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연산(萬淵山 668m)
1.소 재 지: 전남 화순군 화순읍 수만리, 동구리. 광주 동구 용연동
2.개 요
만연산(萬淵山 668m)은 전남 화순군 화순읍과 광주광역시 동구의 경계선에 있으며 호남 정맥의 주봉인 무등산으로 연계되는 산이다. 화순읍 수만리·만연리·동구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나한산(羅漢山)이라는 별칭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나한산은 화순현의 북쪽 6리에 있으니 진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만연산의 만연사(萬淵寺)와 만연 폭포는 화순읍을 대표하는 곳이다. 만연산은 나한산이라는 별칭이 있는데, '여지도서'에는 “나한산은 광주 서석산(瑞石山) 남쪽 기슭에서 뻗어 나와 고을의 으뜸이 되는 산줄기를 이룬다”고 기록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서석산 아래 나한산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에서는 무등산 남쪽에 나한산이 묘사되어 있으며, '1872년 지방도'에도 서석산의 산줄기에 연결되어 나한산이 있고 남서쪽 아래에 만연사가 표기되어 있다. 지금은 나한산이 아니라 만연산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산 아래에 있는 만연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조선 지지 자료'에 따르면 나한산은 읍내면 신기촌 뒤에 있고, 만연산은 동구촌 뒤에 있다고 하여 양자를 별개의 것으로 보고 있어 이에 대한 고증이 필요하다.
만연산은 화순군 화순읍에서 바라보면 산체가 오똑하고 정상에는 암봉(巖峰)이 돌출해 있다. 무등산의 주산줄기가 남서쪽으로 달리다가 한줄기는 안양산으로 내려가 호남 정맥으로 이어지고, 다른 한줄기는 더 남서쪽으로 달려가다 남동부 쪽으로 살짝 비켜서는데 그 봉우리가 만연산이다. 만연산 줄기는 화순읍의 북사면을 이루면서 배산임수형에 남향의 산자락을 마련하여 좋은 터를 제공하고 있다. 안양산 줄기와 만연산 줄기 사이에 위치한 수만리에는 화순천의 상류 지류인 동천이 시작된다. 산중에는 곳곳에 돌이 많이 흩어져 있는 비탈이 무등산 보다는 작은 규모로 분포하고 있다. 만연산 서남쪽에 있는 너릿재는 무등산의 정상부 줄기가 남동부로 뻗어 화순군과 광주광역시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이며 영산강의 지류인 광주천과 화순천의 분수계를 이루고 있다. 무등산(1,187m), 만연산, 수래바위산의 고봉을 이루다 지장산(356m)과 소룡봉(405m)으로 이어지는 지형학적으로 안부 지역(saddle-shaped)을 이루고 있다. 이곳은 북동~남서 방향의 구조선이 통과하는 기반이 약한 곳으로, 주변보다 고도가 낮고 분수계를 이루고 있어서 일찍부터 화순군과 광주광역시를 연결하는 교통로로 발달했다. 만연산은 화순읍의 진산으로 광주광역시와의 경계를 이루고 화순읍의 배산임수 지세를 형성하는 주산이다.
만연산 남서 사면에는 만연사가 있다. 6ㆍ25 전쟁 때 모든 건물이 불에 타 없어졌고, 1978년 중창한 뒤 불사를 계속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재는 비구 전법 도량(比丘傳法道場)이며, 산내 암자로 선정암과 성주암이 있다. -디지털화순문화대전-
ㅇ만연사
이 절집은 고려시대인 1208년 만연선사에 의하여 창건되었다고 전하는데 만연선사가 무등산 원효사에서 수도를 마치고 조계산 송광사로 돌아가는 도중에 무등의 주봉을 넘어 남으로 내려오다가 만연사 중턱에 이르러 피곤한 몸을 잠시 쉬어가고자 앉은 사이 언뜻 잠이 들어 꿈을 꾸었는데 16나한이 석가모니불을 모실 역사를 하고 있는 꿈이었다. 잠을 깨 사방을 둘러보니 어느새 눈이 내려 주위가 온통 백색인데 신기하게도 선사가 누운자리 주변만 녹아 김이 모락모락 올라오고 있었다. 그 길로 이곳에 토굴을 짓고 수도를 하다가 만연사를 세웠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대웅전, 시왕전, 나한전, 승당, 선당, 동상실, 서상실, 동병실, 서별실, 수정료, 송월료 등 3전 8방과 대웅전 앞의 큰 설루, 설루 아래 사천왕문과 삼청각이 있던 대찰이었다.
또, 부속암자로는 학당암, 침계암, 동림암, 연혈암이 있었는데 오랜 세월로 퇴락 철거되었다가 1978년 이후 대웅전, 나한전, 명부전, 한산전, 요사채가 복원되었고 암자로는 선정암과 성주암이 있다. 경내에는 1783년에 제작된 도지정 문화재 제185호 괘불이 있다. 한때 다산 정약용 선생이 젊은 시절 부친이 화순현감으로 부임하던 때에 만연사 동림암에 거처한 적이 있으며 국창 임방울 선생이 소리를 가다듬기 위해 이곳을 찾아 피나는 연습을 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산 행 일 지
화순쪽 너릿재터널 입구 테마공원~너릿재~지장산~수레바위~만연산~만연사
1.산 행 일 시: 2019년 2월21일 (목) 맑음
2.산 행 대 원: 울산 한별산악회
3.산 행 일 지
11:13~18 22번 국도 너릿재 터널을 지나 광주쪽 유아숲공원에 하차하였으나 방향이 틀려서 다시 차를 타고 화순쪽으로 이동
11:31~36 화순쪽 터널입구 테마공원에 하차
11:48 테마공원 정문 좌측 펜스 옆으로 출발하여 임도에서 우측으로
11:50 임도 아래 보호수(너릿재 유래 설명판이 있음)
11:51~54 너릿재(해발 245m, ←서당산 3.5km, 도덕산 3.1km, 도덕산쉼터 2.5km, →장불재 7.8km, 만연산 4.8km, 수레바위 3.1km, ↑광주, ↓화순) 이정표와 안내도가 있음
12:00 창녕 조씨 37세손 묘지 입구
12:01 나무 데크를 만나서 작은 봉우리에 오르고
12:03 안부에 내려서니 평상 쉼터
12:06 이정표 봉우리(↑장불재 6.6km, 만연산 4.0km, ↓너릿재 0.8km)
12:09 철탑아래 데크길
12:18 데크길이 끝(봉우리를 우회)
12:23 완만한 등로를
12:26~13:05 지장산(356m, ↓너릿재 2.0km, ↑장불재 5.4km, 만연산 2.8km)에서 오찬을
13:09 급경사를 내려서 안부에
13:14 된비알을 올라서 완만한 능선에
13:16 살짝 올라서서 이정표 능선 봉우리(↓너릿재 2.5km, ↑장불재 4.9km, 만연산 2.3km)
13:17 안부(국가지점번호 5203 7752)에 내려서고
13:26 수레바위로 오르는 된비알을 오르다 지나온 지장산을 돌아 보고
13:27 철계단 아래 쌍바위에
13:29 급경사 철계단을 올라서 잠시 조망을 즐기고
13:35 바위 지대에 석축묘가 있는 지점을 지나서 수레바위 이정표(↑장불재 4.3km, 만연산 1.7km, ↓너릿재 3.1km) 국가지점번호 5237 7754
13:40 교리 갈림길 이정표(↖장불재 4.5km, 만연산 1.5km, ↗교리 3.2km, ↓너릿재 3.3km, 수레바위 0.1km)
13:42 봉우리에 살짝 오르고
13:44 커다란 바위를 우회하고
13:47 완만한 능선에
13:51 만연산 0.9km 이정표(↑장불재 3.9km, 만연산 0.9km, ↓너릿재 3.9km)
14:02~06 만연사 갈림길 사거리 안부(585m, ↑큰재 2.9km, 만연산 0.3km, ↓너릿재 4.5km,←장불재 3.5km, →만연사 주차장 2.4km)
14:11 통나무 계단을 오르고
14:14~27 만연산(668m, ↓너릿재 4.8km, 장불재 3.8km, 너와나목장 1.9km) 멋진 조망데크가 만들어져 있어서 조망은 사통팔달로~~ 611.7m봉은 시간관계상 못하고 다시 만연사 갈림길로
14:33 다시 만연사 갈림길 사거리에서 만연사 쪽으로
14:42~45 건강숲길 상부(↗만연사 2.2km, ↑장불재 4.3km, 너와나목장 2.4km, 만연산 1.1km) 이정표 아래 좌측에 이정표(→건강오름숲 150m, ←하늘숲, ↗건강회복숲 60m)에서 하늘숲으로 잠시 오르다 건강오름숲으로 하산
14:52 데크 길을 가다 쉼터에서 삼나무 숲을 감상하고
15:00 작은 계곡이 있는 건강오름숲 안내판과 이정표(↓건강오름숲, →오감연결길 260m, ↑건강회복숲)에서 오감연결길로 하산
15:06 만연폭포 갈림길 데크 길(↓큰재 4.1km, 만연산 1.5km, 건강오름숲 300m, ←만연폭포 3.0km, 산림욕장 1.2km, →만연사주차장 1.2km, 선정암 400m)에서 만연사 주차장 쪽으로
15:08 산림욕장 갈림길 이정표(←산림욕장 800m,↓만연산정상 1.9km, ↑치유의숲센터 500m)
15:15 쉼터
15:18~21 선정암 경내를 둘러보고(큰법당 앞에 목조 관음보살좌상 설명판이 있음)
15:24 다시 공기털이가 있는 만연산 치유의숲 안내석이 있는 곳에서 내려서면 수레바위 갈림길 무지개 다리(→수레비위 1.4km, ↑만연사주차장 0.4km, ↓선정암 0.2km)
15:28 탐방지원센터 앞 안내판
15:30~32 만연사 경내를 구경하고
15:35 만연사 안내석(↓만연사 0.1km, ↘수레바위 1.8km, 선정암 0.6km, 오감연결길 0.5km)
15:36 안내석에서 내렷 주차장에
(총산행시간: 4시간, 휴식 및 조망: 26분, 오찬: 39분, 순보행시간: 2시간55분)
순천시 승주읍 진일기사식당에서 김치찌개로 하산주를 하고 울산으로

1113~18 너릿재터널(22번국도) 광주쪽 유아숲공원 하차

1113 주차장 입구에서 본 모습을

1113 광주쪽에서 본 너릿재터널

1115 유아숲공원 종합안내판

1118 유아숲공원 주차장 모습(다시 차를 타고 화순쪽 터널 입구로)

1131~36 너릿재터널 화순쪽 테마공원 자전거길 안내판에서 하차

1131 테마공원 입구 모습을

1133 테마공원 모습을

1138 테마공원을 출발하며 내려다 본

1145 우측은 임도아래 채마밭으로 가는 소로

1148 임도에 올라서고

1150 너릿재로 가기전 보호수

1150 보호수 전망덱의 너릿재 유래설명

1150 보호수 알림판

1151~54 너릿재 모습을

1152 너릿재의 이정표

1153 다른 쪽에서 본 이정표

1153 너릿재의 안내도

1154 너릿재의 무등산국립공원 안내도

1154 등로 초입 모습을

1158 사거리서 직진을

1200 창녕조씨 묘 입구

1201 작은 봉우리 내려서서 우측 데크길로

1203 안부에 내려서니 평상쉼터가

1206 완만한 이정표 봉우리에

1207 완만한 봉우리의 이정표

1209 철탑아래 데크길로

1215 데크길을 걸으며

1215 셀카로

1218 데크길이 끝나고(봉우리 우회데크)

1224 완만한 등로 모습을

1226~1305 지장산에

1226 지장산(356m)의 이정표

1227 인증샷을 하고

1228 지장산에서 본 수레바위봉을

1309 제법 가판른 길을 내려 안부에

1310 안부 모습을

1313 된비알을 올라서 완만한 능선에

1316 살짝 올라서 이정표 능선봉우리에

1316 능선 봉우리의 이정표

1317 안부에 내려서고

1318 안부의 국가지점번호를

1326 수레바위로 가파르게 오르다 지장산을 돌아보고

1327 철계단 아래 바위를

1328 수레바위봉으로 가는 가파른 계단

1329 철계단을 오르다 약간 북서쪽으로 집게봉과 뒤쪽 광주시내를

1329 철계단 위에서 남쪽 화순방향을

1330 화순시내 쪽을

1330 셀카로

1332 수레바위쪽으로 오르다 멀리 새인봉을

1333 수레바위로 가는 암릉

1335 수레바위 위 이정표에

1335 수레바위(504m) 이정표를

1336 인증샷을 하고

1336 서대장과

1340 교리 갈림길에

1340 교리갈림길의 이정표

1342 봉우리를 넘고

1344 커다란 바위를 살짝 우회하고

1351 만연산 0.9km 이정표를 만나고

1402~06 만연사갈림길 사러리 안부에

1403 사거리 안부(585m)의 이정표

1404 한 컷하고

1411 만연산으로 오르는 계단을

1414~27 만연산(668m) 정상의 이정표

1415 만연산 정상 조망데크 아래 수만리쪽 풍광을

1415 북쪽 무등산쪽을

1417 남쪽으로 출렁다리가 보이던 611.7m봉을

1417 만연산 정상석을

1418 흔적을 남기고

1433 다시 만연산 갈림길에 내려서 만연사쪽으로

1441 복수초를

1441

1442~45 건강숲길에

1443 건강숲길의 이정표

1443 건강숲길 이정표 아래 하늘숲 갈림길

1443 하늘숲 갈림길 이정표

1444 하늘숲 안내도

1444 하늘 숲으로 가는 산책로

1451 건상숲길의 삼나무

1452 건강숲길 쉼터데크에서 본 삼나무 숲

1454 흔적을 남기고파

1454 영도 아줌마도

1500 작은 계곡 옆건강오름숲 안내도

1500 작은 계곡 옆의 건강회복숲 갈림길 이정표

1505 만연폭포 갈림길 쉼터

1506 갈림길의 이정표

1506 이정표를 다른 각도에서

1506 만연폭포 갈림길에 있는 만연산 치유의 숲 종합 안내도

1508 만연사 주차장 쪽으로 가다 산림욕장 갈림길

1508 갈림길의 이정표

1514 쉼터의 안내도

1515 쉼터 주위 모습을

1518~21 치유의 숲 안내석을 지나 선정암 큰법당을

1519 큰법당 아래 목조 관음보살좌상 설명판을

1520 큰법당 내부 관음보살좌상을 조금 당겨서

1520 법당 내부를

1521 선정암 학담선원을

1524 선정암에서 다시 안내석으로

1524 주차장으로 내려서다 수레바위 갈림길

1524 수레바위 갈림길 이정표

1528 지원센터 앞의 안내도

1529 종합안내도

1530 만연사 일주문에

1530 일주문을 지나면 화우천 누각에

1531 만연사 대웅전에

1532 우측 문에서 내부를

1532 좌측 문에서 내부를

1535 만연사 안내석에

1535 만연사 안내석 옆의 이정표

1531 만연사 안내석에서 본 611.7m봉 출렁다리

1536 만연사 주차장을

1650 하산주 메뉴 김치찌개

1650 순천시 승주읍 하산주 식당