置(위치)한다. 西(서)쪽에는 平地(평지)가 發達(발달)됐다.
氣候(기후)
人工衛星(인공위성)으로 撮影(촬영)한 大韓民國(대한민국).
北緯(북위) 33도~38도, 動徑(동경) 126~131도에 걸쳐 있어 冷帶(냉대) 冬季(동계) 小雨氣候(소우기후)와 溫帶(온대) 夏雨氣候(하우기후), 溫暖(온난) 濕潤氣候(습윤기후)가 나타난다.
겨울(winter)에 北部(북부) 地域(지역)은 偏西風(편서풍)으로 因(인)해 시베리아(Siberia)와 몽골(Mongolia) 高原(고원)의 影響(영향)을 받아 大陸性(대륙성) 氣候(기후)를 띠어서 乾燥(건조)하고 무척 추우나 南部(남부) 地域(지역)은 이런 影響(영향)을 적게 받아 相對的(상대적)으로 溫暖(온난)한 편이다.
여름(summer)에는 太平洋(태평양)의 影響(영향)을 받아 海洋性(해양성) 氣候(기후)의 特色(특색)을 보여서 高溫多濕(고온다습)하다. 季節(계절)은 四季節(사계절)이 뚜렷이 나타나며 大體(대체)로 北部(북부) 地域(지역)은 여름(summer)과 겨울(winter)이 길고 南部地域(남부지역)은 봄(spring)과 가을(autumn)이 길다.
3月(월) 初(초)에서 5月(월) 初(초)에 걸쳐 포근한 봄(spring) 날씨, 5月頃(월경)에서 8月(월) 初(초)에는 무더운 여름(summer)이, 8月(월) 末(말)에서 10月(월) 末(말)까지는 화창하고 乾燥(건조)한 가을(autumn) 날씨가 이어지고, 11月(월)에 氣溫(기온)과 濕度(습도)가 점차 낮아지기 始作(시작)하여 12月(월)에서 2月(월)까지는 춥고 乾燥(건조)한 겨울(winter) 날씨를 보인다.
中部(중부) 山間(산간)地方(지방)을 除外(제외)하고 大體(대체)로 年(연) 平均(평균) 氣溫(기온)은 10 ~ 16℃이며, 가장 무더운 달인 8月(월)은 23 ~ 36℃, 5月(월)은 16 ~ 19℃, 10月(월)은 11 ~ 19℃, 가장 추운 달인 1月(월)은 -6 ~ 3℃이다.
비는 주로 여름(summer)에 많이 내리는데 연 降水量(강수량)의 50 ~ 60%가 이때 集中(집중)된다. 이를 장마(The rainy season)라고 하며 특히 6月(월) 末(말)에서 7月(월) 中旬(중순)까지를 장마철(The rainy season)이라 한다. 各(각) 地域(지역)의 年(연) 平均(평균) 降水量(강수량)은 中部(중부) 地方(지방)이 1100 ~ 1400mm, 南部(남부) 地方(지방)이 1000 ~ 1800mm, 慶北(경북) 地域(지역)이 1000 ~ 1200mm이다. 慶尙南道(경상남도) 海岸(해안)地域(지역)은 約(약) 1800mm이며 濟州島(제주도)는 1450 ~ 1850mm이다.
濕度(습도)는 7月(월)과 8月(월)이 높아서 全國(전국)에 걸쳐 80% 程度(정도)이고 9月(월)과 10月(월)은 70% 內外(내외)이다. 颱風(태풍)은 北太平洋(북태평양) 西部(서부)에서 年平均(연평균) 28個(개) 程度(정도)가 發生(발생)하여, 이 中(중) 두세 個(개)가 影響(영향)을 미친다.
本來(본래) 4季節(계절)이 뚜렷한 氣候(기후) 環境(환경)이었으나 地球(지구) 溫暖化(온난화) 等(등)의 影響(영향)으로 봄(spring), 가을(autumn)의 期間(기간)이 급격히 줄어들며 게릴라성(Guerrilla) 暴雨(폭우)로 特徵(특징)되는 熱帶性(열대성) 豪雨(호우)가 잦아 亞熱帶化(아열대화)가 進行(진행)되면서 漁業(어업)이나 農業(농업)에 變化(변화)가 있다.
動植物(동식물:(animals and plants)
시베리아(Siberia)호랑이(Tiger)는
한국호랑이(Korean Tiger)와 비슷한 種類(종류)이다.
韓半島(한반도) 全域(전역)에 動植物(동식물) 10萬(만) 餘宗(여종)이 分布(분포)한다.
호랑(Tiger)이 中(중)에서 가장 큰 종인시베리아(Siberia)호랑이(Tiger)가 過去(과거) 살았었으나 現在(현재)는 보이지 않는다.
그 밖의 猛獸(맹수)로는 반달곰(Half moon bear)과 표범(leopard)이 있으며 小數(소수) 個體群(개체군)이 生存(생존)한다.
그 밖에도 멧돼지(wild boar), 고라니(elk), 너구리(raccoon) 等(등)의 哺乳類(포유류)와 까치(Magpie), 꿩(pheasant), 참새(Sparrow), 비둘기(pigeon)를 비롯한 텃새(resident), 두루미(Crane), 기러기(Wild goose) 같은 철새(visitor)가 棲息(서식)하며 지네(centipede)나 거미(Spider), 數(수)많은 昆蟲類(곤충류)도 있다.
三面(삼면)이 바다(Sea)여서 亂流(난류)와 寒流(한류)에 棲息(서식)하는 多樣(다양)한 魚佩類(어패류)와 고래(whale)도 存在(존재)한다.
다만 最近(최근)에는 地球(지구) 溫暖化(온난화)로 寒流性(한류성) 魚類(어류)가 減少(감소)하고 불가사리(starfish)나 해파리(jellyfish)가 急增(급증)해서 큰 問題(문제)가 되고 있다.
山蔘(산삼)이나 진달래(Azalea), 소나무(Pine tree) 等(등) 많은 植物(식물)은 藥用(약용)이나 其他(기타) 여러 用途(용도)로 쓰인다.
濟州島(제주도)에는 熱帶林(열대림)과 비슷한 椰子樹(야자수)가 蕃育(번육)하며 智異山(지리산)이나 太白山脈(태백산맥)에는 北方系形(북방계형)의 特産(특산) 植物(식물)들이 自生(자생)한다.
白頭山(백두산)에는 시베리아(Siberia)나 滿洲(만주)에서만 볼 수 있는 針葉樹林(침엽수림)과 같은 北方系(북방계) 植物類(식물류)가 자란다. 中部(중부) 地方(지방)에는 높은 山地(산지)로 말미암아 高山形(고산형) 植物(식물)과 藥用植物(약용식물) 여러 種(종)이 自生(자생)한다.
天然資源(천연자원:(natural resources)
시멘트(cement)工業(공업)과 석회공업(石灰工業)의 原料(원료)인 石灰巖(석회암)은 韓國(한국)의 主要(주요) 資源(자원)으로 各地(각지)에 大量(대량) 分布(분포)해 있다. 다른 資源(자원)은 量(양)이 적거나 品質(품질)이 낮아 採算性(채산성)이 맞지 않는 탓에 거의 生産(생산)하지 않는다.
다만 21世紀(세기) 이래 國際(국제) 原資材(원자재) 價格(가격)의 上昇(상승)과 技術(기술)의 發展(발전)으로 再開場(재개장)하는 鑛山(광산)이 있다. 石炭(석탄)은 無煙炭(무연탄)만이 있으며 三陟(삼척), 太白一帶(태백일대)에 集中(집중)되어 있다.
鐵鑛石(철광석)은 襄陽(양양), 忠州(충주) 等地(등지)에서 主(주)로 캤다. 텅스텐(tungsten)은 埋藏量(매장량)이 매우 많으며 특히 寧越(영월)에 엄청난 規模(규모)의 鑛山(광산)이 있다.
蔚山(울산) 앞바다에서는 天然(천연)가스(natural gas)層(층)이 發見(발견)되어 開發(개발)하고 있으며, 獨島(독도) 附近(부근) 海底(해저)에는 메테인 하이드레이트(Methane hydrate)가 相當量(상당량) 묻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石油(석유)는 濟州島(제주도) 南方(남방) 海域(해역)의 大陸棚(대륙붕) 第(제)7鑛區(광구)에 천연가스(Natural gas)와 함께 埋藏(매장)되어 있을 可能性(가능성)이 言及(언급)되지만 實際(실제)로 探査(탐사)되지는 않았다. 이곳은 1974年(년)에 締結(체결)한 韓日(한일)大陸棚(대륙붕) 協定(협정)에 依(의)해 2028年(년)까지 韓日(한일)이 共同管理(공동관리)한다.
歷史(역사:(History)~紀元(기원:(origin)
韓民族(한민족)의 영산(靈山)으로 일컬어지는
白頭山(백두산) 天池(천지).
丹陽金窟舊石器遺蹟 단양금굴구석기유적
韓半島(한반도)에 두 발로 걷고 道具(도구)를 利用(이용)하는 사람들이 살기 始作(시작)한 時期(시기)는 紀元前(기원전) 約(약) 70萬年(만년) 以前(이전)으로 推定(추정)되며, 現生人類(현생인류)는 後期(후기) 舊石器(구석기) 時代(시대)인 約(약) 2萬(만) 5千年(천년) 前(전)부터 海岸(해안)과 江(강)가를 中心(중심)으로 居住(거주)하기 始作(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人骨(인골)化石(화석)으로는 忠淸北道(충청북도) 丹陽郡(단양군) 상시굴과 두루봉 洞窟(동굴), 堤川市(제천시) 점말굴 等(등)에서 現生人類(현생인류)로 推定(추정)되는 사람 뼈 化石(화석)이 發見(발견)된 바 있다. 以後(이후) 中石器(중석기) 時代(시대)와 新石器(신석기) 時代(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빗살무늬(Comb pattern)土器(토기)인, 無文土器(무문토기)인 等(등) 여러 人種(인종)의 流入(유입)과 周邊(주변) 勢力(세력)들과의 相互作用(상호작용)을 通(통)해 文明(문명)이 發展(발전)했다.
다만 初期(초기) 構成員(구성원)들의 異動(이동)과 外部(외부)勢力(세력) 流入(유입)의 具體的(구체적) 모습은 確實(확실)하지 않다.
韓半島(한반도) 一帶(일대)의 最初(최초)의 國家(국가)는 古朝鮮(고조선)이다. 一然(일연)의 《三國遺事(삼국유사)》에서는 現存(현존)하지 않는 《古記(고기)》를 引用(인용)하여 檀君王儉(단군왕검)이 古朝鮮(고조선)을 세웠다고 記錄(기록)하였고 《東國通鑑(동국통감)》에서 그 時期(시기)를 紀元前(기원전) 2333年(년)이라 하였다.
날짜는 大倧敎(대종교)에서 任意(임의)로 陰曆(음력) 10月(월) 3日(일)로 約束(약속)하고 開天節(개천절)이라 불렀는데 大韓民國(대한민국) 政府(정부)에서 그 날을 陽曆(양력)으로 고쳐 國慶日(국경일)로 指定(지정)하였다. 古朝鮮(고조선) 滅亡(멸망)을 前後(전후)하여 扶餘(부여), 沃沮(옥저), 東濊(동예), 辰國(진국), 三韓(삼한) 等(등) 여러 나라가 생겨났고, 以後(이후) 高句麗(고구려), 百濟(백제), 新羅(신라)의 三國時代(삼국시대)로 이어졌으며 이 中(중) 新羅(신라)가 三國(삼국)을 部分的(부분적)으로 統一(통일)하는 한편 北(북)쪽의 渤海(발해)와 함께 南北國(남북국) 時代(시대)를 形成(형성)했다.
10世紀(세기) 高麗(고려)가 登場(등장)하면서 韓民族(한민족) 單一(단일) 國家(국가)의 時代(시대)를 始作(시작)했고 14世紀(세기) 朝鮮(조선)이 이를 繼承(계승)했다.
近代(근대) 韓國(한국)의 뿌리는 1897年(년)에 樹立(수립)된 大韓帝國(대한제국)이다. 高宗(고종) 皇帝(황제)는 나라 이름을 조선(朝鮮)에서 대한(大韓)으로 고치고, 年號(연호)를 광무(光武)라 定(정)하고, 스스로 皇帝(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最初(최초)의 近代的(근대적) 憲法(헌법)인 大韓國(대한국) 國際(국제)를 頒布(반포)하였고, 美國(미국), 英國(영국), 獨逸(독일), 프랑스(France), 이탈리아(Italy), 러시아(Russia), 日本(일본), 淸(청)나라 等(등)과 修交(수교)하였다. 光武改革(광무개혁)을 斷行(단행)하여 新式軍隊(신식군대)를 設置(설치)하고, 近代的(근대적) 司法(사법)·土地(토지) 制度(제도)를 導入(도입)하고, 商工業(상공업)을 振興(진흥)하고, 近代的(근대적) 病院(병원)과 學校(학교) 및 銀行(은행) 等(등)을 設立(설립)하였다.
海外(해외)에 留學生(유학생)을 派遣(파견)하여 근대 産業技術(산업기술)을 習得(습득)하게 하고, 製造(제조)·鐵道(철도)·運輸(운수) 等(등) 여러 分野(분야)에서 近代的(근대적) 企業(기업)과 工場(공장)을 設立(설립)하였다.
그러나 大韓帝國(대한제국)의 自主的(자주적) 近代化(근대화) 努力(노력)은 1895年(년) 淸日(청일) 戰爭(전쟁)으로 日本(일본)의 影響力(영향력)이 커진 이래 干涉(간섭)을 받아왔으며, 1904年(년)에는 Russo-Japanese(러일)戰爭(전쟁)에서 日本(일본)이 勝利(승리)한 뒤로 日本(일본)의 韓國(한국)倂合(병합)이 本格化(본격화)되었다.
1905年(년) 乙巳條約(을사조약)을 武力(무력)으로 締結(체결)하여 外交權(외교권)을 剝奪(박탈)하고, 1907年(년) 高宗(고종) 皇帝(황제)를 廢位(폐위)하고, 1910年(년) 韓日倂合(한일병합) 條約(조약)을 通(통)해 國權(국권)을 빼앗기며 日帝强占期(일제강점기)로 轉換(전환), 近代的(근대적) 自主國家(자주국가)라는 目標(목표)는 사라지고 말았다.
大韓民國(대한민국) 臨時政府(임시정부)
大韓民國(대한민국) 臨時政府(임시정부)
國務院(국무원) 紀念寫眞(기념사진)(1919년 10월 11일).
1919年(년) 3月(월) 1日(일), 韓國人(한국인)들은 民族代表(민족대표) 33人(인)의 獨立宣言書(독립선언서) 朗讀(낭독)을 始作(시작)으로 獨立(독립)을 위한 3·1運動(운동)을 펼쳤다.
이 運動(운동)은 大體(대체)로 各(각) 地域(지역)에서 定期的(정기적)으로 열리던 場(장)(市場(시장)의 開場日(개장일)에 맞추어 全國(전국)으로 퍼져 나갔다.
日本(일본)은 示威(시위)를 武力(무력)으로 鎭壓(진압)하였으나 暴壓(폭압) 統治(통치) 方式(방식)의 限界(한계)를 느껴 憲兵警察(헌병경찰) 統治(통치)에서 文化統治(문화통치)로 轉換(전환)하였다.
이는 國內外(국내외) 獨立運動(독립운동)의 새로운 轉換點(전환점)을 마련하게 된다. 4月(월) 11日(일), 3·1運動(운동)의 精神(정신)을 이어받아 中華民國(중화민국) 상하이(上海)에서 大韓民國(대한민국) 臨時政府(임시정부)가 樹立(수립)되었다.
臨時政府(임시정부)는 大韓民國(대한민국) 臨時(임시)憲法(헌법)을 制定(제정)하여 大統領制(대통령제)와 3權(권) 分立(분립)을 採擇(채택)하고 韓國(한국)의 獨立(독립)을 위하여 外交(외교)·軍事的(군사적)으로 努力(노력)했다.
그러나 獨立運動(독립운동) 路線(노선)의 葛藤(갈등)으로 여러 人士(인사)들이 빠져나가면서 國務令(국무령) 中心(중심)의 集團指導體制(집단지도체제)로 轉換(전환)하고, 日帝(일제)의 妨害(방해)까지 겹쳐 온갖 苦難(고난)과 어려움을 겪었다.
1930年代(년대) 日本(일본)의 中國(중국) 侵奪(침탈)이 加速化(가속화)되자 內陸(내륙)으로 廳舍(청사)를 移轉(이전)하여 中日(중일)戰爭(전쟁)이 한창이던 1940年(년)에는 충칭시(重慶市)로 定着(정착)하였다.
以後(이후) 김구(金九)를 主軸(주축)으로 主席(주석)中心制(중심제)로 再整備(재정비)하고 조소앙(趙素昻)의 삼균주의[三均主義:獨立運動(독립운동) 內部(내부)의 左右翼(좌우익) 思想(사상)을 止揚(지양) 또는 綜合(종합)하여 獨立運動(독립운동)의 基本(기본)方略(방략) 및 未來(미래) 祖國建設(조국건설)의 指針(지침)으로 삼기 위하여 조소앙(趙素昻)이 主張(주장)한 民族主義的(민족주의적) 政治思想(정치사상)]를 建國綱領(건국강령)으로 採擇(채택)하였다.
韓國(한국) 光復軍(광복군)도 組織(조직)하여 1941年(년) 12月(월) 太平洋(태평양) 戰爭(전쟁)을 일으킨 日本(일본)에 宣傳布告(선전포고)하고 1942年(년) 2月(월)에는 對獨(대독) 宣戰布告(선전포고)까지 하여 聯合軍(연합군)의 一員(일원)으로 參戰(참전)하고자 하였다.
1942年(년)에는 左派(좌파) 系列(계열)인 朝鮮民族革命黨(조선민족혁명당)의 김규식(金奎植), 김원봉(金元鳳) 勢力(세력)과 김성숙(金星淑), 儒林(유림) 等(등)의 無政府主義者(무정부주의자)들이 臨時政府(임시정부)에 合流(합류)하여 民族統一戰線(민족통일전선) 形成(형성)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1943年(년) 버마(Burma) 戰線(전선)의 英國軍(영국군)과 聯合作戰(연합작전)을 展開(전개)하고자 工作隊(공작대)를 派遣(파견)하여 日本軍(일본군) 捕虜(포로) 取調(취조) 및 暗號(암호)飜譯(번역), 宣戰傳單(선전전단) 作成(작성), 對敵懷柔(대적회유) 放送(방송) 等(등)을 하였다.
美國[미국:OSS美國(미국) Office of Strategic Services 戰略(전략) 事務局(사무국)]와도 連繫(연계)하여 1945年(년) 9月(월)을 期限(기한)으로 國內(국내) 進攻作戰(진공작전)을 準備(준비)했으나, 8月(월) 15日(일) 日本(일본)이 降伏(항복)하여 成事(성사)되지 못했다.
現行(현행) 大韓民國(대한민국) 憲法前文(헌법전문)에는 大韓國民(대한국민)이 3·1運動(운동)에 따라 建立(건립)된 大韓民國(대한민국) 臨時政府(임시정부)의 法統(법통)을 繼承(계승)한다는 文句(문구)가 揷入(삽입)되었다.
軍政期(군정기)와 解放政局(해방정국)
1948年(년) 大韓民國(대한민국) 政府樹立(정부수립)
宣布式(선포식)
1945年(년) 8月(월) 15日(일)부터 1948年(년) 7月(월)까지
38線(선) 以南(이남)에서 使用(사용)한 太極旗(태극기)
1945年(년) 8月(월) 15日(일), 日本帝國(일본제국)이 美國(미국)에 무조건 降伏(항복)함으로써 大韓民國(대한민국)은 日帝治下(일제치하)로부터 벗어나 光復(광복)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光復(광복)以後(이후) 韓半島(한반도)는 얄타회담[Yalta會談(회담)1945年(년) 2月(월) 크림반도(Krym半島(반도)우크라이나(Ukraine)유럽동부(Eastern Europe) 흑해(黑海(흑해)유럽(Europe) 南東(남동)쪽 끝에 있는 巨大(거대)한 內陸海(내륙해)北(북)쪽에 있는 共和國(공화국) 南部(남부)에 있는 半島(반도)의 얄타(Yalta)에서 열린 聯合國 首腦會談(연합국수뇌회담)]에서 이루어진 非公式的(비공식적) 合議(합의)에 따라 蘇聯(소련)과 美國(미국)의 信託統治下(신탁통치하)에 들어갔다.
1945年(년) 9月(월)에는 韓半島(한반도)의 北緯(북위) 38度線(도선)을 境界(경계)로 南(남)쪽은 美軍(미군)이, 北(북)쪽은 舊(구) 蘇聯軍(소련군)이 布告令(포고령)을 宣布(선포)하여 各各(각각) 軍政(군정)을 實施(실시)하면서 韓半島(한반도)는 南(남)과 北(북)으로 分斷(분단)되었다.
光復(광복)以後(이후) 여운형(呂運亨), 안재홍(安在鴻) 等(등)은 1944年(년) 設立(설립)한 地下組織(지하조직)인 建國同盟(건국동맹)을 母胎(모태)로 朝鮮建國準備委員會(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開催(개최)하였고, 9月(월) 여운형(呂運亨), 박헌영(朴憲永) 等(등)에 依(의)해 朝鮮人民共和國(조선인민공화국) 內閣(내각)이 樹立(수립)되었다.
그러나 1945年(년) 11月(월) 中華民國(중화민국) 쓰촨성 충칭(四川省重慶市)에서 個人(개인) 資格(자격)으로 歸國(귀국)한 大韓民國臨時政府(대한민국임시정부) 要人(요인)들과 '臨政正統論(임정정통론)' 問題(문제)로 葛藤(갈등)이 벌어졌고, 美軍政(미군정)은 맥아더(MacArthur) 布告令(포고령)에 따라 人共內閣(인공내각)(朝鮮人民共和國(조선인민공화국) 內閣(내각)과 臨時政府(임시정부)를 承認(승인)하지 않음으로써 人共內閣(인공내각)은 解散(해산)되었다.
1945年(년) 12月(월)에 모스크바(Moscow) 三相會議(삼상회의)에서 信託統治案(신탁통치안) 問題(문제)를 놓고 韓半島(한반도) 內(내)에는 左(좌), 右翼(우익) 勢力間(세력간) 對立(대립)이 激化(격화)되었다.
곧이어 1946年(년) 5月(월)에는 美蘇共委(미소공위)가 開催(개최)되었으나 兩側(양측)의 主張(주장)이 엇갈려 決裂(결렬)되었다.
이때 김규식(金奎植), 여운형(呂運亨), 안재홍(安在鴻) 等(등)은 統一(통일) 臨時政府(임시정부) 樹立(수립)을 위해 左右合作運動(좌우합작운동)을 開始(개시)하여 美蘇共委(미소공위)를 再開(재개)하고자 하였지만, 漢民黨(한민당)과 南勞黨(남로당) 等(등) 左右翼勢力間(좌우익세력간)에 不參(불참)으로 中度派(중도파) 勢力(세력)만의 運動(운동)으로 縮小(축소)되었다. 1945年(년) 12月(월) 송진우(宋鎭禹) 暗殺(암살), 1947年(년) 7月(월)에 여운형(呂運亨) 暗殺(암살) 等(등) 解放政局(해방정국)의 잇단 事件(사건)으로 左右合作運動(좌우합작운동)은 失敗(실패)로 끝났다.
大韓民國(대한민국) 政府樹立(정부수립)
美軍政廳(미군정청)이 1946年(년) 7月(월) 서울(Seoul)地域(지역) 1萬(만)餘名(여명)에게 實施(실시)한 '어떤 政府形態(정부형태)를 원하는가'에 대한 輿論調査(여론조사)에서 70%가 "社會主義(사회주의)를 支持(지지)한다"라고 밝힌 商況(상황)에서 和順炭鑛(화순탄광) 勞動者(노동자)들의 生存權(생존권) 保障(보장)을 要求(요구)하며 벌인 蜂起(봉기)에 대한 流血(유혈)鎭壓(진압)과 社會主義的(사회주의적)인 人民共和國(인민공화국)을 認定(인정)하지 않고 自信(자신)의 뜻을 貫徹(관철)하고자 했던 美軍政(미군정)은 穩健派(온건파)인 김규식(金奎植), 안재홍(安在鴻), 여운형(呂運亨)을 通(통)해 左右合作(좌우합작)과 協商(협상)을 主導(주도)하게 했다.
그러나 헤게모니(hegemony) 掌握(장악)에서 除外(제외)된 것에 不滿(불만)을 품은 이승만(李承晩), 김구(金九), 윤치영(尹致暎), 박헌영(朴憲永), 허헌(許憲) 等(등)의 反撥(반발)에 逢着(봉착)하게 되었다.
以後(이후) 第(제)2次(차) 美蘇共委(미소공위) 마저 決裂(결렬)되어버리자 美國(미국)은 韓半島(한반도) 問題(문제)를 유앤(UN) 總會(총회)로 移管(이관)했고, 總會(총회)에서 南韓(남한) 內(내) 單獨政府(단독정부) 樹立(수립)이 決定(결정)되었다.
이에 김규식(金奎植), 조소앙(趙素昻), 김구(金九) 等(등)은 統一政府(통일정부)를 樹立(수립)하기 위해 南北協商(남북협상) 等(등)을 推進(추진)하여 努力(노력)하였으나 水泡(수포)로 돌아가고, 南韓(남한)에서도 選擧(선거) 可能(가능)한 地域(지역)에 한한 政府樹立論(정부수립론)이 提起(제기)되면서 정읍 발언(井邑發言)은 美軍政期(미군정기)에 이승만(李承晩)이 各地(각지)를 巡廻(순회)하는 途中(도중) 1946年(년) 6月(월) 3日(일)에 全北(전북) 井邑(정읍)에서 '南側(남측)만이라도 臨時政府(임시정부) 혹은 委員會(위원회) 같은 것을 組織(조직)할 것'을 强調(강조)하는 內容(내용)의 發言(발언)을 한 것을 말한다.
이는 向後(향후) 이승만(李承晩)의 政治性向(정치성향)을 여실히 드러내었던 發言(발언)이었다. 事實上(사실상) 南北(남북) 單一政府(단일정부) 樹立(수립)은 不可能(불가능)한 모양새가 되었다.
1948年(년) 1月(월)부터 韓半島(한반도)의 政局(정국)은 單獨政府(단독정부) 樹立論(수립론)과 南北(남북) 協商(협상)을 通(통)한 政府樹立論(정부수립론)을 놓고 意見(의견)이 갈라서게 되었다.
그러나 1948年(년) 2月(월) 38線(선) 以北(이북)에서는 北朝鮮)人民委員會(북조선인민위원회)를 構成(구성)하고, 朝鮮人民軍(조선인민군)을 創建(창건)하면서 分斷(분단)은 事實上(사실상) 不可避(불가피)하게 되었다.
5月(월) 10日(일) 38度線(도선) 以南(이남)에서만 制憲議員(제헌의원) 總選擧(총선거)가 實施(실시)되어 制憲國會(제헌국회)가 誕生(탄생)하였고, 같은 해 7月(월) 17日(일)에는 初代憲法(초대헌법)인 大韓民國(대한민국) 制憲憲法(제헌헌법)이 構成(구성)되었다.
7月(월) 22日(일)에는 國會(국회)의 間接選擧(간접선거)로 이승만(李承晩)이 初代(초대) 大統領(대통령), 이시영(李始榮)이 初代(초대) 副統領(부통령)으로 選出(선출)되었고, 8月(월) 15日(일)에는 大韓民國(대한민국) 政府樹立(정부수립)이 宣布(선포)되었다.
12月(월) 12日(일) "유엔 총회(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의 195(III) 韓國(한국)의 獨立(독립)問題(문제)"에서 大韓民國(대한민국)이 "韓半島(한반도)에서 有一(유일)하게 그러한 정부(the only such Government in Korea)"임을 宣言(선언)하였다.
여기서 '그러한'은 大韓民國(대한민국)이 臨時委員團(임시위원단)의 監視下(감시하)에서 住民(주민)들 大多數(대다수)의 自由(자유) 意思(의사)에 따라 樹立(수립)되었고, 分斷狀態(분단상태)를 考慮(고려)할 때 選擧(선거)가 可能(가능)했던 그 地域(지역)에 대한 有效(유효)한 支配權(지배권)과 管轄權(관할권)을 가진 合法政府(합법정부)임을 뜻한다.
이미 48年(년) 9月(월) 9日(일)에 韓半島(한반도) 以北(이북)에서는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宣布(선포)되었음에 미루어 그 해 12月(월)의 決意(결의)는 大韓民國(대한민국)만을 韓半島(한반도)에서 有一(유일)한 合法政府(합법정부)로 認定(인정)한 것이다.
李明博(이명박) 政府(정부)에서 만든 새 敎育課程(교육과정)에서 敎科書(교과서) 執筆進(집필진)이 學會(학회)에 諮問(자문)한 結果(결과) "1948年(년) 12月(월) 유엔(UN)決意(결의)에서 大韓民國(대한민국)은 ‘유엔(UN)韓國臨時委員團(한국임시위원단)의 監視(감시)가 可能(가능)한 地域(지역)에서 樹立(수립)된 有一(유일)한 合法政府(합법정부)’로 認定(인정)됐으며, 南北韓(남북한)이 1991年(년) 유엔(UN)에 同時(동시) 加入(가입)했기 때문에 ‘韓半島(한반도) 有一(유일)의 合法政府(합법정부)’라 明視(명시)하는 것은 是非(시비)의 소지가 있다"고 하면서 '有一(유일)한 合法政府(합법정부)는 1948年(년) 政府(정부)에 限定(한정)'되어 是非(시비)의 對象(대상)이 될 수 있는 '有一(유일)한 合法政府(합법정부)'를 除外(제외)했으나 政府側(정부측)의 要求(요구)로 包含(포함)시켰는데 2019年(년) 5月(월) 2日(일) 公開(공개)된 中(중)·高校(고교) 歷史敎科書(역사교과서)의 執筆基準 試案(집필기준시안)에서 大韓民國(대한민국)이 ‘韓半島(한반도)의 有一(유일)한 合法政府(합법정부)’라는 表現(표현)이 빠졌다.
韓國戰爭(한국전쟁)
6·25 戰爭(전쟁) 中(중) 同生(동생)을 등에 업고 지나가는
少女(소녀)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金日成)은 南侵(남침)을 企圖(기도)하여 共産主義化(공산주의화) 하려는 野望(야망)을 實現(실현)하고자 準備(준비)하였다. 蘇聯(소련)의 指導者(지도자)인 이오시프 스탈린(Иосиф Сталин:Joseph Stalin)의 承認(승인)을 받자, 1950年(년) 6月(월) 25日(일) 새벽 4時(시)에 蘇聯(소련)에서 支援(지원)받은 數十(수십)대의 蘇聯製(소련제) 탱크(Tank)를 앞세워 大韓民國(대한민국)을 侵攻(침공)했다.
當時(당시) 大韓民國(대한민국)에는 탱크(Tank)의 攻勢(공세)를 막을 수 있는 防禦策(방어책)이 전혀 없었고 野砲(야포)와 戰鬪機(전투기) 等(등) 모든 것이 壓倒的(압도적)으로 劣勢(열세)였기 때문에 銃(총)만 가진 거의 맨 몸의 韓國軍(한국군)은 瞬息間(순식간)에 밀려날 수 밖에 없었다.
그렇게 大韓民國(대한민국)은 朝鮮人民軍(조선인민군)이 侵掠(침략)한 3日(일)만에 首都(수도)인 서울(Seoul)을 人民軍(인민군)에게 빼앗기게 된다.
緻密(치밀)하게 計劃(계획)하고 武裝(무장)한 人民軍(인민군)을 相對(상대)하는 것이 鷄卵(계란)으로 바위치기였던 韓國軍(한국군)은 結局(결국) 밀려나 洛東江(낙동강) 防禦線(방어선)을 最後(최후)의 背水陣(배수진)으로 定(정)하고 버티었다.
이 課程(과정)에서 數(수)많은 어린 學生(학생)들(學徒兵(학도병)들이 無故(무고)하게 죽어나갔으며 많은 死傷者(사상자)와 人命被害(인명피해)가 招來(초래)되었다.
하지만 유엔군(UN forces)이 派兵(파병)으로 支援(지원)하고 유엔군(UN forces) 總司令官(총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가 9月(월).15日(일) 仁川上陸作戰(인천상륙작전)을 벌여 朝鮮人民軍(조선인민군)에 反擊(반격)을 始作(시작)하자 얼마 지나지 않아 大韓民國(대한민국)은 9月(월) 27日(일)에 서울(Seoul)을 奪還(탈환)해냈다.
10月(월) 1日(일)에는 38度線(도선)까지 收復(수복)해서 原點(원점)으로 돌아갔다. 이 때 유엔(UN)內部(내부)에서 맺어진 새로운 決意(결의)로 유엔군(UN forces)의 目的(목적)이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完全(완전)히 攻掠(공략)하려는 目的(목적)으로 變更(변경)되었다.
以後(이후) 韓國(한국)과 유엔군(UN forces)은 거듭해서 10月(월) 26日(일)에는 鴨綠江(압록강)까지 올라갔으나 곧 이어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이 人海戰術(인해전술)을 펼치며 參戰(참전)하고 蘇聯(소련)이 軍事(군사)를 支援(지원)하여 戰勢(전세)가 다시 逆戰(역전)되었고 戰爭(전쟁)은 長期化(장기화)되었다.
以後(이후) 38度線(도선) 隣近(인근) 中部地方(중부지방)에서 膠着(교착)을 거듭하던 1953年(년) 7月(월) 27日(일)에 休戰協定(휴전협정)이 午前(오전) 10時(시)에 締結(체결)된 後(후)에 效力(효력)이 發生(발생)한 22時(시)에 完全(완전)히 戰鬪(전투)가 終了(종료)되고 軍事分界線(군사분계선)이 形成(형성)되면서 오늘날까지 休戰狀態(휴전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韓國戰爭(한국전쟁)으로 20萬名(만명)이 寡婦(과부)가 되었고 10萬餘名(여만명) 以上(이상)이 孤兒(고아)가 되었으며 1千萬(천만)餘名(여명) 以上(이상)이 離散家族(이산가족) 身世(신세)가 되었다. 韓半島內(한반도내) 45%에 이르는 工業施設(공업시설)이 破壞(파괴)된 탓에 經濟的(경제적), 社會的(사회적) 暗黑期(암흑기)가 到來(도래)하여 韓國(한국)과 北韓(북한)의 經濟水準(경제수준)이 떨어졌다.
무엇보다도 이 戰爭(전쟁)으로 因(인)해 南北間(남북간)에 서로에 대한 敵對的(적대적) 感情(감정)이 極度(극도)로 澎湃(팽배)하게 되어 韓國(한국)의 分斷(분단)이 더욱 固着化(고착화)되면서, 分斷(분단)한 지 70餘年(여년)에 이르고 있다.
第(제)1·2共和國(공화국)~1960年(년) 4.19 革命(혁명).
韓國戰爭(한국전쟁)이 休戰協定(휴전협정)을 맺은 後(후) 1950年代(년대)는 美國(미국)으로부터 支援(지원)을 받아 戰後復舊事業(전후복구사업)을 實施(실시)하는 가운데 經濟援助體制(경제원조체제)가 成立(성립)되던 時期(시기)였다.
第(제)1共和國(공화국) 政權(정권)의 高位官僚(고위관료)는 腐敗(부패)해 國民(국민)의 不滿(불만)을 샀다. 議員內閣制(의원내각제)였던 第(제)1代(대) 內閣(내각)에서 再選(재선)이 不可能(불가능)하다 判斷(판단)한 이승만(李承晩)은 이범석(李範奭)과 장택상(張澤相)을 비롯한 側近(측근)들과 族靑系(족청계)[朝鮮民族靑年團)1946年(년)에 서울(Seoul)에서 結成(결성)된 右翼靑年團(우익청년단).
1946年(년) 10月(월)에 美軍政(미군정)의 全面的(전면적)인 後援(후원)을 받으면서 이범석(李範奭)이 組織(조직)한 右翼靑年團(우익청년단)이다. 非政治(비정치), 非軍事(비군사), 非宗派(비종파)를 내세우며 靑年(청년)들에 대한 訓鍊(훈련)에 置重(치중)해 100萬名(만명)이 넘는 靑年(청년)들을 組織(조직)했다.
思想的(사상적)으로는 民族至上(민족지상), 國家至上(국가지상)을 내걸어 强(강)한 民族主義(민족주의) 性向(성향)을 보이는 한편 左翼出身(좌익출신)들을 積極的(적극적)으로 包攝(포섭)하기도 했다.
이범석(李範奭)의 政治活動(정치활동)의 基盤(기반)이 되었으며 1949年(년)에 이승만(李承晩)의 指示(지시)로 解散(해산)되었지만 그 뒤에도 ‘族靑系(족청계)’라는 形態(형태)로 남아 自由黨(자유당) 創黨課程(창당과정)에서 큰 役割(역할)을 했다.
백골단[白骨團:各種(각종) 示威(시위)를 鎭壓(진압)하는 일을 擔當(담당)하는 私服(사복)차림의 警察(경찰)을 속되게 이르는 말, 땃벌떼 等(등)을 動員(동원)하여 釜山政治波動(부산정치파동)(1952年(년), 四捨五入改憲(사사오입개헌)(1954年(년)을 일으키고 長期執權(장기집권)을 推進(추진)했다.
그러나 이범석(李範奭), 장택상(張澤相) 等(등)의 成長(성장)을 두려워한 이승만(李承晩)은 이들을 除去(제거)하고 이기붕(李起鵬) 系列(계열)을 登用(등용)한다.
이기붕(李起鵬) 系列(계열)은 또한 親自由黨(친자유당) 性向(성향)의 李丁載(이정재), 林和秀(임화수), 柳志光(유지광) 等(등)의 政治(정치)깡패들을 活用(활용)하여 野黨議員(야당의원)의 集會(집회)를 彈壓(탄압), 第(제)1共和國(공화국) 後半期(후반기)는 混亂(혼란)을 거듭했다.
그 渦中(와중)에 副統領(부통령) 장면(張勉)의 被擊事件(피격사건)(1958年(년)과 조봉암(曺奉岩) 사법살인[司法殺人:起訴(기소)된 사람들이 罪(죄)가 없는데도 有罪(유죄)를 確定(확정)하고 死刑(사형)을 宣告(선고)한 後(후) 서둘러 死刑(사형)을 執行(집행)하는 일.]
(1959年(년) 等(등)의 措置(조치)까지 兼(겸)해졌고 言論(언론)의 自由(자유)마저 統制(통제)당했다.
1959年(년)의 韓日會談(한일회담)이 끝나자 곳곳에서 政府(정부)의 獨裁(독재)에 抵抗(저항)하는 集會(집회)가 始作(시작), 1960年(년) 3月(월) 15日(일) 副統領(부통령) 選擧(선거)의 不正(부정)을 契機(계기)로 國民(국민)들의 不滿(불만)은 極(극)에 달해 4·19 革命(혁명)이 發生(발생)했고, 馬山(마산) 앞바다에서 며칠 前(전) 失踪(실종)되었던 김주열(金朱烈)의 주검이 떠오르면서 示威(시위)는 激化(격화)되었다.
4月(월) 26日(일) 이승만(李承晩) 大統領(대통령)이 下野(하야)를 宣言(선언)하여 第(제)1共和國(공화국)은 崩壞(붕괴)했다.
第(제)2共和國(공화국) 國務總理(국무총리) 장면(張勉)
4·19 革命(혁명) 以後(이후) 허정과도내각[許政過渡內閣:第(제)1共和國(공화국) 崩壞(붕괴) 以後(이후) 1960年(년) 4月(월) 27日(일) 構成(구성)되어 1960年(년) 6月(월) 15日(일)까지 第(제)2共和國(공화국)이 登場(등장)하기 以前(이전) 過渡政府(과도정부).를 거쳐 장면(張勉)을 首相(수상)으로 하는 第(제)2共和國(공화국)이 樹立(수립)됐다
. 第(제)2共和國(공화국)은 3次(차) 改憲(개헌)을 通(통)해 內閣責任制(내각책임제)와 兩院制(양원제)를 構成(구성)했고, 言論(언론) 自由(자유)와 革新系(혁신계) 政治活動(정치활동)을 許容(허용)했다.
第(제)2共和國(공화국) 當時(당시) 各界各層(각계각층)의 統一運動(통일운동)과 民主化(민주화) 要求(요구)가 噴出(분출)되기도 했는데, 執權與黨(집권여당)인 民主黨(민주당) 사이에서 新派(신파)와 舊派(구파)가 나뉘어버려서 改革意志(개혁의지)가 微弱(미약)한 탓에 이러한 要求(요구)들을 受容(수용)하지 못했다.
곳곳에서 데모(demo)가 연이어 벌어졌고, 장면(張勉)이 단호한 措置(조치)를 計劃(계획)하던 中(중) 1961年(년) 5月(월) 16日(일) 새벽 5·16 쿠데타(Coup d'etat)로 內閣(내각) 閣僚(각료)들이 逮捕(체포)되면서 장면(張勉) 內閣(내각)은 1年(년) 남짓밖에 執權(집권)하지 못하고 무너졌다.
그 뒤 윤보선(尹潽善)은 形式的(형식적)인 民情(민정)을 實施(실시)하였으나 軍事政變(군사정변) 勢力(세력)에게 舊政治人(구정치인) 淨化法(정화법)(1962年(년)으로 政治活動(정치활동)을 停止(정지)당하자 여기에 不滿(불만)을 품고 辭退(사퇴)(1962年(년).3月(월).22日(일)함으로써 1962年(년) 3月(월)부터 1963年(년) 12月(월)까지 5·16 軍事政變(군사정변) 勢力(세력)이 設立(설립)한 國家再建最高會議(국가재건최고회의)가 司法權(사법권)·行政權(행정권)·立法權(입법권)을 모두 掌握(장악)하고 軍政(군정)을 實施(실시)했다.
第(제)3·4共和國(공화국)~1961年(년)
5.16 軍事政變(군사정변) 當時(당시) 박정희(朴正熙).
1963年(년) 12月(월) 5·16 軍事政變(군사정변)을 主導(주도)한 박정희(朴正熙) 等(등)에 依(의)해 第(제)3共和國(공화국)이 樹立(수립)됐다. 野黨(야당) 候補(후보)인 윤보선(尹潽善)과의 두 次例(차례)의 選擧戰(선거전)에서 10萬(만) 표 안팎의 근소한 차로 執權(집권)하였다.
在任(재임) 初盤(초반) 韓日協定(한일협정)을 推進(추진)하는 課程(과정)에서 公憤(공분)을 사 일어난 示威(시위)를 武力(무력) 鎭壓(진압)하며 强行(강행)했다. 1960年(년)대 開發獨裁(개발독재)의 一環(일환)으로 政府(정부)는 輕工業(경공업) 中心(중심)의 輸出(수출) 主導形(주도형) 發展(발전)과 韓日協定(한일협정)·베트남(Vietnam) 戰爭(전쟁) 派兵(파병) 等(등)을 通(통)한 外貨獲得(외화획득)으로 經濟發展(경제발전)을 꾀했다.
1970年(년)대에는 重化學工業(중화학공업)과 電子産業(전자산업)을 集中的(집중적)으로 育成(육성)했다. 하지만 都市(도시)와 農村(농촌)의 所得隔差(소득격차), 低賃金(저임금) 勞動(노동)과 貧富隔差(빈부격차)와 같은 問題(문제)도 남겼다.
以後(이후) 박정희(朴正熙) 政府(정부)는 3選(선) 改憲(개헌)을 通過(통과)시키고 1971年(년) 大選(대선)에서 3選(선)에 成功(성공)한다.
그런데 大選(대선)에서 野黨(야당) 候補(후보)가 突風(돌풍)을 일으키고 같은 해 總選(총선)에서 野黨(야당)의 議席數(의석수)가 2倍(배)로 늘어나는 善戰(선전)을 이룬 데다가 第(제)1次(차) 石油波動(석유파동) 等(등)으로 經濟成長(경제성장)도 限界(한계)를 보이기 始作(시작)하면서 政權維持(정권유지)에 危機(위기)를 느낀 박정희(朴正熙) 政府(정부)는 1972年(년) 維新憲法(유신헌법)을 通過(통과)시키고, 第(제)4共和國(공화국)을 宣布(선포)하였다.
1971年(년) 大統領(대통령) 選擧(선거)에서 野黨(야당)의 突風(돌풍)으로 不安感(불안감)을 느낀 박정희(朴正熙)는 1972年(년) 7·4 南北共同聲明(남북공동성명)을 發表(발표)하고, 統一(통일)을 準備(준비)한다는 名目(명목)으로 10月(월) 維新(유신)을 宣布(선포)해 維新體制(유신체제)를 樹立(수립)했다.
이를 通(통)해 大統領(대통령)의 任期(임기)를 6年(년) 連任制(연임제)로 修整(수정)하는가 하면 國會議員(국회의원)을 大統領(대통령)이 任命(임명)하게 할 수 있는 法案(법안)까지 通過(통과)시키는 等(등) 大統領(대통령)의 權限(권한)을 非正常的(비정상적)으로 擴大(확대)시켰다.
이에 勞動運動)界(노동운동계), 在野(재야)와 學生勢力(학생세력) 等(등)이 民主化(민주화)를 要求(요구)하지만, 政府(정부)는 잇따른 緊急措置(긴급조치)를 通(통)해 억눌렀다.
하지만 民主化 運動 勢力(민주화운동세력) 및 勞動運動家(노동운동가)의 反撥(반발)은 繼續(계속)되었다. 美國(미국)이 韓國(한국)의 '人權侵害(인권침해)'를 批判(비판)하기 始作(시작)하자 韓美間(한미간) 外交的(외교적) 摩擦(마찰)이 일어났다.
第(제)2次(차) 石油波動(석유파동)까지 겪으면서 經濟危機(경제위기)와 內部(내부) 混亂(혼란)이 크게 加重(가중)되었다.
金泳三(김영삼) 議員除名(의원제명) 波動(파동)과 YH 事件(사건:貿易女工事件(무역여공사건)은 1979年(년) 8月(월) 9日(일)∼11日(일) 會社(회사) 閉業措置(폐업조치)에 抗議(항의)하며 新民黨(신민당) 黨舍(당사)에서 籠城示威(농성시위)를 벌이던 와이에이치(YH)貿易(무역) 女性勞動者(여성노동자)들 中(중) 1人(인)이 警察(경찰)의 强制鎭壓(강제진압)에 依(의)해 死亡(사망)한 事件(사건). 釜馬抗爭(부마항쟁) 等(등)의 社會的抵抗(사회적저항)이 持續(지속)되었다.
이러한 일들은 權力內部(권력내부)의 分列(분열)을 招來(초래)하였으며, 1979年(년) 박정희(朴正熙)가 中央情報部(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에게 暗殺(암살)되면서(10月(월)·26日(일) 事件(사건) 박정희(朴正熙)의 17年(년) 長期執權(장기집권)은 幕(막)을 내렸다.
10月(월)·26日(일) 事件(사건)以後(이후) 維新體制下(유신체제하)에서 國務總理(국무총리) 崔圭夏(최규하)가 이끄는 政府(정부)가 出帆(출범)했다. 維新憲法(유신헌법) 廢止(폐지)를 通(통)해 民主化(민주화)를 推進(추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던 時期(시기), 崔圭夏(최규하) 政府(정부)는 緊急措置(긴급조치)를 解除(해제)함으로써 一部(일부) 政治的(정치적) 抑壓(억압)을 緩和(완화)했고, 1979年(년) 12月(월)과 1980年(년) 2月(월), 1980年(년) 4月(월)에 大赦免令(대사면령)을 斷行(단행)하였다.
그러나 全斗煥(전두환)을 비롯한 이들이 12月(월) 12日(일)에 軍事反亂(군사반란)을 일으켜 實權(실권)을 掌握(장악)하였고, 급기야 崔圭夏(최규하) 大統領(대통령)에게 干涉(간섭)하기 始作(시작)했다. 이들은 1980年(년) 쿠데타(Coup d'etat)를 일으키면서 崔圭夏(최규하) 政府(정부)는 1980年(년) 8月(월) 崔圭夏(최규하) 大統領(대통령)의 辭任(사임)으로 崩壞(붕괴)되고 말았다.
第(제)5共和國(공화국)
全斗煥(전두환)과 하나회(One time)를 中心(중심)으로 한 新軍部(신군부)는 12月(월)·12日(일) 軍事反亂(군사반란)을 일으켜 戒嚴司令官(계엄사령관)을 逮捕(체포)하고 軍部(군부)를 掌握(장악)하여 實勢(실세)로 떠올랐고, 民主化(민주화) 日程(일정)을 遲滯(지체)시켰다.
1980年(년) 初(초)부터 國會(국회)와 政府(정부)는 維新憲法(유신헌법)을 撤廢(철폐)하기 위한 改憲論議(개헌논의)를 進行(진행)했고, 大學生(대학생)과 在野(재야) 勢力(세력)도 政治日程(정치일정) 提示(제시)와 全斗煥(전두환) 退陣(퇴진)要求(요구)를 바탕으로 民主化(민주화) 示威(시위)를 벌였다.
이에 新軍部(신군부)는 5月(월) 17日(일) 非常戒嚴(비상계엄)을 全國(전국)擴大(확대)하면서, 이른바 "화려한 休暇(휴가)"라고 불리는 布告令(포고령)을 通(통)해 "政治活動(정치활동) 禁止(금지)", "報道檢閱(보도검열) 强化(강화)", "休校領(휴교령)" 等(등)을 宣布(선포)하고 軍兵力(군병력)을 動員(동원)해 國會(국회)를 閉鎖(폐쇄)했다
5月(월).17日(일) 쿠데타(Coup d'etat)]이 課程(과정)에서 新軍部(신군부)는 5月(월)·17日(일) 쿠데타(Coup d'etat)에 抗拒(항거)한 光州民主化(광주민주화) 運動(운동)을 空輸部隊(공수부대) 및 特戰旅團(특전여단)을 投入(투입)해 流血鎭壓(유혈진압)을 하고, 5月(월) 27日(일) 國家保衛非常對策委員會(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어 政局(정국)을 主導(주도)했다.
10月(월) 27日(일)에는 7年(년) 단임의 大統領制(대통령제)를 骨子(골자)로 한 第(제)5共和國(공화국) 憲法(헌법)이 公布(공포)되고 이듬해 第(제)5共和國(공화국)이 出帆(출범)했다.
第(제)5共和國(공화국)은 經濟(경제) 安定(안정)에 邁進(매진)하는 한편, 1981年(년)에는 1986年(년) 아시안 게임(Asian Games), 1988年(년) 서울올림픽(Seoul Olympic)等(등)을 誘致(유치)하기도 했다. 또한 夜間通行禁止(야간통행금지) 解除(해제) 및 校服自律化(교복자율화) 等(등)의 宥和措置(유화조치)를 내걸어 國民(국민)들의 不滿(불만)을 잠재우기도 했다. 한편으로 任期中盤(임기중반)부터 3저호황[三低好況:1980年代(년대)에 金利(금리), 元貨(원화), 油價(유가)의 價値(가치)가 낮은 狀況(상황)을 背景(배경)으로 우리나라 企業(기업)의 輸出(수출)이 크게 늘어남으로써 우리나라 經濟(경제)가 맞이한 好況(호황)으로 因(인)한 輸出(수출) 黑字(흑자)를 記錄(기록)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權威主義的(권위주의적)인 獨裁體制(독재체제)를 成立(성립)하고 民主主義(민주주의) 彈壓(탄압) 및 拷問(고문)·政治査察(정치사찰)·容共造作(용공조작)으로 代辨(대변)되는 人權蹂躪行爲(인권유린행위)를 恣行(자행)했으며, 政經癒着(정경유착)·不正蓄財(부정축재)·親姻戚非理(친인척비리)가 頻發(빈발)했다.
1987年(년) 1月(월) 朴鍾哲(박종철)이 拷問(고문)으로 致死(치사)하는 事件(사건)이 터지자 政府(정부) 退陣(퇴진)과 民主化(민주화) 要求(요구)의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이에 政府(정부)는 護憲措置(호헌조치)를 取(취)하며 "改憲(개헌)할 意圖(의도)가 없음"을 내세웠고, 國民(국민)들의 民主化(민주화) 要求(요구)는 더욱 빗발쳐 6月(월) 抗爭(항쟁)으로 이어졌다.
마침내 全斗煥(전두환) 大統領(대통령)은 民政黨(민정당) 總裁(총재) 盧泰愚(노태우)를 通(통)해 6月(월)·29日(일) 宣言(선언)을 發表(발표)하면서 國民(국민)의 改憲要求(개헌요구)를 受容(수용)했다.
改正(개정)된 憲法(헌법)에 따라 치러진 第(제)13代(대) 大統領(대통령) 選擧(선거)에서는 與黨(여당) 盧泰愚(노태우)가 當選(당선)되었고, 1988年(년) 2月(월) 就任式(취임식)과 함께 第(제)5共和國(공화국)은 幕(막)을 내린다.
1988年(년) 서울 올림픽(Seoul Olympics)第(제)6共和國(공화국)
盧泰愚(노태우) 政府(정부)와 文民政府(문민정부)
梁芳秀(양방수) 祖國(조국)을 찾아가 보다...前篇(전편)...
梁芳秀(양방수) 祖國(조국)을 찾아가 보다...前篇(전편)...
梁芳秀(양방수) 祖國(조국)을 찾아가 보다...前篇(전편)...
梁芳秀(양방수) 祖國(조국)을 찾아가 보다...前篇(전편)...
梁芳秀(양방수) 祖國(조국)을 찾아가 보다...前篇(전편)...
梁芳秀(양방수) 祖國(조국)을 찾아가 보다...前篇(전편)...
|
첫댓글 이승철~화 2021-02-16 오전 1:04 ~ 양선생님 귀한 자료와 사진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진이 역사를 증언 합니다.참으로 대단 하십니다. 이렇게 기록 할 수 있다는 것은 보통 실력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