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자가 항상 들고 다니는 강사가방

구성물 좌로부터 세안용품, 젤리, 썬크림, 손목콤파스 두개,(서해 같은 경우 회원이 없을 경우대비 비상용)
잠수테이블,압박붕대, 마스크용렌즈, 해파리 물렸을 경우 해독을 위한 버물린, 비너여분, 방수용데이프,
대일밴드, 방수팩
전체 회원분들 중에 응급상태를 위해 들고 다니는 제 가방입니다.
특히 항상 다이빙테이블을 들고 다니는데 다이빙테이블에 대한 질문이나 수면휴식등 질문을 하시는 분이
없어 진지하게 다이빙테이블에서 말하는 수면휴식을 말하고자 합니다.
수면휴식 시간은 *수중에서 나온 수면부터 시간+보트승선+리조트휴식시간+다시 입수 하기 시간까지 포함*
1. 수면휴식이란 무엇인가?
2. 수면휴식은 왜 해야 하는가?
3. 얼마동안 수면휴식을 해줘야 하는가?
첫번째 수면 휴식은 고압탱크에서 나온 공기를 입에서 땐 순간인 수면 0m에서 시작 되는
시간부터 시작 합니다.
수면0m 부터 몸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질소, 혈관 뼈 혈액 체세포 등 수면에서 1기압인
수면에서 질소를 포화에서 반포화 시키기 위하여 몸이 가동 됩니다.
수면휴식 시간은 *수중에서 나온 수면부터시간+보트승선+리조트휴식시간+다시 입수 하기 시간전 포함*
즉 수면에서 올라와 보트기다리는 시간 10분+다른다이버 태운다고 기다리는 시간 15분+리조트로 회항하고 리조트까지
가는 시간 15분+리조트에서휴식 30분 다시 셋팅하고 포인트까지 가는 시간 20분= 90분
총 한시간 삼십분이 수면휴식시간, 즉 잔류질소가 몸에서 빠져나가는 시간입니다.
여기서 잔류질소가 빠져나간다는 것은 피부세포를 통해 직접적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 아니라
기압으로 인해 녹아들었던 질소가 기압이 낮아지므로 다니 체내에 녹아 있던 질소가 반대로
빠져 나가는데 폐를 통해 호흡으로 빠져 나갑니다.
공기의 79%가 질소는 산소와 달리 폐에서 사용 되지 못하고 갈곳없는 질소는 샤를러의 법칙으로
기압이 높아지고 질소 크기가 적어져 육체로 녹아 드는 이유입니다.
어쨌던 호흡으로 녹아 들었던 질소가 다시 호흡으로 배출 하는 것입니다.

수면에서 스노클을 문 바른모습의 피코님, 수면휴식 시간은 수중에서 나오자마자 진행된다.
수면에서 호흡기 물고 있기 금지
그래서 이 수면 휴식을 늘리는데 최대화 하여야 하는데 일부 다이버 분들은
수면에서 호흡기를 물고 있는데, 공기탱크의 공기는 압축공기 이고 수면 보다 좋은 공기가 아닙니다.
그래서 수면에서 보트입수까지 호흡기 물고 있는 분은 위 휴식시간에서 10분이 빠진 1시간 20분이고
몸에 잔류질소가 다른 다이버가 20개가 남았다면 본인은 두개 더 22개가 남는 환경입니다.
수면에서 이러한 잔류질소 배출을 육체가 최대한 할 수 있도록 음주등을 못하게 하거나
전날 음주를 못하게 제가 하는 이유도 잔류질소배출을 풀가동을 시킬 수 있도록 개인자신의 콘디션을 만들어 주기
위함입니다. 특히 수면에서 보트승선 전까지 호흡기 물고 입는 분은 안좋은 습관입니다. 잊지 마세요.
이러한 잔류질소 배출과 포화와 깊이 잠수체류 개인의 몸상태와 최종 급상승 관계과 오묘하게 이루어져
사람을 피곤하게 하거나 혹은 최고불상사인 잠수병 유발이 될 수 있습니다.
이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잠수병의 원인은 이 잔류된 질소가 버블이 되는 경우라
잠수가 끝난 후 재잠수시 최대한 이 잔류질소를 배출 해주는 것이 관건입니다.
재잠수란 첫 다이빙 후 24시간 내에 하는 다이빙이고 잔류질소는 대부분 24시간내에
완전히 사라집니다.
그래서 미해군다이빙테이블에 명시된 재잠수 허용범위와 잔류질소량을 다이버에게
알려주어 몸에 무리 하지 않는 것을 위해 이 테이블을 숙지 하거나 혹은 이 다이빙테이블
알고리즘이 자동수치 계산하여 알려 주는 것이 다이빙컴퓨터입니다.
어떤 분들은 다이빙컴퓨터를 단지 수심계/수온계/안전정지남은시간/ 계산만으로 하는데
컴퓨터는 위의 것 외에 이 잔류질소와 다이버의 수면휴식까지 알려줍니다. 이것 또한
본인이 어떻게 잘 활용 하느냐는 본인이 가진 다이빙컴퓨터 설명서를 참조 해주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수면휴식이 필요한 잔류질소와 잠수타입에 따란 축적관계 그림입니다.
|
잠수 심도와 질소의 축적 관계 |
|
① 잠수 심도가 얕은 다이빙보다,②깊은 다이빙 쪽이, 많은 질소가 쌓입니다.

| 잠수 시간과 질소의 축적 관계 |
|
① 잠수 시간이 짧은 다이빙보다, ②긴 다이빙 쪽이, 많은 질소가 쌓입니다. |

|
얕은 다이빙과 깊은 다이빙의 차례와 질소의 축적 관계 |
|
① 1개째에 깊은 다이빙, 2개째에 얕은 다이빙을 실시했을 때보다, ②1개째에 얕은 다이빙, 2개째에 깊은 다이빙을 실시했을 때 쪽이, 많은 질소가 쌓입니다 |

다이빙테이블 보는 법은 아래부터 시작 합니다. |

*이 미해군다이빙테이블의 알고리즘이 컴퓨터에 들어가 있다. 이 테이블도 컴퓨터도 절대적이지 않다. 왜냐면
다이버 자신의 몸콘디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보편적인 통계수치다.* 투어 중 언제던지 다이빙테이블
질문 주시면 알려 드립니다. 다이빙 테이블에서 이 수치가 이야기 하는 근본원리는 두가지 입니다.
- 30m 이상 들어가지마라 수면휴식 시간을 가져라 -
잔류질소가 많이 쌓이도록 하는 역잠수다이빙은 하지 않는게 좋은 것 입니다.
처음엔 깊은 수심 다음엔 낮은 수심이 재잠수다이빙 기본입니다.
위의 테이블을 보자면 본인이 31m에서 15분 다이빙을 했다 하면
테이블은 31m로 측정 하면 안되고 33m로 반올림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그럼 F그룹이 됩니다. 그리고 본인의 수면휴식 시간이
1시간 이라면 오른쪽 하단 아래 E그룹이 됩니다. 그럼 뒤돌리면 아래가 나옵니다.

재잠수시 E그룹 선에서 본인의 다이빙 계획을 해야 합니다.
재잠수시 27m는 잠수금지 입니다. 질소가 몸에 포화가 이루어 지기 때문입니다. 만일 30m 들어가서 혹은 급상승이 총알 처럼
이루어 지기 되면 몸에 잠수병 노출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24m에서 급상승이 이루어 졌다 하더라도 몸에 콘디션은
않좋지만 잠수병 노출 될만큼 몸에 질소가 많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다이빙 계획은 E그룹에서 해당한 다이버는 24m 재잠수에서 22분 체류 가능하고 RNT(잔류질소)가 24정도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혹 다이버 중에 22분이 넘어가거나 깊은 수심을 타게 되면 다이빙컴퓨터에서 경고를 주거나 종국엔 DECO 감압이 뜨는
이유가 이 알고리즘 때문입니다. 그러나 다이빙테이블에서 분명히 재잠수시 27m 이상 가지 말라 했는데 무지한 다이버군들
강사 대동없이 자기네끼리 다이빙 계획 없이 초보 끼웠서 진행 하다. 본인들은 어느정도 스킬이 되어 괜찮다 하지만 초보일 경우
무리하게 첫다이빙으로 진행 하고 수면휴식 없이 탕탕(은어로 두탱크 들고가서 보트에서 최소의 수면휴식으로 재잠수진행)칠 경우
초보가 다이빙테이블에 벗어난 깊이에서 어떤불가상황으로 깊은곳에서 급상승 하면 잔류질소로 인한 잠수병 노출과 혹은 숨을 참으면 과팽창 최악은 페포파열이나 색전증(페포파열은 질소와 상관없는 공기팽창,기흉,뇌색전증등)사고가 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 것은 수면휴식을 충분히 가지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면에선 숨대롱(스노클)이나 아니면 SMB를 부풀려 잡거나 혹은 부력을 잘 이용하여 대기의 공기를 마시고 그 시간도 수면총휴식 시간에 포함된다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농담으로 다이버들이 다이빙이 끝난 후 질소소독을 위해 알콜을 먹어야 한다지만 이것은 농담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감압테이블이 아니라 무감압테이블이고 그래서 레져스포츠인 우리는 감압을 하지 않는 수심과 환경에서 해야 합니다.
혹은 정확한말로 5M에서 안전정지지 감압정지가 아닙니다. 세번째 재잠수는 몸에 않좋다가 아니고 세번째 잠수는 두번째 잠수
보다 낮게하면 된다고 알고 있는데 사실 이런 다이빙이 그 이 잔류질소가 쌓이는양이 덜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즉 두번째 잠수에 체내 10개의 잔류질소가 있다 하면 수면휴식 총20분 하고 세번째 재잠수 경우 오히려 30개가 쌓입니다.
그러나 수면휴식 두시간 해주고 세번째 재잠수를 하면 오히려 질소량이 8개가 된다는 것입니다. * 그래서 세번째 잠수가
감압다이빙이라 말하는데 엄밀히 말해서 세번째 잠수가 감압을 해줘 질소를 빼준다는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아닙니다.
오히려 충분한 수면휴식 후 세번째 재잠수가, 수면휴식 짧았던 낮은수심의 재잠수 보다 잔류질소량이 더 적습니다.
그리고 세번째 잠수에도 질소는 쌓이고 낮은 수심을 선택하더라도 덜 쌓일 뿐이지 잔류질소는 쌓이지, 없어 지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세번째 잠수 전에 충분한 수면휴식을 해줬다면 두번째 재잠수와 별차이 없는 체내잔류질소량을 보여 줍니다. 항상 충분한 수면휴식 시간이 최고라는 것을 잊지마셔야 합니다.
Plan your diving Diving your plan/다이빙을 계획하고 계획된되로 다이빙 하라.
고양시스쿠버 해남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