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정진(奇正鎭) 찬(撰)
[생졸년] 1798년(정조 22)~1879년(고종 16) 수(壽) 81세
오씨(吳氏)는 우리나라에서 또한 저명한 성씨이다. 오직 화순의 족속만 번성하지 못했으니, 우리나라의 풍속이 족보 만들기에 힘쓰지만 화순의 족보만은 뒤에 나왔다. 족보가 장차 인쇄되려고 할 적에 족보에 기록된 오씨들이 모두 그 완성을 기뻐하고 늦었음을 슬퍼하지 않은 자가 없었다.
이것이 오씨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내가 볼 때 이 족보에는 실로 공경할 바가 있다. 다만 공경할 뿐 아니라, 실로 사랑스러운 바가 있어서 다른 집의 족보와는 조금 다른 점이 있다. 그것이 무엇인가. 세상에서 명가(名家), 대족(大族)이라고 칭하는 집이 한둘이 아니다.
그런데 그 자손 된 자가 반드시 집집마다 문호를 세우는 것도 아니고, 심지어 간혹 떠돌거나 전복(顚覆)됨을 구제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반드시 사람마다 문헌을 갖춘 것도 아니고 심지어는 어로(魚魯)와 시해(豕亥)도 분별하지 못하는 자도 있다.
그 선계(先系)를 보존하고 지켜 선조의 토성(土姓)을 땅에 실추시키지 않게 하는 것은 오직 씨족이 큰 덕분이다. 지금 오씨는 이처럼 고단(孤單)하여 한 집안도 능히 선업(先業)을 이어서 지키지 못할 정도니 사방을 둘러보아도 달리 믿을 만한 강종(强宗)이 없다.
그런데도 명맥이 5백 년 동안 하루 같이 전해졌으니 그 이어서 지켜온 마음이 어찌 존경스럽지 않겠는가. 족보란 종족을 수합하고 풍속을 후하게 하는 것이다. 대족(大族)은 권질이 많고 정의(情誼)는 통관하지 않는데도 길 가는 사람의 정을 애써서 화수(花樹)의 계(契)만 닦으니 이렇게 해서 종족을 수합하고 풍속을 후하게 함은 어려울 것을 나는 안다.
오씨는 본래 쇠락하여 그 관향이 화순인 줄만 알면 비록 단문(袒免) 밖이라도 서로 아끼고 사랑함이 다른 씨족들과는 다르다. 급기야 족보의 자료를 모아서 완질을 이루었으니 측은한 마음이요, 참으로 널리 유포되고 관철하여 먼 데까지 이르지 아니함이 없으니 어찌 사랑스럽지 않겠는가.
오씨가 다만 능히 이를 돈독히 하여 폐하지 않는다면, 하늘이 돕는 것은 천리를 따르는 자이니 그 후손을 크게 번창할 날이 어찌 없겠는가. 오씨는 힘쓸지어다. 오씨가 우리 조정에 들어서는 명성 있고 높은 지위에 이른 자가 많았고 중엽 이후로는 삼강(三綱)을 지킨 자가 가승(家乘)에 끊이지 않고 쓰였는데 이는 미처 자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숭정 기원후 네 번째 기미년(1859, 철종 10) 초겨울에 기정진 쓰다.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ㆍ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 박명희 김석태 안동교 (공역) | 2018
----------------------------------------------------------------------------------------------------------------------------------------------------------
[原文]
和順吳氏族譜序
吳在東方。亦著姓也。獨和順之族未蕃。東俗務修譜。獨和順之譜後出。譜且剞劂。吳氏在譜中者。無不喜其成而悲其晩也。此在吳氏宜然。自余觀之。則於此譜。實有所敬。非徒敬之。而實有所愛。小異於他家之譜。何者。世之稱名家大族不一。其爲子孫者。未必家家門欄。甚或流離顚覆之不救者有之。未必人人文獻。甚或魚魯豕亥之莫辨者有之。其所以保守先系。使先祖之土姓不墜於地者。惟族大是賴。今吳氏之孤孑若此。一家不能嗣守先業。則環視四方。無他強宗可恃焉。然而脉縷相傳五百年如一日。其嗣守之心。豈不可敬。譜者所以收宗族厚風俗。而凡大族之卷袠浩穰。情誼不貫。強路人之情而修花樹之契。若是而宗族可收。風俗可厚。吾知其難矣。吳氏素來零丁。知其貫之爲和順也。則雖袒免以外。相愛相憐。別異於他族。及其裒聚而成袠。則惻隱之心。眞箇周流貫徹。無遠不到。豈不可愛。吳氏但能惇此而不替焉。則天之所助者順。克大厥後。豈無其日乎。吳氏其勉之。吳氏入我朝。多致位通顯。中葉以還。三綱不絶書於家乘。此姑未及詳述云。崇禎紀元後四己未孟冬。奇正鎭書。<끝>
노사집 제19권 / 서(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